대분류 E | 현장타설 콘크리트 공사 |
■ EC*** 콘크리트 타설 / 장비사용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EC110.12000 | 콘크리트 타설 /장비사용 |
무근콘크리트 | m3 | 24,463 | 80% |
EC220.12000 | 콘크리트 타설 /장비사용 |
철근콘크리트 | m3 | 27,620 | 80% |
EC150.12000 | 콘크리트 타설 /장비사용 |
소형구조물 | m3 | 44,586 | 80% |
【단가정의】
① 믹서트럭에서 굴삭기로 공급받아 타설위치에 직접 타설하는 작업을 기준한 것이다.
② 현장 내 콘크리트 운반, 타설, 다짐, 양생준비 작업을 포함한다.
③ 레미콘 재료비,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 및 표면마무리 비용은 제외되어 있다.
④ 소형구조물은 개소별 소량(6m3 이하)의 타설 위치가 산재되어 있는 경우에 적용한다.
■ EC*** 콘크리트 타설 / 펌프차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EC101.01152 | 무근콘크리트 타설 /펌프차 |
양호, 100~150m3이하/1회 |
m3 | 14,792 | 67% |
EC101.02152 | 무근콘크리트 타설 /펌프차 |
보통, 100~150m3이하/1회 |
m3 | 17,059 | 66% |
EC101.03152 | 무근콘크리트 타설 /펌프차 |
불량, 100~150m3이하/1회 |
m3 | 19,336 | 66% |
EC101.04052 | 무근콘크리트 타설 /펌프차 |
매우불량, 40~50m3이하/1회 |
m3 | 66,839 | 60% |
EC201.01152 | 철근콘크리트 타설 /펌프차 |
양호, 100~150m3이하/1회 |
m3 | 16,364 | 67% |
EC201.02152 | 철근콘크리트 타설 /펌프차 |
보통, 100~150m3이하/1회 |
m3 | 18,887 | 67% |
EC201.03152 | 철근콘크리트 타설 /펌프차 |
불량, 100~150m3이하/1회 |
m3 | 21,395 | 66% |
EC201.04052 | 철근콘크리트 타설 /펌프차 |
매우불량, 40~50m3이하/1회 |
m3 | 72,401 | 60% |
【단가정의】
① 콘크리트펌프차(80m3/hr 이상)에 의한 콘크리트의 타설(붐타설, 슬럼프 15) 작업을 기준한 것이다.
② 단일구조물의 1회 타설(셋팅 및 마감) 비용이며, 작업시간내에 인접되어 있는 두개 이상의 구조물을 연속하여 타설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③ 타설준비 및 마무리, 펌프차 타설(세팅, 마감), 다짐, 양생준비 작업을 포함한다.
④ 레미콘 재료비,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 및 표면마무리 비용은 제외되어 있다.
⑤ 배관으로 타설해야 할 경우에는 이 단가를 적용하지 않는다.
⑥ 타설 횟수는 설계(시공단계에 따른 타설 위치) 및 시공조건(일 작업시간, 시공이음, 1회 가능 타설수량 등)을 고려하여 산정한다.
⑦ 규격별 적용유형은 아래를 참고한다.
구 분 | 유 형 |
양호 | 매트기초 등 펌프차 작업에 제약이 없는 시설물 |
보통 | 벽, 기둥, 보, 슬라브, 교대, 교각 등 일반적인 시설물 |
불량 | 줄기초, 슬래브없는 [월거더]구조의 기둥과 보 등 펌프차 작업에 제약을 받는 타설부위가 좁거나 깊은 시설물 |
매우불량 | 절/성토부 비탈면에 시공되는 구조물로 펌프차의 이동이 빈번하는 등 펌프차 작업에 제약이 매우 큰 시설물 |
【단가보정】
① 타설규모 및 슬럼프에 따라 시장단가에 다음 계수를 곱하여 적용한다.
구분 (1회 타설규모m3) |
무근콘크리트 타설 | ||||||||
양호 | 보통 | 불량 | 매우불량 | ||||||
8~12 | 15이상 | 8~12 | 15이상 | 8~12 | 15이상 | 8~12 | 15이상 | ||
표준 시장단가 |
30이하 | 2.06 | 1.98 | 1.95 | 1.88 | 1.87 | 1.80 | 1.10 | 1.05 |
30~40이하 | 1.80 | 1.72 | 1.73 | 1.65 | 1.68 | 1.60 | 1.04 | 1.00 | |
40~50이하 | 1.63 | 1.55 | 1.58 | 1.50 | 1.54 | 1.46 | 1.00 | 0.95 | |
50~70이하 | 1.44 | 1.37 | 1.42 | 1.34 | 1.39 | 1.32 | 0.95 | 0.90 | |
70~100이하 | 1.25 | 1.18 | 1.24 | 1.17 | 1.23 | 1.16 | - | ||
100~150이하 | 1.06 | 1.00 | 1.06 | 1.00 | 1.06 | 1.00 | |||
150~200이하 | 0.92 | 0.86 | 0.93 | 0.87 | 0.93 | 0.88 | |||
200초과 | 0.83 | 0.77 | 0.84 | 0.78 | 0.85 | 0.79 |
구분 (1회 타설규모m3) |
철근콘크리트 타설 | ||||||||
양호 | 보통 | 불량 | 매우불량 | ||||||
8~12 | 15이상 | 8~12 | 15이상 | 8~12 | 15이상 | 8~12 | 15이상 | ||
표준 시장단가 |
30이하 | 1.99 | 1.91 | 1.88 | 1.81 | 1.80 | 1.73 | 1.08 | 1.03 |
30~40이하 | 1.75 | 1.67 | 1.68 | 1.61 | 1.63 | 1.56 | 1.04 | 0.99 | |
40~50이하 | 1.59 | 1.51 | 1.54 | 1.47 | 1.51 | 1.43 | 1.00 | 0.95 | |
50~70이하 | 1.42 | 1.35 | 1.40 | 1.32 | 1.38 | 1.30 | 0.95 | 0.90 | |
70~100이하 | 1.24 | 1.17 | 1.23 | 1.16 | 1.22 | 1.15 | - | ||
100~150이하 | 1.06 | 1.00 | 1.06 | 1.00 | 1.06 | 1.00 | |||
150~200이하 | 0.93 | 0.87 | 0.93 | 0.87 | 0.94 | 0.88 | |||
200초과 | 0.83 | 0.78 | 0.85 | 0.79 | 0.86 | 0.80 |
② 타설규모 및 슬럼프에 따라 노무비율에 다음 계수를 곱하여 적용한다.
구분 (1회 타설규모m3) |
무근콘크리트 타설, 철근콘크리트 타설 | ||||||||
양호,보통,불량 | 매우불량 | ||||||||
8~12, 15이상 | 8~12, 15이상 | ||||||||
노무 비율 |
30이하 | 0.88 | 0.95 | ||||||
30~40이하 | 0.90 | 0.98 | |||||||
40~50이하 | 0.92 | 1.00 | |||||||
50~70이하 | 0.94 | 1.03 | |||||||
70~100이하 | 0.97 | - | |||||||
100~150이하 | 1.00 | ||||||||
150~200이하 | 1.03 | ||||||||
200초과 | 1.05 |
■ ED*** 합판거푸집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ED001.05000 | 합판거푸집 | 제물치장, 0 ∼ 7m |
m2 | 109,115 | 70% |
ED001.04000 | 합판거푸집 | 소규모/매우복잡, 0 ∼ 7m |
m2 | 69,234 | 74% |
ED001.03000 | 합판거푸집 | 복잡, 0 ∼ 7m |
m2 | 60,829 | 74% |
ED001.02000 | 합판거푸집 | 보통, 0 ∼ 7m |
m2 | 44,446 | 70% |
ED001.01000 | 합판거푸집 | 간단, 0 ∼ 7m |
m2 | 38,903 | 70% |
【단가정의】
① 합판거푸집의 가공, 제작, 설치, 해체 작업을 기준한 것이다.
②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 작업중 유지보수(청소, 박리제 바름, 거푸집 보수) 작업을 포함한다.
③ 동바리 설치, 면정리(폼타이 홈메우기, 해체후 연마) 작업은 제외되어 있다.
④ 거푸집 재료비(재료손율, 할증 포함)는 포함하며, 폼타이 재료비는 제외되어 있다.
⑤ 제물치장에 소요되는 볼트, 나무덧쇠, 파이프 등의 비용은 제외되어 있다.
⑥ 거푸집 설치높이 7m이하에 적용하며, 7m초과시에는 매 3m 증가마다 노무비에 10%를 가산한다. (현장 여건에 따라 장비가 필요한 경우 양중장비 사용료를 별도 계상하고, 노무비를 가산하지 않는다.)
⑦ 규격별 적용유형은 아래를 참고한다.
구 분 | 전용회수 | 유 형 |
제물치장 | 1~2회 | 제물치장 콘크리트 |
소규모/ 매우복잡 |
2회 | 가로보 등 소규모로 산재되어 있는 구조 교대, 교각, 수문관의 본체 등 매우 복잡한 구조 |
복잡 | 3회 | 교대, 교각, 파라펫트, 날개벽 등 복잡한 벽체 구조 |
보통 | 4회 | 측구, 수로, 우물통 등 일반적인 벽체구조, 교량 슬래브 |
간단 | 6회 | 수문 또는 관의기초, 호안 및 보호공의 기초 등 |
■ ED*** 유로폼 거푸집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ED402.01000 | 유로폼 | 간단, 0∼7m | m2 | 30,904 | 84% |
ED402.02000 | 유로폼 | 보통, 0∼7m | m2 | 35,327 | 84% |
ED402.03000 | 유로폼 | 복잡, 0∼7m | m2 | 45,834 | 84% |
【단가정의】
① 유로폼 패널의 벽체 조립 및 해체 작업을 기준한 것이다.
②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 작업중 유지보수(청소, 박리제 바름, 거푸집 보수) 작업을 포함한다.
③ 면정리(해체후 연마) 작업은 제외되어 있다.
④ 거푸집 재료비(재료손율, 할증 포함)는 포함하며, 폼타이 재료비는 제외되어 있다.
⑤ 거푸집 설치높이 7m이하에 적용하며, 7m초과시에는 매 3m 증가마다 노무비에 10%를 가산한다. (현장 여건에 따라 장비가 필요한 경우 양중장비 사용료를 별도 계상하고, 노무비를 가산하지 않는다.)
⑥ 규격별 적용유형은 아래를 참고한다.
구 분 | 유 형 |
간 단 | 수문 또는 관의 기초, 매트기초 등 간단한 구조 |
보 통 | 측구, 수로, 옹벽, 일반적인 벽체, 박스 등 |
복 잡 | 교대, 날개벽 등 복잡하고 보강이 많은 구조 또는 폼 타이 시공이 필요한 경우 |
■ ED*** 강재 거푸집(장비사용)/ 자재비제외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ED403.04000 | 강재거푸집(장비사용) | 일반 | m2 | 24,471 | 85% |
ED403.05000 | 강재거푸집(장비사용) | 교각 | m2 | 39,804 | 71% |
ED403.06000 | 강재거푸집(장비사용) | 코핑 | m2 | 52,308 | 68% |
【단가정의】
① 강재거푸집의 장비조합 설치 및 해체 작업을 기준한 것이다.
② 일반 규격은 고소작업이 불필요하고 반복되는 작업(빔 제작 등)을 기준한 것이며, 교각 및 코핑 규격은 교량의 고소작업을 기준한 것이다.
③ 노무비 및 양중장비의 사용료를 포함한다.
④ 강재거푸집의 재료비, 고임 및 쇄기용 목재 손료는 제외되어 있다.
■ ED*** 문양거푸집/ 자재비 제외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ED405.01000 | 문양거푸집 | 1회 | m2 | 17,918 | 99% |
【단가정의】
① 문양거푸집(PE판넬)의 설치 및 해체작업을 기준한 것이다.
② 문양거푸집(PE판넬)의 재료비는 제외되어 있다.
③ 문양거푸집이 부착되는 거푸집(합판, 유로폼 등)의 재료비와 설치/해체비는 제외되어 있다.
■ EE*** 철근 가공 및 조립 / 현장가공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EE001.20000 | 철근 현장가공 및 조립 | Type-Ⅰ | ton | 622,948 | 89% |
EE001.30000 | 철근 현장가공 및 조립 | Type-Ⅱ | ton | 706,578 | 89% |
EE001.40000 | 철근 현장가공 및 조립 | Type-Ⅲ | ton | 783,284 | 89% |
【단가정의】
① 철근의 현장가공 및 조립 작업을 기준한 것이다.
② 철근의 이음(겹이음 또는 기계적 이음), 간격재 설치, 철근 인상작업을 포함한다.
③ 철근의 현장가공에 사용되는 장비(철근절단기, 철근절곡기 등)의 기계경비를 포함한다.
④ 재료의 구입 및 운반비(철근, 이음재(커플러), 간격재), 현장내 운반비는 제외되어 있다.
⑤ 규격별 적용유형은 아래를 참고한다.
구 분 | 유 형 |
Type-Ⅰ | 가. 철근가공 및 조립 작업이 일반적인 토목시설 (반중력식 옹벽, L형 옹벽, 교량 슬래브, 매트기초, 수문 등) 나. 특정위치에서 철근의 가공 및 조립이 반복되는 경우 (빔 제작, 철근망 등) |
Type-Ⅱ | 가. 철근가공 및 조립 작업이 복잡한 토목시설 (라멘교, 교대, 암거, 지하차도, 부벽식 옹벽 등) 나. 콘크리트대비 소량의 철근이 사용되는 경우 (측구/개거, 중력식 옹벽, 일체형 중앙분리대 등) |
Type-Ⅲ | 가. 철근가공 및 조립 작업이 매우 복잡한 토목시설 (교각, 구주식 교대 등) 나. 특수 구조시설물에서 철근직경 35mm를 초과하여 인력에 의한 단독시공이 어려운 경우 (원자력 발전소 등 플랜트 구조) |
⑥ 산재되어 있는 소형구조물(전체 철근량 3ton미만)에서는 노무비를 30%까지 가산할 수 있다.
■ EE*** 철근 가공 및 조립 / 공장가공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EE001.22000 | 철근 공장가공 및 조립 | Type-Ⅰ | ton | 550,995 | 83% |
EE001.32000 | 철근 공장가공 및 조립 | Type-Ⅱ | ton | 640,063 | 83% |
EE001.42000 | 철근 공장가공 및 조립 | Type-Ⅲ | ton | 731,086 | 83% |
【단가정의】
① 철근의 공장가공 및 현장조립 작업을 기준한 것이다.
② 철근의 이음(겹이음 또는 기계적 이음), 간격재 설치, 철근 인상작업을 포함한다.
③ 재료의 구입 및 운반비(철근, 이음재(커플러), 간격재), 현장내 운반비, 시공상세도(Shop Drawing) 작성비는 제외되어 있다.
④ 철근의 나사 가공 등 특수 공장가공비는 제외되어 있다.
⑤ 규격별 적용유형은 아래를 참고한다.
구 분 | 유 형 |
Type-Ⅰ | 가. 철근가공 및 조립 작업이 일반적인 토목시설 (반중력식 옹벽, L형 옹벽, 교량 슬래브, 매트기초, 수문 등) 나. 특정위치에서 철근의 가공 및 조립이 반복되는 경우 (빔 제작, 철근망 등) |
Type-Ⅱ | 가. 철근가공 및 조립 작업이 복잡한 토목시설 (라멘교, 교대, 암거, 지하차도, 부벽식 옹벽 등) 나. 콘크리트대비 소량의 철근이 사용되는 경우 (측구/개거, 중력식 옹벽, 일체형 중앙분리대 등) |
Type-Ⅲ | 가. 철근가공 및 조립 작업이 매우 복잡한 토목시설 (교각, 구주식 교대 등) 나. 특수 구조시설물에서 철근직경 35mm를 초과하여 인력에 의한 단독시공이 어려운 경우 (원자력 발전소 등 플랜트 구조) |
■ EF53* 지수판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EF530.02000 | 지수판/소켓식 | 200×5t | m | 17,983 | 97% |
【단가정의】
① 지수판 연결재(소켓사용)를 활용한 지수판 설치를 기준한 것이다.
② 지수판 절단 및 설치, 마감 작업을 포함한다.
③ 재료비는 제외되어 있다.
■ EF*** 신축이음(Expansion Joint)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EF800.01000 | 신축이음 설치 | 다웰바 | ea(개) | 11,396 | 97% |
EF300.00100 | 신축이음 설치 | 채움재 | m2 | 7,677 | 97% |
EF700.00100 | 신축이음 설치 | 실링마감 | m | 4,010 | 99% |
【단가정의】
① 다웰바(D25, L=1000mm이하)는 설치간격 150mm를 기준한 것이다.
② 채움재(발포 폴리스티렌)는 두께 20mm이하 를 기준한 것이다.
③ 실링마감은 V컷팅, 프라이머 바름, 백업재 삽입, 실링재 주입 작업을 포함한다.
④ 재료비는 제외되어 있다.
■ ER40* 콘크리트 접착제 바르기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ER400.10000 | 콘크리트 접착제 바르기 | Epoxy 접착제 | m2 | 29,247 | 81% |
【단가정의】
① 신구 콘크리트를 접착시키기 위하여 에폭시 접착제를 바르는 기준이다.
② Epoxy 접착제, 시너 등 신구 콘크리트 접합재료의 구입 및 운반비와 접합에 소요되는 인건비 및 기구손료를 포함한다.
③ 콘크리트 치핑에 소요되는 비용은 제외되어 있다.
■ ER40* 콘크리트 치핑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ER400.20000 | 콘크리트 치핑 | 소형장비 | m2 | 26,366 | 94% |
【단가정의】
① 소형치핑장비(소형브레이커, 치핑기)를 활용한 인력에 의한 작업 기준이다.
② 치핑, 청소 및 정리를 포함하며, 경장비(소형브레이커, 치핑기 등)의 기계경비를 포함한다.
대분류 F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공사 |
■ FB*** PSC빔 제작(부재)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FB002.01000 | PSC빔 제작부재 | 빔 제작대 설치 | m | 30,507 | 80% |
FB002.02000 | PSC빔 제작부재 | 정착구 설치 | 개 | 32,688 | 95% |
FB002.03000 | PSC빔 제작부재 | 쉬즈관 설치 (Ø85mm 이하) |
m | 7,988 | 98% |
FB002.04000 | PSC빔 제작부재 | 강연선 설치 (Ø12.7mm) |
ton | 211,956 | 80% |
FB002.05000 | PSC빔 제작부재 | 강연선 설치 (Ø15.2mm) |
ton | 175,820 | 80% |
FB002.06000 | PSC빔 제작부재 | 인장 (Ø12.7mm) |
개소 | 60,968 | 84% |
FB002.07000 | PSC빔 제작부재 | 인장 (Ø15.2mm) |
개소 | 70,077 | 84% |
FB002.08000 | PSC빔 제작부재 | 그라우팅 | m3 | 608,338 | 86% |
【단가정의】
① PSC빔 제작부재별(빔 제작대, 정착구, 쉬즈관, 강연선설치, 인장, 그라우팅, 강재거푸집) 소요비용을 포함한다.
② 빔 제작대 설치는 제작대 설치비를 포함하며, 콘크리트 타설 등의 기초공사가 필요한 경우는 별도 계상한다. 빔 제작대의 재료(각재, 판재, 꺽쇠, 못)비는 제외되어 있다.
③ 정착구 설치는 정착구 고정 및 설치작업을 포함하며, 재료비는 제외되어 있다.
④ 쉬즈관 설치는 쉬즈관 절단 및 조립, 쉬즈 보호호스 삽입 및 제거작업을 포함하며, 재료비는 제외되어 있다.
⑤ 강연선 설치는 강연선 삽입, 절단작업을 포함하며, 재료비는 제외되어 있다.
⑥ 인장은 양측면 인장 기준이고, 앵커헤드 및 웨지설치, 인장 및 절단작업을 포함하며, 재료비는 제외되어 있다.
⑦ 그라우팅은 주입호스 설치 및 그라우팅 준비, 시멘트 배합 및 주입작업을 포함하며, 재료비는 제외되어 있다.
⑧ 빔 제작용 강재거푸집 설치는 “대분류 E. 현장타설콘크리트공사 / ED*** 강재 거푸집/자재비제외” 해당규격의 표준시장단가를 적용한다.
■ FB*** PSC빔 제작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FB601.02500 | PSC빔 제작 | 25m | 본 | 11,528,402 | 77% |
FB601.03000 | PSC빔 제작 | 30m | 본 | 15,100,000 | 77% |
FB701.03500 | PSC빔 제작 | 35m | 본 | 19,336,306 | 78% |
【단가정의】
① 이 단가는 PSC빔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포함한다.
② 재료(철근, 콘크리트, PSC강연선)의 구입 및 운반비는 제외한다.
③ 보강재(Soleplate) 구입 및 설치비는 제외한다.
④ 부대작업(빔 제작장, 몰탈비빔, PVC파이프, 용접 및 검사)에 소요되는 재료비 및 설치비를 포함한다. 단 빔제작장 조성시 임대료는 포함하지 않는다.
【표준도 및 적용기준】
① 본 단가를 적용할 수 없는 경우, 아래 예시에 제시된 목적물 세부구성요소별 단가와 도면등으로부터 산출한 목적물 세부구성요소별 수량을 적용하여 목적물 단위당 단가를 산출한다. 필요시, 철근가공조립, 콘크리트타설등의 세부규격을 변경할 수 있으며, 이때 본 단가집 “대분류 E. 현장타설콘크리트공사” 해당규격의 표준시장단가를 적용한다.
② 작성예시
분류 | 내역 | 단위 | 수량 | 단가 | 금액 | 비고 |
* 실 설계수량 × 표준시장단가 | ||||||
본체 (A) |
빔 제작대 설치 | m | ( ) | 30,507 | ( A1 ) | ㆍFB002.01000 |
정착구 설치 | 개 | ( ) | 32,688 | ( A2 ) | ㆍFB002.02000 | |
쉬즈관 설치(Ø85mm이하) | m | ( ) | 7,988 | ( A3 ) | ㆍFB002.03000 | |
강연선 설치 | ||||||
- Ø12.7mm | ton | ( ) | 211,956 | ( A4 ) | ㆍFB002.04000 | |
- Ø15.2mm | ton | ( ) | 175,820 | ( A5 ) | ㆍFB002.05000 | |
인장 | ||||||
- Ø12.7mm | 개소 | ( ) | 60,968 | ( A6 ) | ㆍFB002.06000 | |
- Ø15.2mm | 개소 | ( ) | 70,077 | ( A7 ) | ㆍFB002.07000 | |
그라우팅 | m3 | ( ) | 608,338 | ( A8 ) | ㆍFB002.08000 | |
강재거푸집(장비사용)/ 일반 |
m² | ( ) | 24,471 | ( A9 ) | ㆍED403.04000 | |
철근 현장가공 및 조립 /TYPE-Ⅰ |
ton | ( ) | 622,948 | ( A10 ) | ㆍEE001.20000 | |
철근콘크리트 타설 /펌프차, 보통, S=15 |
m³ | ( ) | 18,887 | ( A11 ) | ㆍEC201.02152 | |
소계 | A1~A11의 합( ① ) | |||||
부대공 (B) |
* 실 설계수량 × 시중물가 | |||||
몰탈비빔 | m³ | ( ) | ( ) | ( B1 ) | ||
PVC파이프 | m | ( ) | ( ) | ( B2 ) | ||
빔 제작장 조성 | 본 | ( ) | ( ) | ( B3 ) | ㆍ임대료제외 | |
용접 및 검사 | m | ( ) | ( ) | ( B4 ) | ||
기초잡석 부설 | m³ | ( ) | ( ) | ( B5 ) | ||
소계 | B1~B5의 합( ② ) ※항목별 직접계상이 곤란한 경우는 본체공사비 ①의 7% 계상 |
|||||
재료비 (C) |
* 실 설계수량 × 시중물가 | |||||
빔 제작대 재료 - 각재, 판재 등 |
m | ( ) | ( ) | ( C1 ) | ||
기초잡석 | m³ | ( ) | ( ) | ( C2 ) | ㆍ현장암 유용 | |
쉬즈관(Ø85mm이하) | m | ( ) | ( ) | ( C3 ) | ||
정착구(Ø12.7/Ø15.2mm) | 조 | ( ) | ( ) | ( C4 ) | ||
그라우팅 재료 - 시멘트, 혼화제 |
m3 | ( ) | ( ) | ( C5 ) | ||
강재거푸집 | m² | ( ) | ( ) | ( C6 ) | ||
소계 | C1~C6의 합( ③ ) | |||||
합계 | ① + ② + ③ | 목적물 단위당 단가 | ||||
* 철근, 콘크리트, 강연선의 구입 및 운반비는 별도 산정한다. |
③ 표준도
<PSC BEAM(L=25m) 표준도>
<PSC BEAM(L=30m) 표준도>
<PSC BEAM(L=35m) 표준도>
대분류 G | 관 공 사 |
■ G****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흄관)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GA211.0025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250mm | m | 21,153 | 68% |
GA211.0030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300mm | m | 26,506 | 69% |
GA211.0035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350mm | m | 32,112 | 71% |
GA211.0040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400mm | m | 37,895 | 72% |
GA311.0045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450mm | m | 43,860 | 73% |
GA311.0050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500mm | m | 49,950 | 73% |
GA311.0060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600mm | m | 62,663 | 75% |
GA411.0070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700mm | m | 76,537 | 76% |
GA411.0080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800mm | m | 90,299 | 77% |
GA411.0090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900mm | m | 104,495 | 78% |
GA511.0100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1,000mm | m | 119,077 | 79% |
GA511.0110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1,100mm | m | 134,028 | 80% |
GA511.0120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1,200mm | m | 149,992 | 80% |
GA611.0135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1,350mm | m | 173,531 | 81% |
GA611.0150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1,500mm | m | 197,669 | 82% |
GA711.0165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1,650mm | m | 222,483 | 83% |
GA711.0180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1,800mm | m | 247,869 | 84% |
GA811.0200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2,000mm | m | 282,456 | 85% |
【단가정의】
①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2.5m)의 소켓식 접합을 기준한 것이다.
② 관부설 및 접합, 절단, 자재하차 작업을 포함하며, 관로의 터파기, 되메우기, 물푸기, 잔토처리 및 기초작업은 제외되어 있다.
③ 원심력철근콘크리트관, 고무링의 구입 및 운반 비용은 제외되어 있으며, 소모재료(접합용 모르타르 등) 비용은 포함한다.
【단가보정】
- 관공사는 토공사(굴착 및 복구공사 등)에 영향을 받아 시공되는 기준으로 현장의 시공조건을 고려하여 다음 계수를 곱하여 적용한다.
구 분 | 표준시장단가 | 노무비율 |
- 당일 굴착 및 복구공사에 영향을 받으며 시공하는 현장 - 통행제한, 지장물(매립물 등) 등으로 인해 연속적인 굴착이 불가능하여 굴착과 관부설 및 접합을 병행하여 반복적으로 시공하는 경우 |
1.00 | 1.00 |
- 당일 굴착 및 복구공사에 영향을 받으며 시공하는 현장 - 굴착 작업이 분리 선행되어 부설 및 접합을 연속적으로 시공하는 경우 |
0.75 | 1.00 |
- 굴착 및 복구공사의 영향없이 시공하는 현장 - 선행작업(굴착공사 또는 기초공사)이 완료된 상태의 개착구간으로 부설 및 접합을 단독으로 시공하는 경우 |
0.50 | 1.00 |
■ G****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흄관)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GA212.0040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 /PE수밀밸트 |
∅400mm | m | 31,464 | 70% |
GA312.0060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 /PE수밀밸트 |
∅600mm | m | 58,470 | 75% |
GA412.0080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 /PE수밀밸트 |
∅800mm | m | 87,211 | 76% |
GA512.0100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 /PE수밀밸트 |
∅1,000mm | m | 113,572 | 79% |
GA512.0120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 /PE수밀밸트 |
∅1,200mm | m | 145,776 | 80% |
【단가정의】
①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2.5m)의 P.E수밀밸트 접합을 기준한 것이다.
② 관부설 및 접합, 절단, 자재하차 작업을 포함하며, 관로의 터파기, 되메우기, 물푸기, 잔토처리 및 기초작업은 제외되어 있다.
③ 원심력철근콘크리트관, 접합부속물(P.E수밀밸트, 볼트)의 구입 및 운반비용은 제외되어 있다.
【단가보정】
- 관공사는 토공사(굴착 및 복구공사 등)에 영향을 받아 시공되는 기준으로 현장의 시공조건을 고려하여 다음 계수를 곱하여 적용한다.
구 분 | 표준시장단가 | 노무비율 |
- 당일 굴착 및 복구공사에 영향을 받으며 시공하는 현장 - 통행제한, 지장물(매립물 등) 등으로 인해 연속적인 굴착이 불가능하여 굴착과 관부설 및 접합을 병행하여 반복적으로 시공하는 경우 |
1.00 | 1.00 |
- 당일 굴착 및 복구공사에 영향을 받으며 시공하는 현장 - 굴착 작업이 분리 선행되어 부설 및 접합을 연속적으로 시공하는 경우 |
0.75 | 1.00 |
- 굴착 및 복구공사의 영향없이 시공하는 현장 - 선행작업(굴착공사 또는 기초공사)이 완료된 상태의 개착구간으로 부설 및 접합을 단독으로 시공하는 경우 |
0.50 | 1.00 |
■ G**** 진동 및 전압 철근콘크리트관(V.R관)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GA214.00250 | 진동 및 전압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250mm | m | 21,962 | 67% |
GA214.00300 | 진동 및 전압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300mm | m | 27,547 | 69% |
GA214.00350 | 진동 및 전압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350mm | m | 33,163 | 70% |
GA214.00400 | 진동 및 전압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400mm | m | 38,926 | 71% |
GA314.00450 | 진동 및 전압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450mm | m | 44,848 | 72% |
GA314.00500 | 진동 및 전압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500mm | m | 50,928 | 73% |
GA314.00600 | 진동 및 전압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600mm | m | 64,268 | 75% |
GA414.00700 | 진동 및 전압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700mm | m | 77,946 | 75% |
GA414.00800 | 진동 및 전압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800mm | m | 91,556 | 76% |
GA414.00900 | 진동 및 전압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900mm | m | 105,322 | 77% |
GA514.01000 | 진동 및 전압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1,000mm | m | 119,942 | 78% |
GA514.01100 | 진동 및 전압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1,100mm | m | 134,896 | 79% |
GA514.01200 | 진동 및 전압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1,200mm | m | 150,815 | 79% |
GA614.01350 | 진동 및 전압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1,350mm | m | 174,485 | 80% |
GA614.01500 | 진동 및 전압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1,500mm | m | 198,758 | 81% |
GA714.01650 | 진동 및 전압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1,650mm | m | 223,711 | 82% |
GA714.01800 | 진동 및 전압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1,800mm | m | 249,237 | 83% |
【단가정의】
① 진동 및 전압 철근콘크리트관(V.R관, 2.5m)의 소켓식 접합을 기준한 것이다.
② 관부설 및 접합, 절단, 자재하차 작업을 포함하며, 관로의 터파기, 되메우기, 물푸기, 잔토처리 및 기초작업은 제외되어 있다.
③ 진동 및 전압철근콘크리트관, 고무링의 구입 및 운반비용은 제외되어 있으며, 소모재료(접합용 모르타르 등) 비용은 포함한다.
【단가보정】
- 관공사는 토공사(굴착 및 복구공사 등)에 영향을 받아 시공되는 기준으로 현장의 시공조건을 고려하여 다음 계수를 곱하여 적용한다.
구 분 | 표준시장단가 | 노무비율 |
- 당일 굴착 및 복구공사에 영향을 받으며 시공하는 현장 - 통행제한, 지장물(매립물 등) 등으로 인해 연속적인 굴착이 불가능하여 굴착과 관부설 및 접합을 병행하여 반복적으로 시공하는 경우 |
1.00 | 1.00 |
- 당일 굴착 및 복구공사에 영향을 받으며 시공하는 현장 - 굴착 작업이 분리 선행되어 부설 및 접합을 연속적으로 시공하는 경우 |
0.75 | 1.00 |
- 굴착 및 복구공사의 영향없이 시공하는 현장 - 선행작업(굴착공사 또는 기초공사)이 완료된 상태의 개착구간으로 부설 및 접합을 단독으로 시공하는 경우 |
0.50 | 1.00 |
■ G**** 폴리에스테르수지 콘크리트관(PRC관)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GA215.00250 | 폴리에스테르수지 콘크리트관/소켓식 | ∅250mm | m | 20,608 | 67% |
GA215.00300 | 폴리에스테르수지 콘크리트관/소켓식 | ∅300mm | m | 25,846 | 69% |
GA215.00350 | 폴리에스테르수지 콘크리트관/소켓식 | ∅350mm | m | 31,538 | 70% |
GA215.00400 | 폴리에스테르수지 콘크리트관/소켓식 | ∅400mm | m | 37,409 | 71% |
GA315.00450 | 폴리에스테르수지 콘크리트관/소켓식 | ∅450mm | m | 43,360 | 72% |
GA315.00500 | 폴리에스테르수지 콘크리트관/소켓식 | ∅500mm | m | 49,511 | 73% |
GA315.00600 | 폴리에스테르수지 콘크리트관/소켓식 | ∅600mm | m | 61,569 | 75% |
GA415.00700 | 폴리에스테르수지 콘크리트관/소켓식 | ∅700mm | m | 75,447 | 75% |
GA415.00800 | 폴리에스테르수지 콘크리트관/소켓식 | ∅800mm | m | 89,157 | 76% |
GA415.00900 | 폴리에스테르수지 콘크리트관/소켓식 | ∅900mm | m | 103,290 | 77% |
GA515.01000 | 폴리에스테르수지 콘크리트관/소켓식 | ∅1,000mm | m | 117,850 | 78% |
GA515.01100 | 폴리에스테르수지 콘크리트관/소켓식 | ∅1,100mm | m | 132,828 | 79% |
GA515.01200 | 폴리에스테르수지 콘크리트관/소켓식 | ∅1,200mm | m | 148,886 | 79% |
【단가정의】
① 폴리에스테르수지 콘크리트관(PRC관, 2.5m)의 소켓식 접합을 기준한 것이다.
② 관부설 및 접합, 절단, 자재하차 작업을 포함하며, 관로의 터파기, 되메우기, 물푸기, 잔토처리 및 기초작업은 제외되어 있다.
③ 폴리에스테르수지콘크리트관, 고무링의 구입 및 운반 비용은 제외되어 있으며, 소모재료(접합용 모르타르 등) 비용은 포함한다.
【단가보정】
- 관공사는 토공사(굴착 및 복구공사 등)에 영향을 받아 시공되는 기준으로 현장의 시공조건을 고려하여 다음 계수를 곱하여 적용한다.
구 분 | 표준시장단가 | 노무비율 |
- 당일 굴착 및 복구공사에 영향을 받으며 시공하는 현장 - 통행제한, 지장물(매립물 등) 등으로 인해 연속적인 굴착이 불가능하여 굴착과 관부설 및 접합을 병행하여 반복적으로 시공하는 경우 |
1.00 | 1.00 |
- 당일 굴착 및 복구공사에 영향을 받으며 시공하는 현장 - 굴착 작업이 분리 선행되어 부설 및 접합을 연속적으로 시공하는 경우 |
0.75 | 1.00 |
- 굴착 및 복구공사의 영향없이 시공하는 현장 - 선행작업(굴착공사 또는 기초공사)이 완료된 상태의 개착구간으로 부설 및 접합을 단독으로 시공하는 경우 |
0.50 | 1.00 |
■ GB*** 주철관 부설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GB201.00100 | 주철관 부설 | ø100mm이하 | 본 | 32,460 | 68% |
GB201.00120 | 주철관 부설 | ø120mm | 본 | 41,775 | 70% |
GB201.00150 | 주철관 부설 | ø150mm | 본 | 47,131 | 70% |
GB201.00200 | 주철관 부설 | ø200mm | 본 | 51,270 | 70% |
GB301.00200 | 주철관 부설 | ø250mm | 본 | 57,820 | 72% |
GB301.00300 | 주철관 부설 | ø300mm | 본 | 65,064 | 74% |
GB301.00350 | 주철관 부설 | ø350mm | 본 | 78,353 | 75% |
GB301.00400 | 주철관 부설 | ø400mm | 본 | 96,799 | 77% |
GB401.00450 | 주철관 부설 | ø450mm | 본 | 110,417 | 79% |
GB401.00500 | 주철관 부설 | ø500mm | 본 | 121,450 | 81% |
GB401.00600 | 주철관 부설 | ø600mm | 본 | 146,271 | 83% |
GB401.00700 | 주철관 부설 | ø700mm | 본 | 175,093 | 82% |
GB501.00800 | 주철관 부설 | ø800mm | 본 | 215,815 | 84% |
GB501.00900 | 주철관 부설 | ø900mm | 본 | 270,533 | 87% |
GB501.01000 | 주철관 부설 | ø1,000mm | 본 | 317,551 | 87% |
GB501.01100 | 주철관 부설 | ø1,100mm | 본 | 346,959 | 88% |
GB601.01200 | 주철관 부설 | ø1,200mm | 본 | 378,483 | 88% |
【단가정의】
① 주철관(직관(6m) 및 이형관, 곡관)의 부설 작업을 기준한 것이다.
② 관부설 및 위치조정, 경고테이프 설치를 포함하며, 관로의 터파기, 되메우기, 물푸기, 잔토처리 및 기초작업은 제외되어 있다.
③ 주철관 재료비는 제외되어 있다.
【단가보정】
- 관공사는 토공사(굴착 및 복구공사 등)에 영향을 받아 시공되는 기준으로 현장의 시공조건을 고려하여 다음 계수를 곱하여 적용한다.
구 분 | 표준시장단가 | 노무비율 |
- 당일 굴착 및 복구공사에 영향을 받으며 시공하는 현장 - 통행제한, 지장물(매립물 등) 등으로 인해 연속적인 굴착이 불가능하여 굴착과 관부설 및 접합을 병행하여 반복적으로 시공하는 경우 |
1.00 | 1.00 |
- 당일 굴착 및 복구공사에 영향을 받으며 시공하는 현장 - 굴착 작업이 분리 선행되어 부설 및 접합을 연속적으로 시공하는 경우 |
0.75 | 1.00 |
- 굴착 및 복구공사의 영향없이 시공하는 현장 - 선행작업(굴착공사 또는 기초공사)이 완료된 상태의 개착구간으로 부설 및 접합을 단독으로 시공하는 경우 |
0.50 | 1.00 |
■ GB*** 주철관 접합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GB202.00100 | 주철관 / KP매커니컬 접합 | ø100mm이하 | nr(개소) | 10,542 | 98% |
GB202.00120 | 주철관 / KP매커니컬 접합 | ø120mm | nr(개소) | 12,477 | 98% |
GB202.00150 | 주철관 / KP매커니컬 접합 | ø150mm | nr(개소) | 15,813 | 98% |
GB202.00200 | 주철관 / KP매커니컬 접합 | ø200mm | nr(개소) | 19,147 | 98% |
GB302.00200 | 주철관 / KP매커니컬 접합 | ø250mm | nr(개소) | 29,691 | 98% |
GB302.00300 | 주철관 / KP매커니컬 접합 | ø300mm | nr(개소) | 33,561 | 98% |
GB302.00350 | 주철관 / KP매커니컬 접합 | ø350mm | nr(개소) | 42,167 | 98% |
GB302.00400 | 주철관 / KP매커니컬 접합 | ø400mm | nr(개소) | 61,315 | 98% |
GB402.00450 | 주철관 / KP매커니컬 접합 | ø450mm | nr(개소) | 73,794 | 98% |
GB402.00500 | 주철관 / KP매커니컬 접합 | ø500mm | nr(개소) | 82,401 | 98% |
GB402.00600 | 주철관 / KP매커니컬 접합 | ø600mm | nr(개소) | 108,754 | 98% |
GB402.00700 | 주철관 / KP매커니컬 접합 | ø700mm | nr(개소) | 129,839 | 98% |
GB502.00800 | 주철관 / KP매커니컬 접합 | ø800mm | nr(개소) | 172,006 | 98% |
GB502.00900 | 주철관 / KP매커니컬 접합 | ø900mm | nr(개소) | 229,989 | 98% |
GB502.01000 | 주철관 / KP매커니컬 접합 | ø1000mm | nr(개소) | 286,571 | 98% |
GB502.01100 | 주철관 / KP매커니컬 접합 | ø1100mm | nr(개소) | 316,261 | 98% |
GB602.01200 | 주철관 / KP매커니컬 접합 | ø1200mm | nr(개소) | 342,616 | 98% |
【단가정의】
① 부설 후 정위치된 주철관(직관, 이형관, 곡관 포함)의 인력에 의한 접합을 기준한 것이다.
② 접합부속물(압륜, 볼트 등)의 재료비는 제외되어 있다.
【단가보정】
① 관공사는 토공사(굴착 및 복구공사 등)에 영향을 받아 시공되는 기준으로 현장의 시공조건을 고려하여 다음 계수를 곱하여 적용한다.
구 분 | 표준시장단가 | 노무비율 |
- 당일 굴착 및 복구공사에 영향을 받으며 시공하는 현장 - 통행제한, 지장물(매립물 등) 등으로 인해 연속적인 굴착이 불가능하여 굴착과 관부설 및 접합을 병행하여 반복적으로 시공하는 경우 |
1.00 | 1.00 |
- 당일 굴착 및 복구공사에 영향을 받으며 시공하는 현장 - 굴착 작업이 분리 선행되어 부설 및 접합을 연속적으로 시공하는 경우 |
0.75 | 1.00 |
- 굴착 및 복구공사의 영향없이 시공하는 현장 - 선행작업(굴착공사 또는 기초공사)이 완료된 상태의 개착구간으로 부설 및 접합을 단독으로 시공하는 경우 |
0.50 | 1.00 |
② 이탈방지 압륜을 사용하여 접합할 경우 단가 및 노무비율에 다음 계수를 곱하여 적용한다.
구분 | 단가 | 노무비율 |
이탈방지 압륜 | 1.30 | 1.00 |
■ GB*** 주철관 절단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GB200.01001 | 주철관 절단 | ø100mm이하 | nr(개소) | 32,154 | 95% |
GB200.01201 | 주철관 절단 | ø120mm | nr(개소) | 33,760 | 95% |
GB200.01501 | 주철관 절단 | ø150mm | nr(개소) | 35,367 | 95% |
GB200.02001 | 주철관 절단 | ø200mm | nr(개소) | 38,552 | 79% |
GB300.02001 | 주철관 절단 | ø250mm | nr(개소) | 41,764 | 79% |
GB300.03001 | 주철관 절단 | ø300mm | nr(개소) | 44,978 | 79% |
GB300.03501 | 주철관 절단 | ø350mm | nr(개소) | 48,188 | 79% |
GB300.04001 | 주철관 절단 | ø400mm | nr(개소) | 54,615 | 79% |
GB400.04501 | 주철관 절단 | ø450mm | nr(개소) | 57,828 | 79% |
GB400.05001 | 주철관 절단 | ø500mm | nr(개소) | 61,040 | 79% |
GB400.06001 | 주철관 절단 | ø600mm | nr(개소) | 70,677 | 79% |
GB400.07001 | 주철관 절단 | ø700mm | nr(개소) | 77,105 | 79% |
GB500.08001 | 주철관 절단 | ø800mm | nr(개소) | 86,741 | 79% |
GB500.09001 | 주철관 절단 | ø900mm | nr(개소) | 96,381 | 79% |
GB500.10001 | 주철관 절단 | ø1,000mm | nr(개소) | 106,019 | 79% |
GB500.11001 | 주철관 절단 | ø1,100mm | nr(개소) | 115,656 | 79% |
GB600.12001 | 주철관 절단 | ø1,200mm | nr(개소) | 125,293 | 79% |
【단가정의】
① 절단기(규격:40.64㎝)를 사용한 주철관 절단을 기준한 것이다.
② 200mm이상에서는 관의 이동 및 지지를 위한 장비비를 포함한다.
③ 소모재료비(커터날 등)를 포함한다.
■ GC*** 파형강관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GC301.00300 | 파형강관 | ∅300mm | m | 4,153 | 66% |
GC301.00400 | 파형강관 | ∅400mm | m | 6,393 | 68% |
GC401.00450 | 파형강관 | ∅450mm | m | 7,466 | 69% |
GC401.00500 | 파형강관 | ∅500mm | m | 8,251 | 70% |
GC401.00600 | 파형강관 | ∅600mm | m | 9,804 | 71% |
GC401.00700 | 파형강관 | ∅700mm | m | 11,340 | 72% |
GC501.00800 | 파형강관 | ∅800mm | m | 12,868 | 73% |
GC501.01000 | 파형강관 | ∅1,000mm | m | 15,897 | 75% |
GC501.01200 | 파형강관 | ∅1,200mm | m | 18,901 | 77% |
GC601.01350 | 파형강관 | ∅1,350mm | m | 21,117 | 77% |
GC601.01500 | 파형강관 | ∅1,500mm | m | 23,734 | 78% |
【단가정의】
① 나선형 파형강관(6m)의 부설 및 커플링 밴드 접합을 기준한 것이다.
② 관부설 및 접합, 절단, 자재하차 작업을 포함하며, 관로의 터파기, 되메우기, 물푸기, 잔토처리 및 기초작업은 제외되어 있다.
③ 파형강관 및 접합부품의 구입 및 운반비는 제외되어 있다.
【단가보정】
① 관공사는 토공사(굴착 및 복구공사 등)에 영향을 받아 시공되는 기준으로 현장의 시공조건을 고려하여 다음 계수를 곱하여 적용한다.
구 분 | 표준시장단가 | 노무비율 |
- 당일 굴착 및 복구공사에 영향을 받으며 시공하는 현장 - 통행제한, 지장물(매립물 등) 등으로 인해 연속적인 굴착이 불가능하여 굴착과 관부설 및 접합을 병행하여 반복적으로 시공하는 경우 |
1.00 | 1.00 |
- 당일 굴착 및 복구공사에 영향을 받으며 시공하는 현장 - 굴착 작업이 분리 선행되어 부설 및 접합을 연속적으로 시공하는 경우 |
0.75 | 1.00 |
- 굴착 및 복구공사의 영향없이 시공하는 현장 - 선행작업(굴착공사 또는 기초공사)이 완료된 상태의 개착구간으로 부설 및 접합을 단독으로 시공하는 경우 |
0.50 | 1.00 |
② 8m(본당) 파형강관을 적용할 경우 다음 계수를 곱하여 적용한다.
구 분 | 표준시장단가 | 노무비율 |
8m(본당) | 0.77 | 0.99 |
■ GD02* PVC 이중벽관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GD021.00150 | PVC이중벽관/소켓식 | ø150mm | m | 3,679 | 87% |
GD021.00200 | PVC이중벽관/소켓식 | ø200mm | m | 4,772 | 87% |
GD021.00250 | PVC이중벽관/소켓식 | ø250mm | m | 6,864 | 87% |
GD021.00300 | PVC이중벽관/소켓식 | ø300mm | m | 8,452 | 87% |
【단가정의】
① PVC 이중벽관(6m/비압력관)의 소켓식 접합을 기준한 것이다.
② 관부설 및 접합, 절단, 자재하차 작업을 포함하며, 관로의 터파기, 되메우기, 물푸기, 잔토처리 및 기초작업은 제외되어 있다.
③ PVC이중벽관, 소켓, 고무링의 구입 및 운반 비용은 제외되어 있다.
④ 개량형 PVC관의 소켓식 접합에도 이 단가를 적용할 수 있다.
【단가보정】
- 관공사는 토공사(굴착 및 복구공사 등)에 영향을 받아 시공되는 기준으로 현장의 시공조건을 고려하여 다음 계수를 곱하여 적용한다.
구 분 | 표준시장단가 | 노무비율 |
- 당일 굴착 및 복구공사에 영향을 받으며 시공하는 현장 - 통행제한, 지장물(매립물 등) 등으로 인해 연속적인 굴착이 불가능하여 굴착과 관부설 및 접합을 병행하여 반복적으로 시공하는 경우 |
1.00 | 1.00 |
- 당일 굴착 및 복구공사에 영향을 받으며 시공하는 현장 - 굴착 작업이 분리 선행되어 부설 및 접합을 연속적으로 시공하는 경우 |
0.75 | 1.00 |
- 굴착 및 복구공사의 영향없이 시공하는 현장 - 선행작업(굴착공사 또는 기초공사)이 완료된 상태의 개착구간으로 부설 및 접합을 단독으로 시공하는 경우 |
0.50 | 1.00 |
■ GE*** 유리섬유복합관(GRP관)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GE001.00250 | 유리섬유복합관(GRP관)/소켓식 | ∅250mm | m | 8,194 | 68% |
GE001.00300 | 유리섬유복합관(GRP관)/소켓식 | ∅300mm | m | 8,997 | 69% |
GE001.00350 | 유리섬유복합관(GRP관)/소켓식 | ∅350mm | m | 10,091 | 71% |
GE001.00400 | 유리섬유복합관(GRP관)/소켓식 | ∅400mm | m | 11,946 | 72% |
GE001.00450 | 유리섬유복합관(GRP관)/소켓식 | ∅450mm | m | 13,653 | 73% |
GE001.00500 | 유리섬유복합관(GRP관)/소켓식 | ∅500mm | m | 15,791 | 73% |
GE001.00600 | 유리섬유복합관(GRP관)/소켓식 | ∅600mm | m | 19,774 | 75% |
GE001.00700 | 유리섬유복합관(GRP관)/소켓식 | ∅700mm | m | 23,488 | 76% |
GE001.00800 | 유리섬유복합관(GRP관)/소켓식 | ∅800mm | m | 27,375 | 77% |
GE001.00900 | 유리섬유복합관(GRP관)/소켓식 | ∅900mm | m | 30,929 | 78% |
GE001.01000 | 유리섬유복합관(GRP관)/소켓식 | ∅1,000mm | m | 36,598 | 79% |
GE001.01100 | 유리섬유복합관(GRP관)/소켓식 | ∅1,100mm | m | 40,560 | 80% |
GE001.01200 | 유리섬유복합관(GRP관)/소켓식 | ∅1,200mm | m | 45,243 | 80% |
GE001.01350 | 유리섬유복합관(GRP관)/소켓식 | ∅1,350mm | m | 50,921 | 81% |
GE001.01500 | 유리섬유복합관(GRP관)/소켓식 | ∅1,500mm | m | 56,929 | 82% |
【단가정의】
① 유리섬유복합관(GRP관, 6m/비압력관)의 소켓식 접합을 기준한 것이다.
② 관부설 및 접합, 절단, 자재하차 작업을 포함하며, 관로의 터파기, 되메우기, 물푸기, 잔토처리 및 기초작업은 제외되어 있다.
③ GRP관, 고무링의 구입 및 운반 비용은 제외되어 있다.
【단가보정】
- 관공사는 토공사(굴착 및 복구공사 등)에 영향을 받아 시공되는 기준으로 현장의 시공조건을 고려하여 다음 계수를 곱하여 적용한다.
구 분 | 표준시장단가 | 노무비율 |
- 당일 굴착 및 복구공사에 영향을 받으며 시공하는 현장 - 통행제한, 지장물(매립물 등) 등으로 인해 연속적인 굴착이 불가능하여 굴착과 관부설 및 접합을 병행하여 반복적으로 시공하는 경우 |
1.00 | 1.00 |
- 당일 굴착 및 복구공사에 영향을 받으며 시공하는 현장 - 굴착 작업이 분리 선행되어 부설 및 접합을 연속적으로 시공하는 경우 |
0.75 | 1.00 |
- 굴착 및 복구공사의 영향없이 시공하는 현장 - 선행작업(굴착공사 또는 기초공사)이 완료된 상태의 개착구간으로 부설 및 접합을 단독으로 시공하는 경우 |
0.50 | 1.00 |
■ GR03* 내충격수도관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GR031.00080 | 내충격수도관/소켓식 | ∅80mm | m | 3,849 | 83% |
GR031.00100 | 내충격수도관/소켓식 | ∅100mm | m | 5,312 | 83% |
GR031.00150 | 내충격수도관/소켓식 | ∅150mm | m | 7,203 | 83% |
GR031.00200 | 내충격수도관/소켓식 | ∅200mm | m | 9,034 | 83% |
GR031.00250 | 내충격수도관/소켓식 | ∅250mm | m | 10,866 | 83% |
GR031.00300 | 내충격수도관/소켓식 | ∅300mm | m | 12,146 | 83% |
【단가정의】
① 내충격수도관(내충격성 경질염화비닐관(HIVP), 6m/압력관)의 소켓식 접합을 기준한 것이다.
② 관부설 및 접합, 절단, 자재하차 작업을 포함하며, 관로의 터파기, 되메우기, 물푸기, 잔토처리 및 기초작업은 제외되어 있다.
③ 이탈방지장치(편수이탈방지압륜)의 설치는 제외되어 있다.
④ 내충격수도관, 고무링의 구입 및 운반 비용, 수압시험비는 제외되어 있다.
【단가보정】
- 관공사는 토공사(굴착 및 복구공사 등)에 영향을 받아 시공되는 기준으로 현장의 시공조건을 고려하여 다음 계수를 곱하여 적용한다.
구 분 | 표준시장단가 | 노무비율 |
- 당일 굴착 및 복구공사에 영향을 받으며 시공하는 현장 - 통행제한, 지장물(매립물 등) 등으로 인해 연속적인 굴착이 불가능하여 굴착과 관부설 및 접합을 병행하여 반복적으로 시공하는 경우 |
1.00 | 1.00 |
- 당일 굴착 및 복구공사에 영향을 받으며 시공하는 현장 - 굴착 작업이 분리 선행되어 부설 및 접합을 연속적으로 시공하는 경우 |
0.75 | 1.00 |
- 굴착 및 복구공사의 영향없이 시공하는 현장 - 선행작업(굴착공사 또는 기초공사)이 완료된 상태의 개착구간으로 부설 및 접합을 단독으로 시공하는 경우 |
0.50 | 1.00 |
대분류 E | 현장타설 콘크리트 공사 |
■ EC*** 콘크리트 타설 / 장비사용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EC110.12000 | 콘크리트 타설 /장비사용 |
무근콘크리트 | m3 | 24,463 | 80% |
EC220.12000 | 콘크리트 타설 /장비사용 |
철근콘크리트 | m3 | 27,620 | 80% |
EC150.12000 | 콘크리트 타설 /장비사용 |
소형구조물 | m3 | 44,586 | 80% |
【단가정의】
① 믹서트럭에서 굴삭기로 공급받아 타설위치에 직접 타설하는 작업을 기준한 것이다.
② 현장 내 콘크리트 운반, 타설, 다짐, 양생준비 작업을 포함한다.
③ 레미콘 재료비,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 및 표면마무리 비용은 제외되어 있다.
④ 소형구조물은 개소별 소량(6m3 이하)의 타설 위치가 산재되어 있는 경우에 적용한다.
■ EC*** 콘크리트 타설 / 펌프차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EC101.01152 | 무근콘크리트 타설 /펌프차 |
양호, 100~150m3이하/1회 |
m3 | 14,792 | 67% |
EC101.02152 | 무근콘크리트 타설 /펌프차 |
보통, 100~150m3이하/1회 |
m3 | 17,059 | 66% |
EC101.03152 | 무근콘크리트 타설 /펌프차 |
불량, 100~150m3이하/1회 |
m3 | 19,336 | 66% |
EC101.04052 | 무근콘크리트 타설 /펌프차 |
매우불량, 40~50m3이하/1회 |
m3 | 66,839 | 60% |
EC201.01152 | 철근콘크리트 타설 /펌프차 |
양호, 100~150m3이하/1회 |
m3 | 16,364 | 67% |
EC201.02152 | 철근콘크리트 타설 /펌프차 |
보통, 100~150m3이하/1회 |
m3 | 18,887 | 67% |
EC201.03152 | 철근콘크리트 타설 /펌프차 |
불량, 100~150m3이하/1회 |
m3 | 21,395 | 66% |
EC201.04052 | 철근콘크리트 타설 /펌프차 |
매우불량, 40~50m3이하/1회 |
m3 | 72,401 | 60% |
【단가정의】
① 콘크리트펌프차(80m3/hr 이상)에 의한 콘크리트의 타설(붐타설, 슬럼프 15) 작업을 기준한 것이다.
② 단일구조물의 1회 타설(셋팅 및 마감) 비용이며, 작업시간내에 인접되어 있는 두개 이상의 구조물을 연속하여 타설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③ 타설준비 및 마무리, 펌프차 타설(세팅, 마감), 다짐, 양생준비 작업을 포함한다.
④ 레미콘 재료비,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 및 표면마무리 비용은 제외되어 있다.
⑤ 배관으로 타설해야 할 경우에는 이 단가를 적용하지 않는다.
⑥ 타설 횟수는 설계(시공단계에 따른 타설 위치) 및 시공조건(일 작업시간, 시공이음, 1회 가능 타설수량 등)을 고려하여 산정한다.
⑦ 규격별 적용유형은 아래를 참고한다.
구 분 | 유 형 |
양호 | 매트기초 등 펌프차 작업에 제약이 없는 시설물 |
보통 | 벽, 기둥, 보, 슬라브, 교대, 교각 등 일반적인 시설물 |
불량 | 줄기초, 슬래브없는 [월거더]구조의 기둥과 보 등 펌프차 작업에 제약을 받는 타설부위가 좁거나 깊은 시설물 |
매우불량 | 절/성토부 비탈면에 시공되는 구조물로 펌프차의 이동이 빈번하는 등 펌프차 작업에 제약이 매우 큰 시설물 |
【단가보정】
① 타설규모 및 슬럼프에 따라 시장단가에 다음 계수를 곱하여 적용한다.
구분 (1회 타설규모m3) |
무근콘크리트 타설 | ||||||||
양호 | 보통 | 불량 | 매우불량 | ||||||
8~12 | 15이상 | 8~12 | 15이상 | 8~12 | 15이상 | 8~12 | 15이상 | ||
표준 시장단가 |
30이하 | 2.06 | 1.98 | 1.95 | 1.88 | 1.87 | 1.80 | 1.10 | 1.05 |
30~40이하 | 1.80 | 1.72 | 1.73 | 1.65 | 1.68 | 1.60 | 1.04 | 1.00 | |
40~50이하 | 1.63 | 1.55 | 1.58 | 1.50 | 1.54 | 1.46 | 1.00 | 0.95 | |
50~70이하 | 1.44 | 1.37 | 1.42 | 1.34 | 1.39 | 1.32 | 0.95 | 0.90 | |
70~100이하 | 1.25 | 1.18 | 1.24 | 1.17 | 1.23 | 1.16 | - | ||
100~150이하 | 1.06 | 1.00 | 1.06 | 1.00 | 1.06 | 1.00 | |||
150~200이하 | 0.92 | 0.86 | 0.93 | 0.87 | 0.93 | 0.88 | |||
200초과 | 0.83 | 0.77 | 0.84 | 0.78 | 0.85 | 0.79 |
구분 (1회 타설규모m3) |
철근콘크리트 타설 | ||||||||
양호 | 보통 | 불량 | 매우불량 | ||||||
8~12 | 15이상 | 8~12 | 15이상 | 8~12 | 15이상 | 8~12 | 15이상 | ||
표준 시장단가 |
30이하 | 1.99 | 1.91 | 1.88 | 1.81 | 1.80 | 1.73 | 1.08 | 1.03 |
30~40이하 | 1.75 | 1.67 | 1.68 | 1.61 | 1.63 | 1.56 | 1.04 | 0.99 | |
40~50이하 | 1.59 | 1.51 | 1.54 | 1.47 | 1.51 | 1.43 | 1.00 | 0.95 | |
50~70이하 | 1.42 | 1.35 | 1.40 | 1.32 | 1.38 | 1.30 | 0.95 | 0.90 | |
70~100이하 | 1.24 | 1.17 | 1.23 | 1.16 | 1.22 | 1.15 | - | ||
100~150이하 | 1.06 | 1.00 | 1.06 | 1.00 | 1.06 | 1.00 | |||
150~200이하 | 0.93 | 0.87 | 0.93 | 0.87 | 0.94 | 0.88 | |||
200초과 | 0.83 | 0.78 | 0.85 | 0.79 | 0.86 | 0.80 |
② 타설규모 및 슬럼프에 따라 노무비율에 다음 계수를 곱하여 적용한다.
구분 (1회 타설규모m3) |
무근콘크리트 타설, 철근콘크리트 타설 | ||||||||
양호,보통,불량 | 매우불량 | ||||||||
8~12, 15이상 | 8~12, 15이상 | ||||||||
노무 비율 |
30이하 | 0.88 | 0.95 | ||||||
30~40이하 | 0.90 | 0.98 | |||||||
40~50이하 | 0.92 | 1.00 | |||||||
50~70이하 | 0.94 | 1.03 | |||||||
70~100이하 | 0.97 | - | |||||||
100~150이하 | 1.00 | ||||||||
150~200이하 | 1.03 | ||||||||
200초과 | 1.05 |
■ ED*** 합판거푸집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ED001.05000 | 합판거푸집 | 제물치장, 0 ∼ 7m |
m2 | 109,115 | 70% |
ED001.04000 | 합판거푸집 | 소규모/매우복잡, 0 ∼ 7m |
m2 | 69,234 | 74% |
ED001.03000 | 합판거푸집 | 복잡, 0 ∼ 7m |
m2 | 60,829 | 74% |
ED001.02000 | 합판거푸집 | 보통, 0 ∼ 7m |
m2 | 44,446 | 70% |
ED001.01000 | 합판거푸집 | 간단, 0 ∼ 7m |
m2 | 38,903 | 70% |
【단가정의】
① 합판거푸집의 가공, 제작, 설치, 해체 작업을 기준한 것이다.
②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 작업중 유지보수(청소, 박리제 바름, 거푸집 보수) 작업을 포함한다.
③ 동바리 설치, 면정리(폼타이 홈메우기, 해체후 연마) 작업은 제외되어 있다.
④ 거푸집 재료비(재료손율, 할증 포함)는 포함하며, 폼타이 재료비는 제외되어 있다.
⑤ 제물치장에 소요되는 볼트, 나무덧쇠, 파이프 등의 비용은 제외되어 있다.
⑥ 거푸집 설치높이 7m이하에 적용하며, 7m초과시에는 매 3m 증가마다 노무비에 10%를 가산한다. (현장 여건에 따라 장비가 필요한 경우 양중장비 사용료를 별도 계상하고, 노무비를 가산하지 않는다.)
⑦ 규격별 적용유형은 아래를 참고한다.
구 분 | 전용회수 | 유 형 |
제물치장 | 1~2회 | 제물치장 콘크리트 |
소규모/ 매우복잡 |
2회 | 가로보 등 소규모로 산재되어 있는 구조 교대, 교각, 수문관의 본체 등 매우 복잡한 구조 |
복잡 | 3회 | 교대, 교각, 파라펫트, 날개벽 등 복잡한 벽체 구조 |
보통 | 4회 | 측구, 수로, 우물통 등 일반적인 벽체구조, 교량 슬래브 |
간단 | 6회 | 수문 또는 관의기초, 호안 및 보호공의 기초 등 |
■ ED*** 유로폼 거푸집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ED402.01000 | 유로폼 | 간단, 0∼7m | m2 | 30,904 | 84% |
ED402.02000 | 유로폼 | 보통, 0∼7m | m2 | 35,327 | 84% |
ED402.03000 | 유로폼 | 복잡, 0∼7m | m2 | 45,834 | 84% |
【단가정의】
① 유로폼 패널의 벽체 조립 및 해체 작업을 기준한 것이다.
②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 작업중 유지보수(청소, 박리제 바름, 거푸집 보수) 작업을 포함한다.
③ 면정리(해체후 연마) 작업은 제외되어 있다.
④ 거푸집 재료비(재료손율, 할증 포함)는 포함하며, 폼타이 재료비는 제외되어 있다.
⑤ 거푸집 설치높이 7m이하에 적용하며, 7m초과시에는 매 3m 증가마다 노무비에 10%를 가산한다. (현장 여건에 따라 장비가 필요한 경우 양중장비 사용료를 별도 계상하고, 노무비를 가산하지 않는다.)
⑥ 규격별 적용유형은 아래를 참고한다.
구 분 | 유 형 |
간 단 | 수문 또는 관의 기초, 매트기초 등 간단한 구조 |
보 통 | 측구, 수로, 옹벽, 일반적인 벽체, 박스 등 |
복 잡 | 교대, 날개벽 등 복잡하고 보강이 많은 구조 또는 폼 타이 시공이 필요한 경우 |
■ ED*** 강재 거푸집(장비사용)/ 자재비제외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ED403.04000 | 강재거푸집(장비사용) | 일반 | m2 | 24,471 | 85% |
ED403.05000 | 강재거푸집(장비사용) | 교각 | m2 | 39,804 | 71% |
ED403.06000 | 강재거푸집(장비사용) | 코핑 | m2 | 52,308 | 68% |
【단가정의】
① 강재거푸집의 장비조합 설치 및 해체 작업을 기준한 것이다.
② 일반 규격은 고소작업이 불필요하고 반복되는 작업(빔 제작 등)을 기준한 것이며, 교각 및 코핑 규격은 교량의 고소작업을 기준한 것이다.
③ 노무비 및 양중장비의 사용료를 포함한다.
④ 강재거푸집의 재료비, 고임 및 쇄기용 목재 손료는 제외되어 있다.
■ ED*** 문양거푸집/ 자재비 제외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ED405.01000 | 문양거푸집 | 1회 | m2 | 17,918 | 99% |
【단가정의】
① 문양거푸집(PE판넬)의 설치 및 해체작업을 기준한 것이다.
② 문양거푸집(PE판넬)의 재료비는 제외되어 있다.
③ 문양거푸집이 부착되는 거푸집(합판, 유로폼 등)의 재료비와 설치/해체비는 제외되어 있다.
■ EE*** 철근 가공 및 조립 / 현장가공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EE001.20000 | 철근 현장가공 및 조립 | Type-Ⅰ | ton | 622,948 | 89% |
EE001.30000 | 철근 현장가공 및 조립 | Type-Ⅱ | ton | 706,578 | 89% |
EE001.40000 | 철근 현장가공 및 조립 | Type-Ⅲ | ton | 783,284 | 89% |
【단가정의】
① 철근의 현장가공 및 조립 작업을 기준한 것이다.
② 철근의 이음(겹이음 또는 기계적 이음), 간격재 설치, 철근 인상작업을 포함한다.
③ 철근의 현장가공에 사용되는 장비(철근절단기, 철근절곡기 등)의 기계경비를 포함한다.
④ 재료의 구입 및 운반비(철근, 이음재(커플러), 간격재), 현장내 운반비는 제외되어 있다.
⑤ 규격별 적용유형은 아래를 참고한다.
구 분 | 유 형 |
Type-Ⅰ | 가. 철근가공 및 조립 작업이 일반적인 토목시설 (반중력식 옹벽, L형 옹벽, 교량 슬래브, 매트기초, 수문 등) 나. 특정위치에서 철근의 가공 및 조립이 반복되는 경우 (빔 제작, 철근망 등) |
Type-Ⅱ | 가. 철근가공 및 조립 작업이 복잡한 토목시설 (라멘교, 교대, 암거, 지하차도, 부벽식 옹벽 등) 나. 콘크리트대비 소량의 철근이 사용되는 경우 (측구/개거, 중력식 옹벽, 일체형 중앙분리대 등) |
Type-Ⅲ | 가. 철근가공 및 조립 작업이 매우 복잡한 토목시설 (교각, 구주식 교대 등) 나. 특수 구조시설물에서 철근직경 35mm를 초과하여 인력에 의한 단독시공이 어려운 경우 (원자력 발전소 등 플랜트 구조) |
⑥ 산재되어 있는 소형구조물(전체 철근량 3ton미만)에서는 노무비를 30%까지 가산할 수 있다.
■ EE*** 철근 가공 및 조립 / 공장가공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EE001.22000 | 철근 공장가공 및 조립 | Type-Ⅰ | ton | 550,995 | 83% |
EE001.32000 | 철근 공장가공 및 조립 | Type-Ⅱ | ton | 640,063 | 83% |
EE001.42000 | 철근 공장가공 및 조립 | Type-Ⅲ | ton | 731,086 | 83% |
【단가정의】
① 철근의 공장가공 및 현장조립 작업을 기준한 것이다.
② 철근의 이음(겹이음 또는 기계적 이음), 간격재 설치, 철근 인상작업을 포함한다.
③ 재료의 구입 및 운반비(철근, 이음재(커플러), 간격재), 현장내 운반비, 시공상세도(Shop Drawing) 작성비는 제외되어 있다.
④ 철근의 나사 가공 등 특수 공장가공비는 제외되어 있다.
⑤ 규격별 적용유형은 아래를 참고한다.
구 분 | 유 형 |
Type-Ⅰ | 가. 철근가공 및 조립 작업이 일반적인 토목시설 (반중력식 옹벽, L형 옹벽, 교량 슬래브, 매트기초, 수문 등) 나. 특정위치에서 철근의 가공 및 조립이 반복되는 경우 (빔 제작, 철근망 등) |
Type-Ⅱ | 가. 철근가공 및 조립 작업이 복잡한 토목시설 (라멘교, 교대, 암거, 지하차도, 부벽식 옹벽 등) 나. 콘크리트대비 소량의 철근이 사용되는 경우 (측구/개거, 중력식 옹벽, 일체형 중앙분리대 등) |
Type-Ⅲ | 가. 철근가공 및 조립 작업이 매우 복잡한 토목시설 (교각, 구주식 교대 등) 나. 특수 구조시설물에서 철근직경 35mm를 초과하여 인력에 의한 단독시공이 어려운 경우 (원자력 발전소 등 플랜트 구조) |
■ EF53* 지수판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EF530.02000 | 지수판/소켓식 | 200×5t | m | 17,983 | 97% |
【단가정의】
① 지수판 연결재(소켓사용)를 활용한 지수판 설치를 기준한 것이다.
② 지수판 절단 및 설치, 마감 작업을 포함한다.
③ 재료비는 제외되어 있다.
■ EF*** 신축이음(Expansion Joint)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EF800.01000 | 신축이음 설치 | 다웰바 | ea(개) | 11,396 | 97% |
EF300.00100 | 신축이음 설치 | 채움재 | m2 | 7,677 | 97% |
EF700.00100 | 신축이음 설치 | 실링마감 | m | 4,010 | 99% |
【단가정의】
① 다웰바(D25, L=1000mm이하)는 설치간격 150mm를 기준한 것이다.
② 채움재(발포 폴리스티렌)는 두께 20mm이하 를 기준한 것이다.
③ 실링마감은 V컷팅, 프라이머 바름, 백업재 삽입, 실링재 주입 작업을 포함한다.
④ 재료비는 제외되어 있다.
■ ER40* 콘크리트 접착제 바르기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ER400.10000 | 콘크리트 접착제 바르기 | Epoxy 접착제 | m2 | 29,247 | 81% |
【단가정의】
① 신구 콘크리트를 접착시키기 위하여 에폭시 접착제를 바르는 기준이다.
② Epoxy 접착제, 시너 등 신구 콘크리트 접합재료의 구입 및 운반비와 접합에 소요되는 인건비 및 기구손료를 포함한다.
③ 콘크리트 치핑에 소요되는 비용은 제외되어 있다.
■ ER40* 콘크리트 치핑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ER400.20000 | 콘크리트 치핑 | 소형장비 | m2 | 26,366 | 94% |
【단가정의】
① 소형치핑장비(소형브레이커, 치핑기)를 활용한 인력에 의한 작업 기준이다.
② 치핑, 청소 및 정리를 포함하며, 경장비(소형브레이커, 치핑기 등)의 기계경비를 포함한다.
대분류 F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공사 |
■ FB*** PSC빔 제작(부재)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FB002.01000 | PSC빔 제작부재 | 빔 제작대 설치 | m | 30,507 | 80% |
FB002.02000 | PSC빔 제작부재 | 정착구 설치 | 개 | 32,688 | 95% |
FB002.03000 | PSC빔 제작부재 | 쉬즈관 설치 (Ø85mm 이하) |
m | 7,988 | 98% |
FB002.04000 | PSC빔 제작부재 | 강연선 설치 (Ø12.7mm) |
ton | 211,956 | 80% |
FB002.05000 | PSC빔 제작부재 | 강연선 설치 (Ø15.2mm) |
ton | 175,820 | 80% |
FB002.06000 | PSC빔 제작부재 | 인장 (Ø12.7mm) |
개소 | 60,968 | 84% |
FB002.07000 | PSC빔 제작부재 | 인장 (Ø15.2mm) |
개소 | 70,077 | 84% |
FB002.08000 | PSC빔 제작부재 | 그라우팅 | m3 | 608,338 | 86% |
【단가정의】
① PSC빔 제작부재별(빔 제작대, 정착구, 쉬즈관, 강연선설치, 인장, 그라우팅, 강재거푸집) 소요비용을 포함한다.
② 빔 제작대 설치는 제작대 설치비를 포함하며, 콘크리트 타설 등의 기초공사가 필요한 경우는 별도 계상한다. 빔 제작대의 재료(각재, 판재, 꺽쇠, 못)비는 제외되어 있다.
③ 정착구 설치는 정착구 고정 및 설치작업을 포함하며, 재료비는 제외되어 있다.
④ 쉬즈관 설치는 쉬즈관 절단 및 조립, 쉬즈 보호호스 삽입 및 제거작업을 포함하며, 재료비는 제외되어 있다.
⑤ 강연선 설치는 강연선 삽입, 절단작업을 포함하며, 재료비는 제외되어 있다.
⑥ 인장은 양측면 인장 기준이고, 앵커헤드 및 웨지설치, 인장 및 절단작업을 포함하며, 재료비는 제외되어 있다.
⑦ 그라우팅은 주입호스 설치 및 그라우팅 준비, 시멘트 배합 및 주입작업을 포함하며, 재료비는 제외되어 있다.
⑧ 빔 제작용 강재거푸집 설치는 “대분류 E. 현장타설콘크리트공사 / ED*** 강재 거푸집/자재비제외” 해당규격의 표준시장단가를 적용한다.
■ FB*** PSC빔 제작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FB601.02500 | PSC빔 제작 | 25m | 본 | 11,528,402 | 77% |
FB601.03000 | PSC빔 제작 | 30m | 본 | 15,100,000 | 77% |
FB701.03500 | PSC빔 제작 | 35m | 본 | 19,336,306 | 78% |
【단가정의】
① 이 단가는 PSC빔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포함한다.
② 재료(철근, 콘크리트, PSC강연선)의 구입 및 운반비는 제외한다.
③ 보강재(Soleplate) 구입 및 설치비는 제외한다.
④ 부대작업(빔 제작장, 몰탈비빔, PVC파이프, 용접 및 검사)에 소요되는 재료비 및 설치비를 포함한다. 단 빔제작장 조성시 임대료는 포함하지 않는다.
【표준도 및 적용기준】
① 본 단가를 적용할 수 없는 경우, 아래 예시에 제시된 목적물 세부구성요소별 단가와 도면등으로부터 산출한 목적물 세부구성요소별 수량을 적용하여 목적물 단위당 단가를 산출한다. 필요시, 철근가공조립, 콘크리트타설등의 세부규격을 변경할 수 있으며, 이때 본 단가집 “대분류 E. 현장타설콘크리트공사” 해당규격의 표준시장단가를 적용한다.
② 작성예시
분류 | 내역 | 단위 | 수량 | 단가 | 금액 | 비고 |
* 실 설계수량 × 표준시장단가 | ||||||
본체 (A) |
빔 제작대 설치 | m | ( ) | 30,507 | ( A1 ) | ㆍFB002.01000 |
정착구 설치 | 개 | ( ) | 32,688 | ( A2 ) | ㆍFB002.02000 | |
쉬즈관 설치(Ø85mm이하) | m | ( ) | 7,988 | ( A3 ) | ㆍFB002.03000 | |
강연선 설치 | ||||||
- Ø12.7mm | ton | ( ) | 211,956 | ( A4 ) | ㆍFB002.04000 | |
- Ø15.2mm | ton | ( ) | 175,820 | ( A5 ) | ㆍFB002.05000 | |
인장 | ||||||
- Ø12.7mm | 개소 | ( ) | 60,968 | ( A6 ) | ㆍFB002.06000 | |
- Ø15.2mm | 개소 | ( ) | 70,077 | ( A7 ) | ㆍFB002.07000 | |
그라우팅 | m3 | ( ) | 608,338 | ( A8 ) | ㆍFB002.08000 | |
강재거푸집(장비사용)/ 일반 |
m² | ( ) | 24,471 | ( A9 ) | ㆍED403.04000 | |
철근 현장가공 및 조립 /TYPE-Ⅰ |
ton | ( ) | 622,948 | ( A10 ) | ㆍEE001.20000 | |
철근콘크리트 타설 /펌프차, 보통, S=15 |
m³ | ( ) | 18,887 | ( A11 ) | ㆍEC201.02152 | |
소계 | A1~A11의 합( ① ) | |||||
부대공 (B) |
* 실 설계수량 × 시중물가 | |||||
몰탈비빔 | m³ | ( ) | ( ) | ( B1 ) | ||
PVC파이프 | m | ( ) | ( ) | ( B2 ) | ||
빔 제작장 조성 | 본 | ( ) | ( ) | ( B3 ) | ㆍ임대료제외 | |
용접 및 검사 | m | ( ) | ( ) | ( B4 ) | ||
기초잡석 부설 | m³ | ( ) | ( ) | ( B5 ) | ||
소계 | B1~B5의 합( ② ) ※항목별 직접계상이 곤란한 경우는 본체공사비 ①의 7% 계상 |
|||||
재료비 (C) |
* 실 설계수량 × 시중물가 | |||||
빔 제작대 재료 - 각재, 판재 등 |
m | ( ) | ( ) | ( C1 ) | ||
기초잡석 | m³ | ( ) | ( ) | ( C2 ) | ㆍ현장암 유용 | |
쉬즈관(Ø85mm이하) | m | ( ) | ( ) | ( C3 ) | ||
정착구(Ø12.7/Ø15.2mm) | 조 | ( ) | ( ) | ( C4 ) | ||
그라우팅 재료 - 시멘트, 혼화제 |
m3 | ( ) | ( ) | ( C5 ) | ||
강재거푸집 | m² | ( ) | ( ) | ( C6 ) | ||
소계 | C1~C6의 합( ③ ) | |||||
합계 | ① + ② + ③ | 목적물 단위당 단가 | ||||
* 철근, 콘크리트, 강연선의 구입 및 운반비는 별도 산정한다. |
③ 표준도
<PSC BEAM(L=25m) 표준도>
<PSC BEAM(L=30m) 표준도>
<PSC BEAM(L=35m) 표준도>
대분류 G | 관 공 사 |
■ G****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흄관)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GA211.0025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250mm | m | 21,153 | 68% |
GA211.0030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300mm | m | 26,506 | 69% |
GA211.0035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350mm | m | 32,112 | 71% |
GA211.0040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400mm | m | 37,895 | 72% |
GA311.0045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450mm | m | 43,860 | 73% |
GA311.0050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500mm | m | 49,950 | 73% |
GA311.0060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600mm | m | 62,663 | 75% |
GA411.0070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700mm | m | 76,537 | 76% |
GA411.0080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800mm | m | 90,299 | 77% |
GA411.0090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900mm | m | 104,495 | 78% |
GA511.0100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1,000mm | m | 119,077 | 79% |
GA511.0110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1,100mm | m | 134,028 | 80% |
GA511.0120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1,200mm | m | 149,992 | 80% |
GA611.0135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1,350mm | m | 173,531 | 81% |
GA611.0150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1,500mm | m | 197,669 | 82% |
GA711.0165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1,650mm | m | 222,483 | 83% |
GA711.0180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1,800mm | m | 247,869 | 84% |
GA811.0200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2,000mm | m | 282,456 | 85% |
【단가정의】
①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2.5m)의 소켓식 접합을 기준한 것이다.
② 관부설 및 접합, 절단, 자재하차 작업을 포함하며, 관로의 터파기, 되메우기, 물푸기, 잔토처리 및 기초작업은 제외되어 있다.
③ 원심력철근콘크리트관, 고무링의 구입 및 운반 비용은 제외되어 있으며, 소모재료(접합용 모르타르 등) 비용은 포함한다.
【단가보정】
- 관공사는 토공사(굴착 및 복구공사 등)에 영향을 받아 시공되는 기준으로 현장의 시공조건을 고려하여 다음 계수를 곱하여 적용한다.
구 분 | 표준시장단가 | 노무비율 |
- 당일 굴착 및 복구공사에 영향을 받으며 시공하는 현장 - 통행제한, 지장물(매립물 등) 등으로 인해 연속적인 굴착이 불가능하여 굴착과 관부설 및 접합을 병행하여 반복적으로 시공하는 경우 |
1.00 | 1.00 |
- 당일 굴착 및 복구공사에 영향을 받으며 시공하는 현장 - 굴착 작업이 분리 선행되어 부설 및 접합을 연속적으로 시공하는 경우 |
0.75 | 1.00 |
- 굴착 및 복구공사의 영향없이 시공하는 현장 - 선행작업(굴착공사 또는 기초공사)이 완료된 상태의 개착구간으로 부설 및 접합을 단독으로 시공하는 경우 |
0.50 | 1.00 |
■ G****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흄관)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GA212.0040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 /PE수밀밸트 |
∅400mm | m | 31,464 | 70% |
GA312.0060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 /PE수밀밸트 |
∅600mm | m | 58,470 | 75% |
GA412.0080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 /PE수밀밸트 |
∅800mm | m | 87,211 | 76% |
GA512.0100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 /PE수밀밸트 |
∅1,000mm | m | 113,572 | 79% |
GA512.0120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 /PE수밀밸트 |
∅1,200mm | m | 145,776 | 80% |
【단가정의】
①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2.5m)의 P.E수밀밸트 접합을 기준한 것이다.
② 관부설 및 접합, 절단, 자재하차 작업을 포함하며, 관로의 터파기, 되메우기, 물푸기, 잔토처리 및 기초작업은 제외되어 있다.
③ 원심력철근콘크리트관, 접합부속물(P.E수밀밸트, 볼트)의 구입 및 운반비용은 제외되어 있다.
【단가보정】
- 관공사는 토공사(굴착 및 복구공사 등)에 영향을 받아 시공되는 기준으로 현장의 시공조건을 고려하여 다음 계수를 곱하여 적용한다.
구 분 | 표준시장단가 | 노무비율 |
- 당일 굴착 및 복구공사에 영향을 받으며 시공하는 현장 - 통행제한, 지장물(매립물 등) 등으로 인해 연속적인 굴착이 불가능하여 굴착과 관부설 및 접합을 병행하여 반복적으로 시공하는 경우 |
1.00 | 1.00 |
- 당일 굴착 및 복구공사에 영향을 받으며 시공하는 현장 - 굴착 작업이 분리 선행되어 부설 및 접합을 연속적으로 시공하는 경우 |
0.75 | 1.00 |
- 굴착 및 복구공사의 영향없이 시공하는 현장 - 선행작업(굴착공사 또는 기초공사)이 완료된 상태의 개착구간으로 부설 및 접합을 단독으로 시공하는 경우 |
0.50 | 1.00 |
■ G**** 진동 및 전압 철근콘크리트관(V.R관)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GA214.00250 | 진동 및 전압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250mm | m | 21,962 | 67% |
GA214.00300 | 진동 및 전압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300mm | m | 27,547 | 69% |
GA214.00350 | 진동 및 전압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350mm | m | 33,163 | 70% |
GA214.00400 | 진동 및 전압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400mm | m | 38,926 | 71% |
GA314.00450 | 진동 및 전압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450mm | m | 44,848 | 72% |
GA314.00500 | 진동 및 전압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500mm | m | 50,928 | 73% |
GA314.00600 | 진동 및 전압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600mm | m | 64,268 | 75% |
GA414.00700 | 진동 및 전압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700mm | m | 77,946 | 75% |
GA414.00800 | 진동 및 전압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800mm | m | 91,556 | 76% |
GA414.00900 | 진동 및 전압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900mm | m | 105,322 | 77% |
GA514.01000 | 진동 및 전압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1,000mm | m | 119,942 | 78% |
GA514.01100 | 진동 및 전압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1,100mm | m | 134,896 | 79% |
GA514.01200 | 진동 및 전압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1,200mm | m | 150,815 | 79% |
GA614.01350 | 진동 및 전압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1,350mm | m | 174,485 | 80% |
GA614.01500 | 진동 및 전압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1,500mm | m | 198,758 | 81% |
GA714.01650 | 진동 및 전압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1,650mm | m | 223,711 | 82% |
GA714.01800 | 진동 및 전압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1,800mm | m | 249,237 | 83% |
【단가정의】
① 진동 및 전압 철근콘크리트관(V.R관, 2.5m)의 소켓식 접합을 기준한 것이다.
② 관부설 및 접합, 절단, 자재하차 작업을 포함하며, 관로의 터파기, 되메우기, 물푸기, 잔토처리 및 기초작업은 제외되어 있다.
③ 진동 및 전압철근콘크리트관, 고무링의 구입 및 운반비용은 제외되어 있으며, 소모재료(접합용 모르타르 등) 비용은 포함한다.
【단가보정】
- 관공사는 토공사(굴착 및 복구공사 등)에 영향을 받아 시공되는 기준으로 현장의 시공조건을 고려하여 다음 계수를 곱하여 적용한다.
구 분 | 표준시장단가 | 노무비율 |
- 당일 굴착 및 복구공사에 영향을 받으며 시공하는 현장 - 통행제한, 지장물(매립물 등) 등으로 인해 연속적인 굴착이 불가능하여 굴착과 관부설 및 접합을 병행하여 반복적으로 시공하는 경우 |
1.00 | 1.00 |
- 당일 굴착 및 복구공사에 영향을 받으며 시공하는 현장 - 굴착 작업이 분리 선행되어 부설 및 접합을 연속적으로 시공하는 경우 |
0.75 | 1.00 |
- 굴착 및 복구공사의 영향없이 시공하는 현장 - 선행작업(굴착공사 또는 기초공사)이 완료된 상태의 개착구간으로 부설 및 접합을 단독으로 시공하는 경우 |
0.50 | 1.00 |
■ G**** 폴리에스테르수지 콘크리트관(PRC관)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GA215.00250 | 폴리에스테르수지 콘크리트관/소켓식 | ∅250mm | m | 20,608 | 67% |
GA215.00300 | 폴리에스테르수지 콘크리트관/소켓식 | ∅300mm | m | 25,846 | 69% |
GA215.00350 | 폴리에스테르수지 콘크리트관/소켓식 | ∅350mm | m | 31,538 | 70% |
GA215.00400 | 폴리에스테르수지 콘크리트관/소켓식 | ∅400mm | m | 37,409 | 71% |
GA315.00450 | 폴리에스테르수지 콘크리트관/소켓식 | ∅450mm | m | 43,360 | 72% |
GA315.00500 | 폴리에스테르수지 콘크리트관/소켓식 | ∅500mm | m | 49,511 | 73% |
GA315.00600 | 폴리에스테르수지 콘크리트관/소켓식 | ∅600mm | m | 61,569 | 75% |
GA415.00700 | 폴리에스테르수지 콘크리트관/소켓식 | ∅700mm | m | 75,447 | 75% |
GA415.00800 | 폴리에스테르수지 콘크리트관/소켓식 | ∅800mm | m | 89,157 | 76% |
GA415.00900 | 폴리에스테르수지 콘크리트관/소켓식 | ∅900mm | m | 103,290 | 77% |
GA515.01000 | 폴리에스테르수지 콘크리트관/소켓식 | ∅1,000mm | m | 117,850 | 78% |
GA515.01100 | 폴리에스테르수지 콘크리트관/소켓식 | ∅1,100mm | m | 132,828 | 79% |
GA515.01200 | 폴리에스테르수지 콘크리트관/소켓식 | ∅1,200mm | m | 148,886 | 79% |
【단가정의】
① 폴리에스테르수지 콘크리트관(PRC관, 2.5m)의 소켓식 접합을 기준한 것이다.
② 관부설 및 접합, 절단, 자재하차 작업을 포함하며, 관로의 터파기, 되메우기, 물푸기, 잔토처리 및 기초작업은 제외되어 있다.
③ 폴리에스테르수지콘크리트관, 고무링의 구입 및 운반 비용은 제외되어 있으며, 소모재료(접합용 모르타르 등) 비용은 포함한다.
【단가보정】
- 관공사는 토공사(굴착 및 복구공사 등)에 영향을 받아 시공되는 기준으로 현장의 시공조건을 고려하여 다음 계수를 곱하여 적용한다.
구 분 | 표준시장단가 | 노무비율 |
- 당일 굴착 및 복구공사에 영향을 받으며 시공하는 현장 - 통행제한, 지장물(매립물 등) 등으로 인해 연속적인 굴착이 불가능하여 굴착과 관부설 및 접합을 병행하여 반복적으로 시공하는 경우 |
1.00 | 1.00 |
- 당일 굴착 및 복구공사에 영향을 받으며 시공하는 현장 - 굴착 작업이 분리 선행되어 부설 및 접합을 연속적으로 시공하는 경우 |
0.75 | 1.00 |
- 굴착 및 복구공사의 영향없이 시공하는 현장 - 선행작업(굴착공사 또는 기초공사)이 완료된 상태의 개착구간으로 부설 및 접합을 단독으로 시공하는 경우 |
0.50 | 1.00 |
■ GB*** 주철관 부설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GB201.00100 | 주철관 부설 | ø100mm이하 | 본 | 32,460 | 68% |
GB201.00120 | 주철관 부설 | ø120mm | 본 | 41,775 | 70% |
GB201.00150 | 주철관 부설 | ø150mm | 본 | 47,131 | 70% |
GB201.00200 | 주철관 부설 | ø200mm | 본 | 51,270 | 70% |
GB301.00200 | 주철관 부설 | ø250mm | 본 | 57,820 | 72% |
GB301.00300 | 주철관 부설 | ø300mm | 본 | 65,064 | 74% |
GB301.00350 | 주철관 부설 | ø350mm | 본 | 78,353 | 75% |
GB301.00400 | 주철관 부설 | ø400mm | 본 | 96,799 | 77% |
GB401.00450 | 주철관 부설 | ø450mm | 본 | 110,417 | 79% |
GB401.00500 | 주철관 부설 | ø500mm | 본 | 121,450 | 81% |
GB401.00600 | 주철관 부설 | ø600mm | 본 | 146,271 | 83% |
GB401.00700 | 주철관 부설 | ø700mm | 본 | 175,093 | 82% |
GB501.00800 | 주철관 부설 | ø800mm | 본 | 215,815 | 84% |
GB501.00900 | 주철관 부설 | ø900mm | 본 | 270,533 | 87% |
GB501.01000 | 주철관 부설 | ø1,000mm | 본 | 317,551 | 87% |
GB501.01100 | 주철관 부설 | ø1,100mm | 본 | 346,959 | 88% |
GB601.01200 | 주철관 부설 | ø1,200mm | 본 | 378,483 | 88% |
【단가정의】
① 주철관(직관(6m) 및 이형관, 곡관)의 부설 작업을 기준한 것이다.
② 관부설 및 위치조정, 경고테이프 설치를 포함하며, 관로의 터파기, 되메우기, 물푸기, 잔토처리 및 기초작업은 제외되어 있다.
③ 주철관 재료비는 제외되어 있다.
【단가보정】
- 관공사는 토공사(굴착 및 복구공사 등)에 영향을 받아 시공되는 기준으로 현장의 시공조건을 고려하여 다음 계수를 곱하여 적용한다.
구 분 | 표준시장단가 | 노무비율 |
- 당일 굴착 및 복구공사에 영향을 받으며 시공하는 현장 - 통행제한, 지장물(매립물 등) 등으로 인해 연속적인 굴착이 불가능하여 굴착과 관부설 및 접합을 병행하여 반복적으로 시공하는 경우 |
1.00 | 1.00 |
- 당일 굴착 및 복구공사에 영향을 받으며 시공하는 현장 - 굴착 작업이 분리 선행되어 부설 및 접합을 연속적으로 시공하는 경우 |
0.75 | 1.00 |
- 굴착 및 복구공사의 영향없이 시공하는 현장 - 선행작업(굴착공사 또는 기초공사)이 완료된 상태의 개착구간으로 부설 및 접합을 단독으로 시공하는 경우 |
0.50 | 1.00 |
■ GB*** 주철관 접합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GB202.00100 | 주철관 / KP매커니컬 접합 | ø100mm이하 | nr(개소) | 10,542 | 98% |
GB202.00120 | 주철관 / KP매커니컬 접합 | ø120mm | nr(개소) | 12,477 | 98% |
GB202.00150 | 주철관 / KP매커니컬 접합 | ø150mm | nr(개소) | 15,813 | 98% |
GB202.00200 | 주철관 / KP매커니컬 접합 | ø200mm | nr(개소) | 19,147 | 98% |
GB302.00200 | 주철관 / KP매커니컬 접합 | ø250mm | nr(개소) | 29,691 | 98% |
GB302.00300 | 주철관 / KP매커니컬 접합 | ø300mm | nr(개소) | 33,561 | 98% |
GB302.00350 | 주철관 / KP매커니컬 접합 | ø350mm | nr(개소) | 42,167 | 98% |
GB302.00400 | 주철관 / KP매커니컬 접합 | ø400mm | nr(개소) | 61,315 | 98% |
GB402.00450 | 주철관 / KP매커니컬 접합 | ø450mm | nr(개소) | 73,794 | 98% |
GB402.00500 | 주철관 / KP매커니컬 접합 | ø500mm | nr(개소) | 82,401 | 98% |
GB402.00600 | 주철관 / KP매커니컬 접합 | ø600mm | nr(개소) | 108,754 | 98% |
GB402.00700 | 주철관 / KP매커니컬 접합 | ø700mm | nr(개소) | 129,839 | 98% |
GB502.00800 | 주철관 / KP매커니컬 접합 | ø800mm | nr(개소) | 172,006 | 98% |
GB502.00900 | 주철관 / KP매커니컬 접합 | ø900mm | nr(개소) | 229,989 | 98% |
GB502.01000 | 주철관 / KP매커니컬 접합 | ø1000mm | nr(개소) | 286,571 | 98% |
GB502.01100 | 주철관 / KP매커니컬 접합 | ø1100mm | nr(개소) | 316,261 | 98% |
GB602.01200 | 주철관 / KP매커니컬 접합 | ø1200mm | nr(개소) | 342,616 | 98% |
【단가정의】
① 부설 후 정위치된 주철관(직관, 이형관, 곡관 포함)의 인력에 의한 접합을 기준한 것이다.
② 접합부속물(압륜, 볼트 등)의 재료비는 제외되어 있다.
【단가보정】
① 관공사는 토공사(굴착 및 복구공사 등)에 영향을 받아 시공되는 기준으로 현장의 시공조건을 고려하여 다음 계수를 곱하여 적용한다.
구 분 | 표준시장단가 | 노무비율 |
- 당일 굴착 및 복구공사에 영향을 받으며 시공하는 현장 - 통행제한, 지장물(매립물 등) 등으로 인해 연속적인 굴착이 불가능하여 굴착과 관부설 및 접합을 병행하여 반복적으로 시공하는 경우 |
1.00 | 1.00 |
- 당일 굴착 및 복구공사에 영향을 받으며 시공하는 현장 - 굴착 작업이 분리 선행되어 부설 및 접합을 연속적으로 시공하는 경우 |
0.75 | 1.00 |
- 굴착 및 복구공사의 영향없이 시공하는 현장 - 선행작업(굴착공사 또는 기초공사)이 완료된 상태의 개착구간으로 부설 및 접합을 단독으로 시공하는 경우 |
0.50 | 1.00 |
② 이탈방지 압륜을 사용하여 접합할 경우 단가 및 노무비율에 다음 계수를 곱하여 적용한다.
구분 | 단가 | 노무비율 |
이탈방지 압륜 | 1.30 | 1.00 |
■ GB*** 주철관 절단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GB200.01001 | 주철관 절단 | ø100mm이하 | nr(개소) | 32,154 | 95% |
GB200.01201 | 주철관 절단 | ø120mm | nr(개소) | 33,760 | 95% |
GB200.01501 | 주철관 절단 | ø150mm | nr(개소) | 35,367 | 95% |
GB200.02001 | 주철관 절단 | ø200mm | nr(개소) | 38,552 | 79% |
GB300.02001 | 주철관 절단 | ø250mm | nr(개소) | 41,764 | 79% |
GB300.03001 | 주철관 절단 | ø300mm | nr(개소) | 44,978 | 79% |
GB300.03501 | 주철관 절단 | ø350mm | nr(개소) | 48,188 | 79% |
GB300.04001 | 주철관 절단 | ø400mm | nr(개소) | 54,615 | 79% |
GB400.04501 | 주철관 절단 | ø450mm | nr(개소) | 57,828 | 79% |
GB400.05001 | 주철관 절단 | ø500mm | nr(개소) | 61,040 | 79% |
GB400.06001 | 주철관 절단 | ø600mm | nr(개소) | 70,677 | 79% |
GB400.07001 | 주철관 절단 | ø700mm | nr(개소) | 77,105 | 79% |
GB500.08001 | 주철관 절단 | ø800mm | nr(개소) | 86,741 | 79% |
GB500.09001 | 주철관 절단 | ø900mm | nr(개소) | 96,381 | 79% |
GB500.10001 | 주철관 절단 | ø1,000mm | nr(개소) | 106,019 | 79% |
GB500.11001 | 주철관 절단 | ø1,100mm | nr(개소) | 115,656 | 79% |
GB600.12001 | 주철관 절단 | ø1,200mm | nr(개소) | 125,293 | 79% |
【단가정의】
① 절단기(규격:40.64㎝)를 사용한 주철관 절단을 기준한 것이다.
② 200mm이상에서는 관의 이동 및 지지를 위한 장비비를 포함한다.
③ 소모재료비(커터날 등)를 포함한다.
■ GC*** 파형강관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GC301.00300 | 파형강관 | ∅300mm | m | 4,153 | 66% |
GC301.00400 | 파형강관 | ∅400mm | m | 6,393 | 68% |
GC401.00450 | 파형강관 | ∅450mm | m | 7,466 | 69% |
GC401.00500 | 파형강관 | ∅500mm | m | 8,251 | 70% |
GC401.00600 | 파형강관 | ∅600mm | m | 9,804 | 71% |
GC401.00700 | 파형강관 | ∅700mm | m | 11,340 | 72% |
GC501.00800 | 파형강관 | ∅800mm | m | 12,868 | 73% |
GC501.01000 | 파형강관 | ∅1,000mm | m | 15,897 | 75% |
GC501.01200 | 파형강관 | ∅1,200mm | m | 18,901 | 77% |
GC601.01350 | 파형강관 | ∅1,350mm | m | 21,117 | 77% |
GC601.01500 | 파형강관 | ∅1,500mm | m | 23,734 | 78% |
【단가정의】
① 나선형 파형강관(6m)의 부설 및 커플링 밴드 접합을 기준한 것이다.
② 관부설 및 접합, 절단, 자재하차 작업을 포함하며, 관로의 터파기, 되메우기, 물푸기, 잔토처리 및 기초작업은 제외되어 있다.
③ 파형강관 및 접합부품의 구입 및 운반비는 제외되어 있다.
【단가보정】
① 관공사는 토공사(굴착 및 복구공사 등)에 영향을 받아 시공되는 기준으로 현장의 시공조건을 고려하여 다음 계수를 곱하여 적용한다.
구 분 | 표준시장단가 | 노무비율 |
- 당일 굴착 및 복구공사에 영향을 받으며 시공하는 현장 - 통행제한, 지장물(매립물 등) 등으로 인해 연속적인 굴착이 불가능하여 굴착과 관부설 및 접합을 병행하여 반복적으로 시공하는 경우 |
1.00 | 1.00 |
- 당일 굴착 및 복구공사에 영향을 받으며 시공하는 현장 - 굴착 작업이 분리 선행되어 부설 및 접합을 연속적으로 시공하는 경우 |
0.75 | 1.00 |
- 굴착 및 복구공사의 영향없이 시공하는 현장 - 선행작업(굴착공사 또는 기초공사)이 완료된 상태의 개착구간으로 부설 및 접합을 단독으로 시공하는 경우 |
0.50 | 1.00 |
② 8m(본당) 파형강관을 적용할 경우 다음 계수를 곱하여 적용한다.
구 분 | 표준시장단가 | 노무비율 |
8m(본당) | 0.77 | 0.99 |
■ GD02* PVC 이중벽관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GD021.00150 | PVC이중벽관/소켓식 | ø150mm | m | 3,679 | 87% |
GD021.00200 | PVC이중벽관/소켓식 | ø200mm | m | 4,772 | 87% |
GD021.00250 | PVC이중벽관/소켓식 | ø250mm | m | 6,864 | 87% |
GD021.00300 | PVC이중벽관/소켓식 | ø300mm | m | 8,452 | 87% |
【단가정의】
① PVC 이중벽관(6m/비압력관)의 소켓식 접합을 기준한 것이다.
② 관부설 및 접합, 절단, 자재하차 작업을 포함하며, 관로의 터파기, 되메우기, 물푸기, 잔토처리 및 기초작업은 제외되어 있다.
③ PVC이중벽관, 소켓, 고무링의 구입 및 운반 비용은 제외되어 있다.
④ 개량형 PVC관의 소켓식 접합에도 이 단가를 적용할 수 있다.
【단가보정】
- 관공사는 토공사(굴착 및 복구공사 등)에 영향을 받아 시공되는 기준으로 현장의 시공조건을 고려하여 다음 계수를 곱하여 적용한다.
구 분 | 표준시장단가 | 노무비율 |
- 당일 굴착 및 복구공사에 영향을 받으며 시공하는 현장 - 통행제한, 지장물(매립물 등) 등으로 인해 연속적인 굴착이 불가능하여 굴착과 관부설 및 접합을 병행하여 반복적으로 시공하는 경우 |
1.00 | 1.00 |
- 당일 굴착 및 복구공사에 영향을 받으며 시공하는 현장 - 굴착 작업이 분리 선행되어 부설 및 접합을 연속적으로 시공하는 경우 |
0.75 | 1.00 |
- 굴착 및 복구공사의 영향없이 시공하는 현장 - 선행작업(굴착공사 또는 기초공사)이 완료된 상태의 개착구간으로 부설 및 접합을 단독으로 시공하는 경우 |
0.50 | 1.00 |
■ GE*** 유리섬유복합관(GRP관)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GE001.00250 | 유리섬유복합관(GRP관)/소켓식 | ∅250mm | m | 8,194 | 68% |
GE001.00300 | 유리섬유복합관(GRP관)/소켓식 | ∅300mm | m | 8,997 | 69% |
GE001.00350 | 유리섬유복합관(GRP관)/소켓식 | ∅350mm | m | 10,091 | 71% |
GE001.00400 | 유리섬유복합관(GRP관)/소켓식 | ∅400mm | m | 11,946 | 72% |
GE001.00450 | 유리섬유복합관(GRP관)/소켓식 | ∅450mm | m | 13,653 | 73% |
GE001.00500 | 유리섬유복합관(GRP관)/소켓식 | ∅500mm | m | 15,791 | 73% |
GE001.00600 | 유리섬유복합관(GRP관)/소켓식 | ∅600mm | m | 19,774 | 75% |
GE001.00700 | 유리섬유복합관(GRP관)/소켓식 | ∅700mm | m | 23,488 | 76% |
GE001.00800 | 유리섬유복합관(GRP관)/소켓식 | ∅800mm | m | 27,375 | 77% |
GE001.00900 | 유리섬유복합관(GRP관)/소켓식 | ∅900mm | m | 30,929 | 78% |
GE001.01000 | 유리섬유복합관(GRP관)/소켓식 | ∅1,000mm | m | 36,598 | 79% |
GE001.01100 | 유리섬유복합관(GRP관)/소켓식 | ∅1,100mm | m | 40,560 | 80% |
GE001.01200 | 유리섬유복합관(GRP관)/소켓식 | ∅1,200mm | m | 45,243 | 80% |
GE001.01350 | 유리섬유복합관(GRP관)/소켓식 | ∅1,350mm | m | 50,921 | 81% |
GE001.01500 | 유리섬유복합관(GRP관)/소켓식 | ∅1,500mm | m | 56,929 | 82% |
【단가정의】
① 유리섬유복합관(GRP관, 6m/비압력관)의 소켓식 접합을 기준한 것이다.
② 관부설 및 접합, 절단, 자재하차 작업을 포함하며, 관로의 터파기, 되메우기, 물푸기, 잔토처리 및 기초작업은 제외되어 있다.
③ GRP관, 고무링의 구입 및 운반 비용은 제외되어 있다.
【단가보정】
- 관공사는 토공사(굴착 및 복구공사 등)에 영향을 받아 시공되는 기준으로 현장의 시공조건을 고려하여 다음 계수를 곱하여 적용한다.
구 분 | 표준시장단가 | 노무비율 |
- 당일 굴착 및 복구공사에 영향을 받으며 시공하는 현장 - 통행제한, 지장물(매립물 등) 등으로 인해 연속적인 굴착이 불가능하여 굴착과 관부설 및 접합을 병행하여 반복적으로 시공하는 경우 |
1.00 | 1.00 |
- 당일 굴착 및 복구공사에 영향을 받으며 시공하는 현장 - 굴착 작업이 분리 선행되어 부설 및 접합을 연속적으로 시공하는 경우 |
0.75 | 1.00 |
- 굴착 및 복구공사의 영향없이 시공하는 현장 - 선행작업(굴착공사 또는 기초공사)이 완료된 상태의 개착구간으로 부설 및 접합을 단독으로 시공하는 경우 |
0.50 | 1.00 |
■ GR03* 내충격수도관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GR031.00080 | 내충격수도관/소켓식 | ∅80mm | m | 3,849 | 83% |
GR031.00100 | 내충격수도관/소켓식 | ∅100mm | m | 5,312 | 83% |
GR031.00150 | 내충격수도관/소켓식 | ∅150mm | m | 7,203 | 83% |
GR031.00200 | 내충격수도관/소켓식 | ∅200mm | m | 9,034 | 83% |
GR031.00250 | 내충격수도관/소켓식 | ∅250mm | m | 10,866 | 83% |
GR031.00300 | 내충격수도관/소켓식 | ∅300mm | m | 12,146 | 83% |
【단가정의】
① 내충격수도관(내충격성 경질염화비닐관(HIVP), 6m/압력관)의 소켓식 접합을 기준한 것이다.
② 관부설 및 접합, 절단, 자재하차 작업을 포함하며, 관로의 터파기, 되메우기, 물푸기, 잔토처리 및 기초작업은 제외되어 있다.
③ 이탈방지장치(편수이탈방지압륜)의 설치는 제외되어 있다.
④ 내충격수도관, 고무링의 구입 및 운반 비용, 수압시험비는 제외되어 있다.
【단가보정】
- 관공사는 토공사(굴착 및 복구공사 등)에 영향을 받아 시공되는 기준으로 현장의 시공조건을 고려하여 다음 계수를 곱하여 적용한다.
구 분 | 표준시장단가 | 노무비율 |
- 당일 굴착 및 복구공사에 영향을 받으며 시공하는 현장 - 통행제한, 지장물(매립물 등) 등으로 인해 연속적인 굴착이 불가능하여 굴착과 관부설 및 접합을 병행하여 반복적으로 시공하는 경우 |
1.00 | 1.00 |
- 당일 굴착 및 복구공사에 영향을 받으며 시공하는 현장 - 굴착 작업이 분리 선행되어 부설 및 접합을 연속적으로 시공하는 경우 |
0.75 | 1.00 |
- 굴착 및 복구공사의 영향없이 시공하는 현장 - 선행작업(굴착공사 또는 기초공사)이 완료된 상태의 개착구간으로 부설 및 접합을 단독으로 시공하는 경우 |
0.50 | 1.00 |
대분류 E | 현장타설 콘크리트 공사 |
■ EC*** 콘크리트 타설 / 장비사용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EC110.12000 | 콘크리트 타설 /장비사용 |
무근콘크리트 | m3 | 24,463 | 80% |
EC220.12000 | 콘크리트 타설 /장비사용 |
철근콘크리트 | m3 | 27,620 | 80% |
EC150.12000 | 콘크리트 타설 /장비사용 |
소형구조물 | m3 | 44,586 | 80% |
【단가정의】
① 믹서트럭에서 굴삭기로 공급받아 타설위치에 직접 타설하는 작업을 기준한 것이다.
② 현장 내 콘크리트 운반, 타설, 다짐, 양생준비 작업을 포함한다.
③ 레미콘 재료비,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 및 표면마무리 비용은 제외되어 있다.
④ 소형구조물은 개소별 소량(6m3 이하)의 타설 위치가 산재되어 있는 경우에 적용한다.
■ EC*** 콘크리트 타설 / 펌프차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EC101.01152 | 무근콘크리트 타설 /펌프차 |
양호, 100~150m3이하/1회 |
m3 | 14,792 | 67% |
EC101.02152 | 무근콘크리트 타설 /펌프차 |
보통, 100~150m3이하/1회 |
m3 | 17,059 | 66% |
EC101.03152 | 무근콘크리트 타설 /펌프차 |
불량, 100~150m3이하/1회 |
m3 | 19,336 | 66% |
EC101.04052 | 무근콘크리트 타설 /펌프차 |
매우불량, 40~50m3이하/1회 |
m3 | 66,839 | 60% |
EC201.01152 | 철근콘크리트 타설 /펌프차 |
양호, 100~150m3이하/1회 |
m3 | 16,364 | 67% |
EC201.02152 | 철근콘크리트 타설 /펌프차 |
보통, 100~150m3이하/1회 |
m3 | 18,887 | 67% |
EC201.03152 | 철근콘크리트 타설 /펌프차 |
불량, 100~150m3이하/1회 |
m3 | 21,395 | 66% |
EC201.04052 | 철근콘크리트 타설 /펌프차 |
매우불량, 40~50m3이하/1회 |
m3 | 72,401 | 60% |
【단가정의】
① 콘크리트펌프차(80m3/hr 이상)에 의한 콘크리트의 타설(붐타설, 슬럼프 15) 작업을 기준한 것이다.
② 단일구조물의 1회 타설(셋팅 및 마감) 비용이며, 작업시간내에 인접되어 있는 두개 이상의 구조물을 연속하여 타설하는 경우를 포함한다.
③ 타설준비 및 마무리, 펌프차 타설(세팅, 마감), 다짐, 양생준비 작업을 포함한다.
④ 레미콘 재료비, 콘크리트 타설 후 양생 및 표면마무리 비용은 제외되어 있다.
⑤ 배관으로 타설해야 할 경우에는 이 단가를 적용하지 않는다.
⑥ 타설 횟수는 설계(시공단계에 따른 타설 위치) 및 시공조건(일 작업시간, 시공이음, 1회 가능 타설수량 등)을 고려하여 산정한다.
⑦ 규격별 적용유형은 아래를 참고한다.
구 분 | 유 형 |
양호 | 매트기초 등 펌프차 작업에 제약이 없는 시설물 |
보통 | 벽, 기둥, 보, 슬라브, 교대, 교각 등 일반적인 시설물 |
불량 | 줄기초, 슬래브없는 [월거더]구조의 기둥과 보 등 펌프차 작업에 제약을 받는 타설부위가 좁거나 깊은 시설물 |
매우불량 | 절/성토부 비탈면에 시공되는 구조물로 펌프차의 이동이 빈번하는 등 펌프차 작업에 제약이 매우 큰 시설물 |
【단가보정】
① 타설규모 및 슬럼프에 따라 시장단가에 다음 계수를 곱하여 적용한다.
구분 (1회 타설규모m3) |
무근콘크리트 타설 | ||||||||
양호 | 보통 | 불량 | 매우불량 | ||||||
8~12 | 15이상 | 8~12 | 15이상 | 8~12 | 15이상 | 8~12 | 15이상 | ||
표준 시장단가 |
30이하 | 2.06 | 1.98 | 1.95 | 1.88 | 1.87 | 1.80 | 1.10 | 1.05 |
30~40이하 | 1.80 | 1.72 | 1.73 | 1.65 | 1.68 | 1.60 | 1.04 | 1.00 | |
40~50이하 | 1.63 | 1.55 | 1.58 | 1.50 | 1.54 | 1.46 | 1.00 | 0.95 | |
50~70이하 | 1.44 | 1.37 | 1.42 | 1.34 | 1.39 | 1.32 | 0.95 | 0.90 | |
70~100이하 | 1.25 | 1.18 | 1.24 | 1.17 | 1.23 | 1.16 | - | ||
100~150이하 | 1.06 | 1.00 | 1.06 | 1.00 | 1.06 | 1.00 | |||
150~200이하 | 0.92 | 0.86 | 0.93 | 0.87 | 0.93 | 0.88 | |||
200초과 | 0.83 | 0.77 | 0.84 | 0.78 | 0.85 | 0.79 |
구분 (1회 타설규모m3) |
철근콘크리트 타설 | ||||||||
양호 | 보통 | 불량 | 매우불량 | ||||||
8~12 | 15이상 | 8~12 | 15이상 | 8~12 | 15이상 | 8~12 | 15이상 | ||
표준 시장단가 |
30이하 | 1.99 | 1.91 | 1.88 | 1.81 | 1.80 | 1.73 | 1.08 | 1.03 |
30~40이하 | 1.75 | 1.67 | 1.68 | 1.61 | 1.63 | 1.56 | 1.04 | 0.99 | |
40~50이하 | 1.59 | 1.51 | 1.54 | 1.47 | 1.51 | 1.43 | 1.00 | 0.95 | |
50~70이하 | 1.42 | 1.35 | 1.40 | 1.32 | 1.38 | 1.30 | 0.95 | 0.90 | |
70~100이하 | 1.24 | 1.17 | 1.23 | 1.16 | 1.22 | 1.15 | - | ||
100~150이하 | 1.06 | 1.00 | 1.06 | 1.00 | 1.06 | 1.00 | |||
150~200이하 | 0.93 | 0.87 | 0.93 | 0.87 | 0.94 | 0.88 | |||
200초과 | 0.83 | 0.78 | 0.85 | 0.79 | 0.86 | 0.80 |
② 타설규모 및 슬럼프에 따라 노무비율에 다음 계수를 곱하여 적용한다.
구분 (1회 타설규모m3) |
무근콘크리트 타설, 철근콘크리트 타설 | ||||||||
양호,보통,불량 | 매우불량 | ||||||||
8~12, 15이상 | 8~12, 15이상 | ||||||||
노무 비율 |
30이하 | 0.88 | 0.95 | ||||||
30~40이하 | 0.90 | 0.98 | |||||||
40~50이하 | 0.92 | 1.00 | |||||||
50~70이하 | 0.94 | 1.03 | |||||||
70~100이하 | 0.97 | - | |||||||
100~150이하 | 1.00 | ||||||||
150~200이하 | 1.03 | ||||||||
200초과 | 1.05 |
■ ED*** 합판거푸집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ED001.05000 | 합판거푸집 | 제물치장, 0 ∼ 7m |
m2 | 109,115 | 70% |
ED001.04000 | 합판거푸집 | 소규모/매우복잡, 0 ∼ 7m |
m2 | 69,234 | 74% |
ED001.03000 | 합판거푸집 | 복잡, 0 ∼ 7m |
m2 | 60,829 | 74% |
ED001.02000 | 합판거푸집 | 보통, 0 ∼ 7m |
m2 | 44,446 | 70% |
ED001.01000 | 합판거푸집 | 간단, 0 ∼ 7m |
m2 | 38,903 | 70% |
【단가정의】
① 합판거푸집의 가공, 제작, 설치, 해체 작업을 기준한 것이다.
②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 작업중 유지보수(청소, 박리제 바름, 거푸집 보수) 작업을 포함한다.
③ 동바리 설치, 면정리(폼타이 홈메우기, 해체후 연마) 작업은 제외되어 있다.
④ 거푸집 재료비(재료손율, 할증 포함)는 포함하며, 폼타이 재료비는 제외되어 있다.
⑤ 제물치장에 소요되는 볼트, 나무덧쇠, 파이프 등의 비용은 제외되어 있다.
⑥ 거푸집 설치높이 7m이하에 적용하며, 7m초과시에는 매 3m 증가마다 노무비에 10%를 가산한다. (현장 여건에 따라 장비가 필요한 경우 양중장비 사용료를 별도 계상하고, 노무비를 가산하지 않는다.)
⑦ 규격별 적용유형은 아래를 참고한다.
구 분 | 전용회수 | 유 형 |
제물치장 | 1~2회 | 제물치장 콘크리트 |
소규모/ 매우복잡 |
2회 | 가로보 등 소규모로 산재되어 있는 구조 교대, 교각, 수문관의 본체 등 매우 복잡한 구조 |
복잡 | 3회 | 교대, 교각, 파라펫트, 날개벽 등 복잡한 벽체 구조 |
보통 | 4회 | 측구, 수로, 우물통 등 일반적인 벽체구조, 교량 슬래브 |
간단 | 6회 | 수문 또는 관의기초, 호안 및 보호공의 기초 등 |
■ ED*** 유로폼 거푸집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ED402.01000 | 유로폼 | 간단, 0∼7m | m2 | 30,904 | 84% |
ED402.02000 | 유로폼 | 보통, 0∼7m | m2 | 35,327 | 84% |
ED402.03000 | 유로폼 | 복잡, 0∼7m | m2 | 45,834 | 84% |
【단가정의】
① 유로폼 패널의 벽체 조립 및 해체 작업을 기준한 것이다.
② 거푸집의 설치 및 해체, 작업중 유지보수(청소, 박리제 바름, 거푸집 보수) 작업을 포함한다.
③ 면정리(해체후 연마) 작업은 제외되어 있다.
④ 거푸집 재료비(재료손율, 할증 포함)는 포함하며, 폼타이 재료비는 제외되어 있다.
⑤ 거푸집 설치높이 7m이하에 적용하며, 7m초과시에는 매 3m 증가마다 노무비에 10%를 가산한다. (현장 여건에 따라 장비가 필요한 경우 양중장비 사용료를 별도 계상하고, 노무비를 가산하지 않는다.)
⑥ 규격별 적용유형은 아래를 참고한다.
구 분 | 유 형 |
간 단 | 수문 또는 관의 기초, 매트기초 등 간단한 구조 |
보 통 | 측구, 수로, 옹벽, 일반적인 벽체, 박스 등 |
복 잡 | 교대, 날개벽 등 복잡하고 보강이 많은 구조 또는 폼 타이 시공이 필요한 경우 |
■ ED*** 강재 거푸집(장비사용)/ 자재비제외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ED403.04000 | 강재거푸집(장비사용) | 일반 | m2 | 24,471 | 85% |
ED403.05000 | 강재거푸집(장비사용) | 교각 | m2 | 39,804 | 71% |
ED403.06000 | 강재거푸집(장비사용) | 코핑 | m2 | 52,308 | 68% |
【단가정의】
① 강재거푸집의 장비조합 설치 및 해체 작업을 기준한 것이다.
② 일반 규격은 고소작업이 불필요하고 반복되는 작업(빔 제작 등)을 기준한 것이며, 교각 및 코핑 규격은 교량의 고소작업을 기준한 것이다.
③ 노무비 및 양중장비의 사용료를 포함한다.
④ 강재거푸집의 재료비, 고임 및 쇄기용 목재 손료는 제외되어 있다.
■ ED*** 문양거푸집/ 자재비 제외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ED405.01000 | 문양거푸집 | 1회 | m2 | 17,918 | 99% |
【단가정의】
① 문양거푸집(PE판넬)의 설치 및 해체작업을 기준한 것이다.
② 문양거푸집(PE판넬)의 재료비는 제외되어 있다.
③ 문양거푸집이 부착되는 거푸집(합판, 유로폼 등)의 재료비와 설치/해체비는 제외되어 있다.
■ EE*** 철근 가공 및 조립 / 현장가공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EE001.20000 | 철근 현장가공 및 조립 | Type-Ⅰ | ton | 622,948 | 89% |
EE001.30000 | 철근 현장가공 및 조립 | Type-Ⅱ | ton | 706,578 | 89% |
EE001.40000 | 철근 현장가공 및 조립 | Type-Ⅲ | ton | 783,284 | 89% |
【단가정의】
① 철근의 현장가공 및 조립 작업을 기준한 것이다.
② 철근의 이음(겹이음 또는 기계적 이음), 간격재 설치, 철근 인상작업을 포함한다.
③ 철근의 현장가공에 사용되는 장비(철근절단기, 철근절곡기 등)의 기계경비를 포함한다.
④ 재료의 구입 및 운반비(철근, 이음재(커플러), 간격재), 현장내 운반비는 제외되어 있다.
⑤ 규격별 적용유형은 아래를 참고한다.
구 분 | 유 형 |
Type-Ⅰ | 가. 철근가공 및 조립 작업이 일반적인 토목시설 (반중력식 옹벽, L형 옹벽, 교량 슬래브, 매트기초, 수문 등) 나. 특정위치에서 철근의 가공 및 조립이 반복되는 경우 (빔 제작, 철근망 등) |
Type-Ⅱ | 가. 철근가공 및 조립 작업이 복잡한 토목시설 (라멘교, 교대, 암거, 지하차도, 부벽식 옹벽 등) 나. 콘크리트대비 소량의 철근이 사용되는 경우 (측구/개거, 중력식 옹벽, 일체형 중앙분리대 등) |
Type-Ⅲ | 가. 철근가공 및 조립 작업이 매우 복잡한 토목시설 (교각, 구주식 교대 등) 나. 특수 구조시설물에서 철근직경 35mm를 초과하여 인력에 의한 단독시공이 어려운 경우 (원자력 발전소 등 플랜트 구조) |
⑥ 산재되어 있는 소형구조물(전체 철근량 3ton미만)에서는 노무비를 30%까지 가산할 수 있다.
■ EE*** 철근 가공 및 조립 / 공장가공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EE001.22000 | 철근 공장가공 및 조립 | Type-Ⅰ | ton | 550,995 | 83% |
EE001.32000 | 철근 공장가공 및 조립 | Type-Ⅱ | ton | 640,063 | 83% |
EE001.42000 | 철근 공장가공 및 조립 | Type-Ⅲ | ton | 731,086 | 83% |
【단가정의】
① 철근의 공장가공 및 현장조립 작업을 기준한 것이다.
② 철근의 이음(겹이음 또는 기계적 이음), 간격재 설치, 철근 인상작업을 포함한다.
③ 재료의 구입 및 운반비(철근, 이음재(커플러), 간격재), 현장내 운반비, 시공상세도(Shop Drawing) 작성비는 제외되어 있다.
④ 철근의 나사 가공 등 특수 공장가공비는 제외되어 있다.
⑤ 규격별 적용유형은 아래를 참고한다.
구 분 | 유 형 |
Type-Ⅰ | 가. 철근가공 및 조립 작업이 일반적인 토목시설 (반중력식 옹벽, L형 옹벽, 교량 슬래브, 매트기초, 수문 등) 나. 특정위치에서 철근의 가공 및 조립이 반복되는 경우 (빔 제작, 철근망 등) |
Type-Ⅱ | 가. 철근가공 및 조립 작업이 복잡한 토목시설 (라멘교, 교대, 암거, 지하차도, 부벽식 옹벽 등) 나. 콘크리트대비 소량의 철근이 사용되는 경우 (측구/개거, 중력식 옹벽, 일체형 중앙분리대 등) |
Type-Ⅲ | 가. 철근가공 및 조립 작업이 매우 복잡한 토목시설 (교각, 구주식 교대 등) 나. 특수 구조시설물에서 철근직경 35mm를 초과하여 인력에 의한 단독시공이 어려운 경우 (원자력 발전소 등 플랜트 구조) |
■ EF53* 지수판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EF530.02000 | 지수판/소켓식 | 200×5t | m | 17,983 | 97% |
【단가정의】
① 지수판 연결재(소켓사용)를 활용한 지수판 설치를 기준한 것이다.
② 지수판 절단 및 설치, 마감 작업을 포함한다.
③ 재료비는 제외되어 있다.
■ EF*** 신축이음(Expansion Joint)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EF800.01000 | 신축이음 설치 | 다웰바 | ea(개) | 11,396 | 97% |
EF300.00100 | 신축이음 설치 | 채움재 | m2 | 7,677 | 97% |
EF700.00100 | 신축이음 설치 | 실링마감 | m | 4,010 | 99% |
【단가정의】
① 다웰바(D25, L=1000mm이하)는 설치간격 150mm를 기준한 것이다.
② 채움재(발포 폴리스티렌)는 두께 20mm이하 를 기준한 것이다.
③ 실링마감은 V컷팅, 프라이머 바름, 백업재 삽입, 실링재 주입 작업을 포함한다.
④ 재료비는 제외되어 있다.
■ ER40* 콘크리트 접착제 바르기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ER400.10000 | 콘크리트 접착제 바르기 | Epoxy 접착제 | m2 | 29,247 | 81% |
【단가정의】
① 신구 콘크리트를 접착시키기 위하여 에폭시 접착제를 바르는 기준이다.
② Epoxy 접착제, 시너 등 신구 콘크리트 접합재료의 구입 및 운반비와 접합에 소요되는 인건비 및 기구손료를 포함한다.
③ 콘크리트 치핑에 소요되는 비용은 제외되어 있다.
■ ER40* 콘크리트 치핑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ER400.20000 | 콘크리트 치핑 | 소형장비 | m2 | 26,366 | 94% |
【단가정의】
① 소형치핑장비(소형브레이커, 치핑기)를 활용한 인력에 의한 작업 기준이다.
② 치핑, 청소 및 정리를 포함하며, 경장비(소형브레이커, 치핑기 등)의 기계경비를 포함한다.
대분류 F | 프리캐스트 콘크리트공사 |
■ FB*** PSC빔 제작(부재)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FB002.01000 | PSC빔 제작부재 | 빔 제작대 설치 | m | 30,507 | 80% |
FB002.02000 | PSC빔 제작부재 | 정착구 설치 | 개 | 32,688 | 95% |
FB002.03000 | PSC빔 제작부재 | 쉬즈관 설치 (Ø85mm 이하) |
m | 7,988 | 98% |
FB002.04000 | PSC빔 제작부재 | 강연선 설치 (Ø12.7mm) |
ton | 211,956 | 80% |
FB002.05000 | PSC빔 제작부재 | 강연선 설치 (Ø15.2mm) |
ton | 175,820 | 80% |
FB002.06000 | PSC빔 제작부재 | 인장 (Ø12.7mm) |
개소 | 60,968 | 84% |
FB002.07000 | PSC빔 제작부재 | 인장 (Ø15.2mm) |
개소 | 70,077 | 84% |
FB002.08000 | PSC빔 제작부재 | 그라우팅 | m3 | 608,338 | 86% |
【단가정의】
① PSC빔 제작부재별(빔 제작대, 정착구, 쉬즈관, 강연선설치, 인장, 그라우팅, 강재거푸집) 소요비용을 포함한다.
② 빔 제작대 설치는 제작대 설치비를 포함하며, 콘크리트 타설 등의 기초공사가 필요한 경우는 별도 계상한다. 빔 제작대의 재료(각재, 판재, 꺽쇠, 못)비는 제외되어 있다.
③ 정착구 설치는 정착구 고정 및 설치작업을 포함하며, 재료비는 제외되어 있다.
④ 쉬즈관 설치는 쉬즈관 절단 및 조립, 쉬즈 보호호스 삽입 및 제거작업을 포함하며, 재료비는 제외되어 있다.
⑤ 강연선 설치는 강연선 삽입, 절단작업을 포함하며, 재료비는 제외되어 있다.
⑥ 인장은 양측면 인장 기준이고, 앵커헤드 및 웨지설치, 인장 및 절단작업을 포함하며, 재료비는 제외되어 있다.
⑦ 그라우팅은 주입호스 설치 및 그라우팅 준비, 시멘트 배합 및 주입작업을 포함하며, 재료비는 제외되어 있다.
⑧ 빔 제작용 강재거푸집 설치는 “대분류 E. 현장타설콘크리트공사 / ED*** 강재 거푸집/자재비제외” 해당규격의 표준시장단가를 적용한다.
■ FB*** PSC빔 제작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FB601.02500 | PSC빔 제작 | 25m | 본 | 11,528,402 | 77% |
FB601.03000 | PSC빔 제작 | 30m | 본 | 15,100,000 | 77% |
FB701.03500 | PSC빔 제작 | 35m | 본 | 19,336,306 | 78% |
【단가정의】
① 이 단가는 PSC빔 제작에 소요되는 비용을 포함한다.
② 재료(철근, 콘크리트, PSC강연선)의 구입 및 운반비는 제외한다.
③ 보강재(Soleplate) 구입 및 설치비는 제외한다.
④ 부대작업(빔 제작장, 몰탈비빔, PVC파이프, 용접 및 검사)에 소요되는 재료비 및 설치비를 포함한다. 단 빔제작장 조성시 임대료는 포함하지 않는다.
【표준도 및 적용기준】
① 본 단가를 적용할 수 없는 경우, 아래 예시에 제시된 목적물 세부구성요소별 단가와 도면등으로부터 산출한 목적물 세부구성요소별 수량을 적용하여 목적물 단위당 단가를 산출한다. 필요시, 철근가공조립, 콘크리트타설등의 세부규격을 변경할 수 있으며, 이때 본 단가집 “대분류 E. 현장타설콘크리트공사” 해당규격의 표준시장단가를 적용한다.
② 작성예시
분류 | 내역 | 단위 | 수량 | 단가 | 금액 | 비고 |
* 실 설계수량 × 표준시장단가 | ||||||
본체 (A) |
빔 제작대 설치 | m | ( ) | 30,507 | ( A1 ) | ㆍFB002.01000 |
정착구 설치 | 개 | ( ) | 32,688 | ( A2 ) | ㆍFB002.02000 | |
쉬즈관 설치(Ø85mm이하) | m | ( ) | 7,988 | ( A3 ) | ㆍFB002.03000 | |
강연선 설치 | ||||||
- Ø12.7mm | ton | ( ) | 211,956 | ( A4 ) | ㆍFB002.04000 | |
- Ø15.2mm | ton | ( ) | 175,820 | ( A5 ) | ㆍFB002.05000 | |
인장 | ||||||
- Ø12.7mm | 개소 | ( ) | 60,968 | ( A6 ) | ㆍFB002.06000 | |
- Ø15.2mm | 개소 | ( ) | 70,077 | ( A7 ) | ㆍFB002.07000 | |
그라우팅 | m3 | ( ) | 608,338 | ( A8 ) | ㆍFB002.08000 | |
강재거푸집(장비사용)/ 일반 |
m² | ( ) | 24,471 | ( A9 ) | ㆍED403.04000 | |
철근 현장가공 및 조립 /TYPE-Ⅰ |
ton | ( ) | 622,948 | ( A10 ) | ㆍEE001.20000 | |
철근콘크리트 타설 /펌프차, 보통, S=15 |
m³ | ( ) | 18,887 | ( A11 ) | ㆍEC201.02152 | |
소계 | A1~A11의 합( ① ) | |||||
부대공 (B) |
* 실 설계수량 × 시중물가 | |||||
몰탈비빔 | m³ | ( ) | ( ) | ( B1 ) | ||
PVC파이프 | m | ( ) | ( ) | ( B2 ) | ||
빔 제작장 조성 | 본 | ( ) | ( ) | ( B3 ) | ㆍ임대료제외 | |
용접 및 검사 | m | ( ) | ( ) | ( B4 ) | ||
기초잡석 부설 | m³ | ( ) | ( ) | ( B5 ) | ||
소계 | B1~B5의 합( ② ) ※항목별 직접계상이 곤란한 경우는 본체공사비 ①의 7% 계상 |
|||||
재료비 (C) |
* 실 설계수량 × 시중물가 | |||||
빔 제작대 재료 - 각재, 판재 등 |
m | ( ) | ( ) | ( C1 ) | ||
기초잡석 | m³ | ( ) | ( ) | ( C2 ) | ㆍ현장암 유용 | |
쉬즈관(Ø85mm이하) | m | ( ) | ( ) | ( C3 ) | ||
정착구(Ø12.7/Ø15.2mm) | 조 | ( ) | ( ) | ( C4 ) | ||
그라우팅 재료 - 시멘트, 혼화제 |
m3 | ( ) | ( ) | ( C5 ) | ||
강재거푸집 | m² | ( ) | ( ) | ( C6 ) | ||
소계 | C1~C6의 합( ③ ) | |||||
합계 | ① + ② + ③ | 목적물 단위당 단가 | ||||
* 철근, 콘크리트, 강연선의 구입 및 운반비는 별도 산정한다. |
③ 표준도
<PSC BEAM(L=25m) 표준도>
<PSC BEAM(L=30m) 표준도>
<PSC BEAM(L=35m) 표준도>
대분류 G | 관 공 사 |
■ G****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흄관)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GA211.0025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250mm | m | 21,153 | 68% |
GA211.0030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300mm | m | 26,506 | 69% |
GA211.0035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350mm | m | 32,112 | 71% |
GA211.0040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400mm | m | 37,895 | 72% |
GA311.0045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450mm | m | 43,860 | 73% |
GA311.0050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500mm | m | 49,950 | 73% |
GA311.0060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600mm | m | 62,663 | 75% |
GA411.0070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700mm | m | 76,537 | 76% |
GA411.0080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800mm | m | 90,299 | 77% |
GA411.0090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900mm | m | 104,495 | 78% |
GA511.0100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1,000mm | m | 119,077 | 79% |
GA511.0110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1,100mm | m | 134,028 | 80% |
GA511.0120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1,200mm | m | 149,992 | 80% |
GA611.0135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1,350mm | m | 173,531 | 81% |
GA611.0150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1,500mm | m | 197,669 | 82% |
GA711.0165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1,650mm | m | 222,483 | 83% |
GA711.0180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1,800mm | m | 247,869 | 84% |
GA811.0200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2,000mm | m | 282,456 | 85% |
【단가정의】
①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2.5m)의 소켓식 접합을 기준한 것이다.
② 관부설 및 접합, 절단, 자재하차 작업을 포함하며, 관로의 터파기, 되메우기, 물푸기, 잔토처리 및 기초작업은 제외되어 있다.
③ 원심력철근콘크리트관, 고무링의 구입 및 운반 비용은 제외되어 있으며, 소모재료(접합용 모르타르 등) 비용은 포함한다.
【단가보정】
- 관공사는 토공사(굴착 및 복구공사 등)에 영향을 받아 시공되는 기준으로 현장의 시공조건을 고려하여 다음 계수를 곱하여 적용한다.
구 분 | 표준시장단가 | 노무비율 |
- 당일 굴착 및 복구공사에 영향을 받으며 시공하는 현장 - 통행제한, 지장물(매립물 등) 등으로 인해 연속적인 굴착이 불가능하여 굴착과 관부설 및 접합을 병행하여 반복적으로 시공하는 경우 |
1.00 | 1.00 |
- 당일 굴착 및 복구공사에 영향을 받으며 시공하는 현장 - 굴착 작업이 분리 선행되어 부설 및 접합을 연속적으로 시공하는 경우 |
0.75 | 1.00 |
- 굴착 및 복구공사의 영향없이 시공하는 현장 - 선행작업(굴착공사 또는 기초공사)이 완료된 상태의 개착구간으로 부설 및 접합을 단독으로 시공하는 경우 |
0.50 | 1.00 |
■ G****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흄관)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GA212.0040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 /PE수밀밸트 |
∅400mm | m | 31,464 | 70% |
GA312.0060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 /PE수밀밸트 |
∅600mm | m | 58,470 | 75% |
GA412.0080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 /PE수밀밸트 |
∅800mm | m | 87,211 | 76% |
GA512.0100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 /PE수밀밸트 |
∅1,000mm | m | 113,572 | 79% |
GA512.01200 |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 /PE수밀밸트 |
∅1,200mm | m | 145,776 | 80% |
【단가정의】
① 원심력 철근콘크리트관(2.5m)의 P.E수밀밸트 접합을 기준한 것이다.
② 관부설 및 접합, 절단, 자재하차 작업을 포함하며, 관로의 터파기, 되메우기, 물푸기, 잔토처리 및 기초작업은 제외되어 있다.
③ 원심력철근콘크리트관, 접합부속물(P.E수밀밸트, 볼트)의 구입 및 운반비용은 제외되어 있다.
【단가보정】
- 관공사는 토공사(굴착 및 복구공사 등)에 영향을 받아 시공되는 기준으로 현장의 시공조건을 고려하여 다음 계수를 곱하여 적용한다.
구 분 | 표준시장단가 | 노무비율 |
- 당일 굴착 및 복구공사에 영향을 받으며 시공하는 현장 - 통행제한, 지장물(매립물 등) 등으로 인해 연속적인 굴착이 불가능하여 굴착과 관부설 및 접합을 병행하여 반복적으로 시공하는 경우 |
1.00 | 1.00 |
- 당일 굴착 및 복구공사에 영향을 받으며 시공하는 현장 - 굴착 작업이 분리 선행되어 부설 및 접합을 연속적으로 시공하는 경우 |
0.75 | 1.00 |
- 굴착 및 복구공사의 영향없이 시공하는 현장 - 선행작업(굴착공사 또는 기초공사)이 완료된 상태의 개착구간으로 부설 및 접합을 단독으로 시공하는 경우 |
0.50 | 1.00 |
■ G**** 진동 및 전압 철근콘크리트관(V.R관)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GA214.00250 | 진동 및 전압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250mm | m | 21,962 | 67% |
GA214.00300 | 진동 및 전압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300mm | m | 27,547 | 69% |
GA214.00350 | 진동 및 전압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350mm | m | 33,163 | 70% |
GA214.00400 | 진동 및 전압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400mm | m | 38,926 | 71% |
GA314.00450 | 진동 및 전압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450mm | m | 44,848 | 72% |
GA314.00500 | 진동 및 전압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500mm | m | 50,928 | 73% |
GA314.00600 | 진동 및 전압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600mm | m | 64,268 | 75% |
GA414.00700 | 진동 및 전압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700mm | m | 77,946 | 75% |
GA414.00800 | 진동 및 전압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800mm | m | 91,556 | 76% |
GA414.00900 | 진동 및 전압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900mm | m | 105,322 | 77% |
GA514.01000 | 진동 및 전압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1,000mm | m | 119,942 | 78% |
GA514.01100 | 진동 및 전압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1,100mm | m | 134,896 | 79% |
GA514.01200 | 진동 및 전압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1,200mm | m | 150,815 | 79% |
GA614.01350 | 진동 및 전압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1,350mm | m | 174,485 | 80% |
GA614.01500 | 진동 및 전압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1,500mm | m | 198,758 | 81% |
GA714.01650 | 진동 및 전압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1,650mm | m | 223,711 | 82% |
GA714.01800 | 진동 및 전압 철근콘크리트관/소켓식 | ∅1,800mm | m | 249,237 | 83% |
【단가정의】
① 진동 및 전압 철근콘크리트관(V.R관, 2.5m)의 소켓식 접합을 기준한 것이다.
② 관부설 및 접합, 절단, 자재하차 작업을 포함하며, 관로의 터파기, 되메우기, 물푸기, 잔토처리 및 기초작업은 제외되어 있다.
③ 진동 및 전압철근콘크리트관, 고무링의 구입 및 운반비용은 제외되어 있으며, 소모재료(접합용 모르타르 등) 비용은 포함한다.
【단가보정】
- 관공사는 토공사(굴착 및 복구공사 등)에 영향을 받아 시공되는 기준으로 현장의 시공조건을 고려하여 다음 계수를 곱하여 적용한다.
구 분 | 표준시장단가 | 노무비율 |
- 당일 굴착 및 복구공사에 영향을 받으며 시공하는 현장 - 통행제한, 지장물(매립물 등) 등으로 인해 연속적인 굴착이 불가능하여 굴착과 관부설 및 접합을 병행하여 반복적으로 시공하는 경우 |
1.00 | 1.00 |
- 당일 굴착 및 복구공사에 영향을 받으며 시공하는 현장 - 굴착 작업이 분리 선행되어 부설 및 접합을 연속적으로 시공하는 경우 |
0.75 | 1.00 |
- 굴착 및 복구공사의 영향없이 시공하는 현장 - 선행작업(굴착공사 또는 기초공사)이 완료된 상태의 개착구간으로 부설 및 접합을 단독으로 시공하는 경우 |
0.50 | 1.00 |
■ G**** 폴리에스테르수지 콘크리트관(PRC관)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GA215.00250 | 폴리에스테르수지 콘크리트관/소켓식 | ∅250mm | m | 20,608 | 67% |
GA215.00300 | 폴리에스테르수지 콘크리트관/소켓식 | ∅300mm | m | 25,846 | 69% |
GA215.00350 | 폴리에스테르수지 콘크리트관/소켓식 | ∅350mm | m | 31,538 | 70% |
GA215.00400 | 폴리에스테르수지 콘크리트관/소켓식 | ∅400mm | m | 37,409 | 71% |
GA315.00450 | 폴리에스테르수지 콘크리트관/소켓식 | ∅450mm | m | 43,360 | 72% |
GA315.00500 | 폴리에스테르수지 콘크리트관/소켓식 | ∅500mm | m | 49,511 | 73% |
GA315.00600 | 폴리에스테르수지 콘크리트관/소켓식 | ∅600mm | m | 61,569 | 75% |
GA415.00700 | 폴리에스테르수지 콘크리트관/소켓식 | ∅700mm | m | 75,447 | 75% |
GA415.00800 | 폴리에스테르수지 콘크리트관/소켓식 | ∅800mm | m | 89,157 | 76% |
GA415.00900 | 폴리에스테르수지 콘크리트관/소켓식 | ∅900mm | m | 103,290 | 77% |
GA515.01000 | 폴리에스테르수지 콘크리트관/소켓식 | ∅1,000mm | m | 117,850 | 78% |
GA515.01100 | 폴리에스테르수지 콘크리트관/소켓식 | ∅1,100mm | m | 132,828 | 79% |
GA515.01200 | 폴리에스테르수지 콘크리트관/소켓식 | ∅1,200mm | m | 148,886 | 79% |
【단가정의】
① 폴리에스테르수지 콘크리트관(PRC관, 2.5m)의 소켓식 접합을 기준한 것이다.
② 관부설 및 접합, 절단, 자재하차 작업을 포함하며, 관로의 터파기, 되메우기, 물푸기, 잔토처리 및 기초작업은 제외되어 있다.
③ 폴리에스테르수지콘크리트관, 고무링의 구입 및 운반 비용은 제외되어 있으며, 소모재료(접합용 모르타르 등) 비용은 포함한다.
【단가보정】
- 관공사는 토공사(굴착 및 복구공사 등)에 영향을 받아 시공되는 기준으로 현장의 시공조건을 고려하여 다음 계수를 곱하여 적용한다.
구 분 | 표준시장단가 | 노무비율 |
- 당일 굴착 및 복구공사에 영향을 받으며 시공하는 현장 - 통행제한, 지장물(매립물 등) 등으로 인해 연속적인 굴착이 불가능하여 굴착과 관부설 및 접합을 병행하여 반복적으로 시공하는 경우 |
1.00 | 1.00 |
- 당일 굴착 및 복구공사에 영향을 받으며 시공하는 현장 - 굴착 작업이 분리 선행되어 부설 및 접합을 연속적으로 시공하는 경우 |
0.75 | 1.00 |
- 굴착 및 복구공사의 영향없이 시공하는 현장 - 선행작업(굴착공사 또는 기초공사)이 완료된 상태의 개착구간으로 부설 및 접합을 단독으로 시공하는 경우 |
0.50 | 1.00 |
■ GB*** 주철관 부설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GB201.00100 | 주철관 부설 | ø100mm이하 | 본 | 32,460 | 68% |
GB201.00120 | 주철관 부설 | ø120mm | 본 | 41,775 | 70% |
GB201.00150 | 주철관 부설 | ø150mm | 본 | 47,131 | 70% |
GB201.00200 | 주철관 부설 | ø200mm | 본 | 51,270 | 70% |
GB301.00200 | 주철관 부설 | ø250mm | 본 | 57,820 | 72% |
GB301.00300 | 주철관 부설 | ø300mm | 본 | 65,064 | 74% |
GB301.00350 | 주철관 부설 | ø350mm | 본 | 78,353 | 75% |
GB301.00400 | 주철관 부설 | ø400mm | 본 | 96,799 | 77% |
GB401.00450 | 주철관 부설 | ø450mm | 본 | 110,417 | 79% |
GB401.00500 | 주철관 부설 | ø500mm | 본 | 121,450 | 81% |
GB401.00600 | 주철관 부설 | ø600mm | 본 | 146,271 | 83% |
GB401.00700 | 주철관 부설 | ø700mm | 본 | 175,093 | 82% |
GB501.00800 | 주철관 부설 | ø800mm | 본 | 215,815 | 84% |
GB501.00900 | 주철관 부설 | ø900mm | 본 | 270,533 | 87% |
GB501.01000 | 주철관 부설 | ø1,000mm | 본 | 317,551 | 87% |
GB501.01100 | 주철관 부설 | ø1,100mm | 본 | 346,959 | 88% |
GB601.01200 | 주철관 부설 | ø1,200mm | 본 | 378,483 | 88% |
【단가정의】
① 주철관(직관(6m) 및 이형관, 곡관)의 부설 작업을 기준한 것이다.
② 관부설 및 위치조정, 경고테이프 설치를 포함하며, 관로의 터파기, 되메우기, 물푸기, 잔토처리 및 기초작업은 제외되어 있다.
③ 주철관 재료비는 제외되어 있다.
【단가보정】
- 관공사는 토공사(굴착 및 복구공사 등)에 영향을 받아 시공되는 기준으로 현장의 시공조건을 고려하여 다음 계수를 곱하여 적용한다.
구 분 | 표준시장단가 | 노무비율 |
- 당일 굴착 및 복구공사에 영향을 받으며 시공하는 현장 - 통행제한, 지장물(매립물 등) 등으로 인해 연속적인 굴착이 불가능하여 굴착과 관부설 및 접합을 병행하여 반복적으로 시공하는 경우 |
1.00 | 1.00 |
- 당일 굴착 및 복구공사에 영향을 받으며 시공하는 현장 - 굴착 작업이 분리 선행되어 부설 및 접합을 연속적으로 시공하는 경우 |
0.75 | 1.00 |
- 굴착 및 복구공사의 영향없이 시공하는 현장 - 선행작업(굴착공사 또는 기초공사)이 완료된 상태의 개착구간으로 부설 및 접합을 단독으로 시공하는 경우 |
0.50 | 1.00 |
■ GB*** 주철관 접합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GB202.00100 | 주철관 / KP매커니컬 접합 | ø100mm이하 | nr(개소) | 10,542 | 98% |
GB202.00120 | 주철관 / KP매커니컬 접합 | ø120mm | nr(개소) | 12,477 | 98% |
GB202.00150 | 주철관 / KP매커니컬 접합 | ø150mm | nr(개소) | 15,813 | 98% |
GB202.00200 | 주철관 / KP매커니컬 접합 | ø200mm | nr(개소) | 19,147 | 98% |
GB302.00200 | 주철관 / KP매커니컬 접합 | ø250mm | nr(개소) | 29,691 | 98% |
GB302.00300 | 주철관 / KP매커니컬 접합 | ø300mm | nr(개소) | 33,561 | 98% |
GB302.00350 | 주철관 / KP매커니컬 접합 | ø350mm | nr(개소) | 42,167 | 98% |
GB302.00400 | 주철관 / KP매커니컬 접합 | ø400mm | nr(개소) | 61,315 | 98% |
GB402.00450 | 주철관 / KP매커니컬 접합 | ø450mm | nr(개소) | 73,794 | 98% |
GB402.00500 | 주철관 / KP매커니컬 접합 | ø500mm | nr(개소) | 82,401 | 98% |
GB402.00600 | 주철관 / KP매커니컬 접합 | ø600mm | nr(개소) | 108,754 | 98% |
GB402.00700 | 주철관 / KP매커니컬 접합 | ø700mm | nr(개소) | 129,839 | 98% |
GB502.00800 | 주철관 / KP매커니컬 접합 | ø800mm | nr(개소) | 172,006 | 98% |
GB502.00900 | 주철관 / KP매커니컬 접합 | ø900mm | nr(개소) | 229,989 | 98% |
GB502.01000 | 주철관 / KP매커니컬 접합 | ø1000mm | nr(개소) | 286,571 | 98% |
GB502.01100 | 주철관 / KP매커니컬 접합 | ø1100mm | nr(개소) | 316,261 | 98% |
GB602.01200 | 주철관 / KP매커니컬 접합 | ø1200mm | nr(개소) | 342,616 | 98% |
【단가정의】
① 부설 후 정위치된 주철관(직관, 이형관, 곡관 포함)의 인력에 의한 접합을 기준한 것이다.
② 접합부속물(압륜, 볼트 등)의 재료비는 제외되어 있다.
【단가보정】
① 관공사는 토공사(굴착 및 복구공사 등)에 영향을 받아 시공되는 기준으로 현장의 시공조건을 고려하여 다음 계수를 곱하여 적용한다.
구 분 | 표준시장단가 | 노무비율 |
- 당일 굴착 및 복구공사에 영향을 받으며 시공하는 현장 - 통행제한, 지장물(매립물 등) 등으로 인해 연속적인 굴착이 불가능하여 굴착과 관부설 및 접합을 병행하여 반복적으로 시공하는 경우 |
1.00 | 1.00 |
- 당일 굴착 및 복구공사에 영향을 받으며 시공하는 현장 - 굴착 작업이 분리 선행되어 부설 및 접합을 연속적으로 시공하는 경우 |
0.75 | 1.00 |
- 굴착 및 복구공사의 영향없이 시공하는 현장 - 선행작업(굴착공사 또는 기초공사)이 완료된 상태의 개착구간으로 부설 및 접합을 단독으로 시공하는 경우 |
0.50 | 1.00 |
② 이탈방지 압륜을 사용하여 접합할 경우 단가 및 노무비율에 다음 계수를 곱하여 적용한다.
구분 | 단가 | 노무비율 |
이탈방지 압륜 | 1.30 | 1.00 |
■ GB*** 주철관 절단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GB200.01001 | 주철관 절단 | ø100mm이하 | nr(개소) | 32,154 | 95% |
GB200.01201 | 주철관 절단 | ø120mm | nr(개소) | 33,760 | 95% |
GB200.01501 | 주철관 절단 | ø150mm | nr(개소) | 35,367 | 95% |
GB200.02001 | 주철관 절단 | ø200mm | nr(개소) | 38,552 | 79% |
GB300.02001 | 주철관 절단 | ø250mm | nr(개소) | 41,764 | 79% |
GB300.03001 | 주철관 절단 | ø300mm | nr(개소) | 44,978 | 79% |
GB300.03501 | 주철관 절단 | ø350mm | nr(개소) | 48,188 | 79% |
GB300.04001 | 주철관 절단 | ø400mm | nr(개소) | 54,615 | 79% |
GB400.04501 | 주철관 절단 | ø450mm | nr(개소) | 57,828 | 79% |
GB400.05001 | 주철관 절단 | ø500mm | nr(개소) | 61,040 | 79% |
GB400.06001 | 주철관 절단 | ø600mm | nr(개소) | 70,677 | 79% |
GB400.07001 | 주철관 절단 | ø700mm | nr(개소) | 77,105 | 79% |
GB500.08001 | 주철관 절단 | ø800mm | nr(개소) | 86,741 | 79% |
GB500.09001 | 주철관 절단 | ø900mm | nr(개소) | 96,381 | 79% |
GB500.10001 | 주철관 절단 | ø1,000mm | nr(개소) | 106,019 | 79% |
GB500.11001 | 주철관 절단 | ø1,100mm | nr(개소) | 115,656 | 79% |
GB600.12001 | 주철관 절단 | ø1,200mm | nr(개소) | 125,293 | 79% |
【단가정의】
① 절단기(규격:40.64㎝)를 사용한 주철관 절단을 기준한 것이다.
② 200mm이상에서는 관의 이동 및 지지를 위한 장비비를 포함한다.
③ 소모재료비(커터날 등)를 포함한다.
■ GC*** 파형강관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GC301.00300 | 파형강관 | ∅300mm | m | 4,153 | 66% |
GC301.00400 | 파형강관 | ∅400mm | m | 6,393 | 68% |
GC401.00450 | 파형강관 | ∅450mm | m | 7,466 | 69% |
GC401.00500 | 파형강관 | ∅500mm | m | 8,251 | 70% |
GC401.00600 | 파형강관 | ∅600mm | m | 9,804 | 71% |
GC401.00700 | 파형강관 | ∅700mm | m | 11,340 | 72% |
GC501.00800 | 파형강관 | ∅800mm | m | 12,868 | 73% |
GC501.01000 | 파형강관 | ∅1,000mm | m | 15,897 | 75% |
GC501.01200 | 파형강관 | ∅1,200mm | m | 18,901 | 77% |
GC601.01350 | 파형강관 | ∅1,350mm | m | 21,117 | 77% |
GC601.01500 | 파형강관 | ∅1,500mm | m | 23,734 | 78% |
【단가정의】
① 나선형 파형강관(6m)의 부설 및 커플링 밴드 접합을 기준한 것이다.
② 관부설 및 접합, 절단, 자재하차 작업을 포함하며, 관로의 터파기, 되메우기, 물푸기, 잔토처리 및 기초작업은 제외되어 있다.
③ 파형강관 및 접합부품의 구입 및 운반비는 제외되어 있다.
【단가보정】
① 관공사는 토공사(굴착 및 복구공사 등)에 영향을 받아 시공되는 기준으로 현장의 시공조건을 고려하여 다음 계수를 곱하여 적용한다.
구 분 | 표준시장단가 | 노무비율 |
- 당일 굴착 및 복구공사에 영향을 받으며 시공하는 현장 - 통행제한, 지장물(매립물 등) 등으로 인해 연속적인 굴착이 불가능하여 굴착과 관부설 및 접합을 병행하여 반복적으로 시공하는 경우 |
1.00 | 1.00 |
- 당일 굴착 및 복구공사에 영향을 받으며 시공하는 현장 - 굴착 작업이 분리 선행되어 부설 및 접합을 연속적으로 시공하는 경우 |
0.75 | 1.00 |
- 굴착 및 복구공사의 영향없이 시공하는 현장 - 선행작업(굴착공사 또는 기초공사)이 완료된 상태의 개착구간으로 부설 및 접합을 단독으로 시공하는 경우 |
0.50 | 1.00 |
② 8m(본당) 파형강관을 적용할 경우 다음 계수를 곱하여 적용한다.
구 분 | 표준시장단가 | 노무비율 |
8m(본당) | 0.77 | 0.99 |
■ GD02* PVC 이중벽관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GD021.00150 | PVC이중벽관/소켓식 | ø150mm | m | 3,679 | 87% |
GD021.00200 | PVC이중벽관/소켓식 | ø200mm | m | 4,772 | 87% |
GD021.00250 | PVC이중벽관/소켓식 | ø250mm | m | 6,864 | 87% |
GD021.00300 | PVC이중벽관/소켓식 | ø300mm | m | 8,452 | 87% |
【단가정의】
① PVC 이중벽관(6m/비압력관)의 소켓식 접합을 기준한 것이다.
② 관부설 및 접합, 절단, 자재하차 작업을 포함하며, 관로의 터파기, 되메우기, 물푸기, 잔토처리 및 기초작업은 제외되어 있다.
③ PVC이중벽관, 소켓, 고무링의 구입 및 운반 비용은 제외되어 있다.
④ 개량형 PVC관의 소켓식 접합에도 이 단가를 적용할 수 있다.
【단가보정】
- 관공사는 토공사(굴착 및 복구공사 등)에 영향을 받아 시공되는 기준으로 현장의 시공조건을 고려하여 다음 계수를 곱하여 적용한다.
구 분 | 표준시장단가 | 노무비율 |
- 당일 굴착 및 복구공사에 영향을 받으며 시공하는 현장 - 통행제한, 지장물(매립물 등) 등으로 인해 연속적인 굴착이 불가능하여 굴착과 관부설 및 접합을 병행하여 반복적으로 시공하는 경우 |
1.00 | 1.00 |
- 당일 굴착 및 복구공사에 영향을 받으며 시공하는 현장 - 굴착 작업이 분리 선행되어 부설 및 접합을 연속적으로 시공하는 경우 |
0.75 | 1.00 |
- 굴착 및 복구공사의 영향없이 시공하는 현장 - 선행작업(굴착공사 또는 기초공사)이 완료된 상태의 개착구간으로 부설 및 접합을 단독으로 시공하는 경우 |
0.50 | 1.00 |
■ GE*** 유리섬유복합관(GRP관)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GE001.00250 | 유리섬유복합관(GRP관)/소켓식 | ∅250mm | m | 8,194 | 68% |
GE001.00300 | 유리섬유복합관(GRP관)/소켓식 | ∅300mm | m | 8,997 | 69% |
GE001.00350 | 유리섬유복합관(GRP관)/소켓식 | ∅350mm | m | 10,091 | 71% |
GE001.00400 | 유리섬유복합관(GRP관)/소켓식 | ∅400mm | m | 11,946 | 72% |
GE001.00450 | 유리섬유복합관(GRP관)/소켓식 | ∅450mm | m | 13,653 | 73% |
GE001.00500 | 유리섬유복합관(GRP관)/소켓식 | ∅500mm | m | 15,791 | 73% |
GE001.00600 | 유리섬유복합관(GRP관)/소켓식 | ∅600mm | m | 19,774 | 75% |
GE001.00700 | 유리섬유복합관(GRP관)/소켓식 | ∅700mm | m | 23,488 | 76% |
GE001.00800 | 유리섬유복합관(GRP관)/소켓식 | ∅800mm | m | 27,375 | 77% |
GE001.00900 | 유리섬유복합관(GRP관)/소켓식 | ∅900mm | m | 30,929 | 78% |
GE001.01000 | 유리섬유복합관(GRP관)/소켓식 | ∅1,000mm | m | 36,598 | 79% |
GE001.01100 | 유리섬유복합관(GRP관)/소켓식 | ∅1,100mm | m | 40,560 | 80% |
GE001.01200 | 유리섬유복합관(GRP관)/소켓식 | ∅1,200mm | m | 45,243 | 80% |
GE001.01350 | 유리섬유복합관(GRP관)/소켓식 | ∅1,350mm | m | 50,921 | 81% |
GE001.01500 | 유리섬유복합관(GRP관)/소켓식 | ∅1,500mm | m | 56,929 | 82% |
【단가정의】
① 유리섬유복합관(GRP관, 6m/비압력관)의 소켓식 접합을 기준한 것이다.
② 관부설 및 접합, 절단, 자재하차 작업을 포함하며, 관로의 터파기, 되메우기, 물푸기, 잔토처리 및 기초작업은 제외되어 있다.
③ GRP관, 고무링의 구입 및 운반 비용은 제외되어 있다.
【단가보정】
- 관공사는 토공사(굴착 및 복구공사 등)에 영향을 받아 시공되는 기준으로 현장의 시공조건을 고려하여 다음 계수를 곱하여 적용한다.
구 분 | 표준시장단가 | 노무비율 |
- 당일 굴착 및 복구공사에 영향을 받으며 시공하는 현장 - 통행제한, 지장물(매립물 등) 등으로 인해 연속적인 굴착이 불가능하여 굴착과 관부설 및 접합을 병행하여 반복적으로 시공하는 경우 |
1.00 | 1.00 |
- 당일 굴착 및 복구공사에 영향을 받으며 시공하는 현장 - 굴착 작업이 분리 선행되어 부설 및 접합을 연속적으로 시공하는 경우 |
0.75 | 1.00 |
- 굴착 및 복구공사의 영향없이 시공하는 현장 - 선행작업(굴착공사 또는 기초공사)이 완료된 상태의 개착구간으로 부설 및 접합을 단독으로 시공하는 경우 |
0.50 | 1.00 |
■ GR03* 내충격수도관
공종코드 | 공종명칭 | 규격 | 단위 | 단가 | 노무비율 |
GR031.00080 | 내충격수도관/소켓식 | ∅80mm | m | 3,849 | 83% |
GR031.00100 | 내충격수도관/소켓식 | ∅100mm | m | 5,312 | 83% |
GR031.00150 | 내충격수도관/소켓식 | ∅150mm | m | 7,203 | 83% |
GR031.00200 | 내충격수도관/소켓식 | ∅200mm | m | 9,034 | 83% |
GR031.00250 | 내충격수도관/소켓식 | ∅250mm | m | 10,866 | 83% |
GR031.00300 | 내충격수도관/소켓식 | ∅300mm | m | 12,146 | 83% |
【단가정의】
① 내충격수도관(내충격성 경질염화비닐관(HIVP), 6m/압력관)의 소켓식 접합을 기준한 것이다.
② 관부설 및 접합, 절단, 자재하차 작업을 포함하며, 관로의 터파기, 되메우기, 물푸기, 잔토처리 및 기초작업은 제외되어 있다.
③ 이탈방지장치(편수이탈방지압륜)의 설치는 제외되어 있다.
④ 내충격수도관, 고무링의 구입 및 운반 비용, 수압시험비는 제외되어 있다.
【단가보정】
- 관공사는 토공사(굴착 및 복구공사 등)에 영향을 받아 시공되는 기준으로 현장의 시공조건을 고려하여 다음 계수를 곱하여 적용한다.
구 분 | 표준시장단가 | 노무비율 |
- 당일 굴착 및 복구공사에 영향을 받으며 시공하는 현장 - 통행제한, 지장물(매립물 등) 등으로 인해 연속적인 굴착이 불가능하여 굴착과 관부설 및 접합을 병행하여 반복적으로 시공하는 경우 |
1.00 | 1.00 |
- 당일 굴착 및 복구공사에 영향을 받으며 시공하는 현장 - 굴착 작업이 분리 선행되어 부설 및 접합을 연속적으로 시공하는 경우 |
0.75 | 1.00 |
- 굴착 및 복구공사의 영향없이 시공하는 현장 - 선행작업(굴착공사 또는 기초공사)이 완료된 상태의 개착구간으로 부설 및 접합을 단독으로 시공하는 경우 |
0.50 | 1.00 |
'건설업무 > 표준품셈 및 표준시장단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년 상반기 노임단가 (23년 하반기 적용 시중노임단가) (0) | 2023.09.19 |
---|---|
건설적산기준 표준시장단가 배수공사 (0) | 2023.09.18 |
건설적산기준 토목공사 표준시장단가 지반개량 (0) | 2023.09.18 |
건설적산기준 토목공사 표준시장단가 공통공사 (2) | 2023.09.18 |
건설적산기준 표준시장단가 총직 (0) | 2023.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