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이동식 비계 안전수칙 기준 사고에 대해 알고 계시나요?이동식 비계 설치를 위해 필수로 점검해야하는 이동식 비계 안전수칙 기준 사고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오늘 글을 읽으신다면 이동식 비계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점검 항목에 대해 배우실 수 있습니다.오늘 글의 목차 및 순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이동식 비계 안전수칙 기준 – 사전확인이동식비계의 안전한 작업을 위해 사전에 미리 확인해야하는 내용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이동식 비계는 작업자의 안전과 직결되는 시설로, 안전한 작업환경을 위해 사전 점검항목은 무엇이 있을까요? 이동식 비계의 안전인증 여부, 주변 환경, 작업 높이 등을 미리 점검해주도록 합니다.1. 사용하는 이동식비계의 안전인증 여부를 확인한다.2. 이동식 비계는 평탄한 바닥에서만 사용한다.3..
알쏭달쏭 건축법 두 번째 시간이 돌아왔습니다! 오늘은 바닥면적, 연면적 개념 정리를 한번 해볼게요! 건축안전을 위해 「건축법」에서 규정하고 있는 건축 기준의 적용은 ‘면적’으로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건축 규제 기준이 되는 면적들은 바닥면적, 건축면적, 연면적입니다. 때문에 「건축법」에서는 이들 면적 산정의 원칙을 규정(영 제119조)하여 법 적용의 통일성을 유지하고 있습니다. 건축에서 ‘면적’은 일반적으로 벽과 기둥으로 둘러싸인 실내 부분의 면적을 의미합니다. 그러나 건축물에 따라서는 실내·외를 구분하기 어려운 경우도 있고, 발코니와 같이 실내·외를 연결하는 완충공간으로서 건축 당시 외부 공간이었다가 추후 실내화되는 공간도 있어 단순히 실내 부분의 면적이라고만 이해할 수는 없습니다.실·내외 구분이 어려..
'가설건축물'이란 말 그대로 해석해보면 '임시[假]로 설치[設]한 건축물'이라는 의미로, 서커스단이 설치했던 텐트나 엑스포에서 보았던 건물들을 예로 들 수 있습니다.01. 가설건축물(Temporary Buildings)1. 서커스 텐트 Dunn@Wikimedia Commons>2. 르, 코르뷔지에, 1958년 브뤼셀 만국박람회 필립관(Philips Pavilion) Hagens@Wikimedia Commons>가설건축물은 왜 건축물과 구분하여 규정하고 있는 것일까요? '건축물'을 정의하는 3대 기본개념 요소에서 살펴보면(※'건축법에서 규정하는 건축물이란?' 참고) '건축물'은 공적이어야 하고, 토지에 정착하여야 하며, 지붕이 있어야 한다는 모든 조건을 갖추어야 합니다. 그런데 건축물 중에서 토지의 정..
일반적으로 건축자재의 대부분은 면적과 중량으로 계산이 됩니다. 그런데, 목재는 부피로 계산을 하고 있습니다. 1치 = 0.0303m = 3.03cm = 30.3mm (10치 = 1자) 1자 = 0.303m = 30.3cm = 303mm 미터로 계산합니다. 1사이 = 1치 × 1치 × 12자입니다. 1사이 = 0.0303m × 0.0303m × (0.303*12) = 0.00333817524㎥(=0.00334㎥) 1㎥당 1사이 는 299.56개(재)됩니다. ( 1 ÷ 0.00333817524 = 299.56) (사이 = 개 = 재) 같은 단위로 갯수를 나타냅니다. 예제) 각재규격 뉴송 30mm*30mm*3600mm이며 물가정보지 단가는 단위: 개 금액: 서울기준 2,390원 유통물가지 단가는 단위: 재 금..
◈ 단판유리(single glass) : 한 장의 유리로 구성되 있으며, 주로 채광창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단열기능이 없고 바람등 외부 외기영향등을 막을 수 있습니다. 구분 2T 5T 6T 8T 10T 12T 비고 두께 2mm 5mm 6mm 8mm 10mm 12mm ◈ 접합유리(Laminated glass) : 두 장의 유리를 접합하여 생산되어 지며, 두 유리 사이 합성수지 필름을 넣어 빛 투과율 조절, 방음, 자외선차단 등의 기능을 활성화 할수 있습니다. 유리 색상 디자인이 가능하며 Color 유리 라고 합니다. ◈ 복층유리(페어pair glass) : 창호틀의 재질에 따라 금속 또는 플라스틱 틀에 두 장의 유리를 설치한 뒤 그 사이에 공기, 아르곤가스, 전도성 방지가스, 특수가스등 여러 가지 내부 충..
▣ 열전도율(W/mk) 물체의 열전달 정도를 비교하는 기호 W(와트)/m(미터)∙k(켈빈) K(켈빈) = ℃ 즉 W/mk = W/m℃ 단일 재료 내에서 열 전달 비율을 나타냄 어떠한 재료의 K값이 1이라면 1㎥의 재료의 반대면과 온도 1℃ 당 1와트 비율로 열을 전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W/mk에서 K값이 낮을수록 재료는 열을 적게 전달함을 나타냅니다. ⌜열전도율 ÷ 두께 = 열관류율⌟ 쇠 젓가락 K값이 높고, 나무 젓가락은 K값이 낮음 ▣ 열관류율(W/㎡k, U값) 관류[명사] - 하천 따위가 어떤 지역을 꿰뚫어 흐름. 열관류(熱灌流)[명사] - 고체면 양쪽에 유체가 붙어 있을 때, 높은 온도 쪽에서 고체면을 거쳐 낮은 온도 쪽 유체로 열이 옮겨 가는 현상. 열관류 저항 (熱貫流抵抗) [건설] 열관류..
여과집진기 (BAG FILTER) 1.개요 여과집진기는 분진이 함유된 배출가스를 여러개의 여과포에 흘려보내면 분진이 여과포에 포집되는 장치로써 여과포에 뭍은 분진은 탈진방식에 따라 탈진되어 분진을 제거할 수 있으며, 특히 미세분진제거에 적당한 설비이다. 이는 직물위에 쌓이는 먼지층이 2차 탈진제거 효율을 가짐으로써 가능하다. 여과재를엮어 다양한크기의 여과포를 만드는 방법, 집진기 내부의 여과포의구조 방법, 처리가스가 여과포로 유입되는 방법등에 따라 역기류 방식, 진동방식, 충격분출방식 등으로 구분된다. 2. 특성 1) 장 점 -입자에 대한 집진 효율이 높다. -여러 가지 형태의 분진을 포집 할 수 있다. -다양한 용량을 처리할 수 있다. -고농도의 분진처리에 적합하다. -정비, 보수가 용이하다. -탈진 ..
♨ 도시가스의 조성비 구 분 천 연 가 스 (LNG) 도 시 가 스 (LPG) 호 칭 열 량 10,500㎉/㎥ 15,000㎉/㎥ 총 발 열 량 10,500㎉/N㎥ 14,883㎉/N㎥ 진 발 열 량 9,500㎉/N㎥ 13,700㎉/N㎥ 비 중 0.625 1.33 이 론 공 기 량 10.53N㎥ / N㎥ 14.29N㎥ / N㎥ 연 소 속 도 39 - 40㎝/sec 44.6㎝/sec 폭 발 범 위 4.8 - 14.5% 3.2 - 14.7% 가 스 그 룹 13A 13A 화 학 조 성 H2 CH4 88.917% C3H8 1.344% 61.6% CO2 N2 0.0275% 30.7% CO O2 8.2% C4H10 0.775% C3H6 8.939% ♨ 연료별 성분조성, 발열량, 비중 (표-1)은 LNG, LPG, 등유..
▷ 교반기(AGITATOR)선정 및 설치방법과 임펠라 선정방법 소개 교반기 선정 가이드 용도에 적합한 교반기를 선정하는 것은 많은 경험과 지식을 필요로 하며 교반목적, 교반액의 물성치(점도, 비중), 교반조건, 교반시간, 주의 환경 등 많은 요소를 점검 하여야 만 적절한 교반기를 선정할 수 있다. 교반기의 선정시 우선 단위 마력당 교반용량을 결정하고, 임펠라 치수, 회전수, 날개 형태, 설치 위치 등을 선정한 후 교반기축의 강도계산에 의한 축경을 설계하면 된다. 1>. TANK 사양 : 형태(원형, 사각, 타원), 크기 및 실 용량, 재질, 개폐여부, HEAD & BOTTON의 형태, 압력, 온도 등을 고려후 선정 2>. 액성 : 액명, 비중, 점도, 온도, 용해도, 압력 및 고형물의 크기 및 첨가량 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