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 배근 - 하부 주근

반응형

부재일람표에서 하부 주근을 보니 HD22 철근을 단부는 세 가닥, 중앙부는 다섯 가닥 배치하는 것으로 되어 있습니다.

보배치-리스트.PNG

 

연속해서 배치하는 하부근

단부 세 가닥과 중앙부 다섯 가닥으로 되어 있으나 전체 경간에 걸쳐 세 가닥을 연속해서 배채해야 합니다. 상부 주근과 마찬가지로 모서리에 연속해서 배치하는 철근을 우선 살펴보겠습니다.

 

 

하부근1-55.png

상부 주근과 이음 구간이 겹치지 않도록 8m 정척철근을 가공해서 사용할 수 있습니다. 경간이 길지 않기 때문에 8m 철근을 먼저 배치하면 이음을 한 번만 해도 되기 때문에 작업이 수월합니다. 90˚ 표준갈고리를 만들고 '표준갈고리를 갖는 이형철근의 정착길이'만큼 기둥 안쪽으로 배치해주는 것은 상부 철근과 동일합니다. 수평하중이 작용하면 언제든지 응력이 반전될 수 있기 때문에 압축정착으로 하지 않습니다. 

 

오른쪽 나머지 부분은 이음길이만큼 겹쳐서 배치합니다.

하부근2-99.png

여기서 이음길이는 B급 인장철근의 이음길이를 적용하는데 상부철근이 아닌 일반철근의 정착길이를 적용해야 합니다. 따라서 상부철근보다는 이음길이가 더 짧습니다. 그리고 왼쪽 단부처럼 90˚ 표준갈고리를 만들고 '표준갈고리를 갖는 이형철근의 정착길이'만큼 기둥 안쪽으로 배치줍니다.

 

연속해서 배치해야 하는 철근 세 개 중 두 개를 배치했으니 이제 한 개를 더 배치해야 합니다.

하부근3-100.png

나머지 철근을 배치할 때는 좌우를 뒤집어서 배치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하면 이음구간이 겹치지 않아 구조적인 성능이 좋아집니다.

 

중앙부에만 배치하는 철근

중앙부 하부에 배치해야 하는 철근이 다섯 가닥이니 이제 중앙부에 두 가닥을 더 배치해야 합니다.

 

하부근4-54.png

 

그런데 단부에 배치해야 하는 철근 세 가닥을 모두 배치했기 때문에 단부에는 배치할 필요가 없습니다. 따라서 단부쪽에는 순경간의 1/8만큼만 남겨두고 철근을 잘라서 배치합니다. 양쪽 경간이 6m와 5m로 다르기 때문에 배치해야 하는 철근 길이도 달라지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렇게 하부근을 모두 배치했습니다. 상부근과 하부근을 모두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하부근5-53.png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