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근콘크리트 수량산출

반응형

철근콘크리트공사는 거푸집 및 철근, 콘크리트로 구성되며, 전체 공사비에서 많은 부분을 차지하기 때문에 누락되거나 오차가 없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철근콘크리트구조체에서 콘크리트는 체적[m³], 거푸집은 면적[m²], 철근은 길이[m]로 산출한 후 중량[ton]으로 환산합니다.

 

철근콘크리트의 물량산출은 구조도면을 확인하면서 부재별로 콘크리트, 거푸집, 철근을 한꺼번에 산출해야 합니다.

 

 

구조도면에는 기초 및 기둥, 벽, 보, 슬래브 등 부재별로 실제 형상과 철근 배치를 상세하게 기술한 일람표가 있습니다. 위 그림은 기둥 일람표를 예를 제시하였는데, 이 부재별 일람표를 보면서 콘크리트와 거푸집, 철근의 수량을 한꺼번에 산출합니다. 부재일람표를 보고 실제의 형상을 머릿속에 그리면서 수량을 산출하는데, 물량산출에 필요한 각 부분의 치수는 평면도와 단면도에서 확인해야 합니다.

 

콘크리트 수량 산출

콘크리트는 규격별로 단가가 달라지기 때문에 구분해서 산출해야 합니다. 기초 밑에 먹매김을 하기 위해 타설하는 버림콘크리트와 구조체에 타설하는 콘크리트의 강도 등 각각의 강도가 다르기 때문에 구별해서 산출합니다. 콘크리트의 강도가 다르면 단가가 달라지기 때문에 도면을 숙지한 후 콘크리트의 배합비율, 혼화재 사용별로 구분하여 물량을 산출합니다.
콘크리리트의 수량은 체적[m³]으로 산출합니다. 콘크리트 구조체는 대부분 직육면체이기 때문에 직육면체의 체적으로 산출합니다.  

 

콘크리트는 내부에 철근이 배치되어 있고 경우에 따라 모따기와 줄눈 등이 있지만 계산이 복잡하지 않도록 대부분은 공제하지 않습니다.

  • 콘크리트 속에 철근이 배근되어 있지만, 이 철근의 체적은 공제하지 않습니다.
  • 콘크리트 모서리의 모따기나 줄눈의 경우에도 공제하지 않습니다.
  • 벽체나 슬래브와 같은 판상형 부재에서는 개구부가 있지만, 그 크기가 1m²이하이면 보통은 공제하지 않습니다.

거푸집 수량 산출

거푸집은 거푸집널, 지지체, 부속철물로 구성되며, 거푸집의 수량은 거푸집널의 면적[m²]으로 계산합니다. 따라서 거푸집이 설치되는 부분의 콘크리트 표면적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각 부재가 서로 면해 있으면 거푸집을 설치하지 않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위의 기둥에서는 보나 벽체와 면하는 부분은 거푸집을 설치하지 않습니다. 그런데 계산의 편의상 접촉부분이나 개구부의 면적이 작은 경우에는 공제하지 않습니다. 거푸집 수량을 산출할 때 일반적으로 공제하지 않는 경우는 다음과 같습니다.


① 기둥과 보의 접합부 면적이  1m² 이하일 때
② 기둥과 벽의 접합부 면적이  1m² 이하일 때
③ 큰보와 작은보의 접합부 면적이  1m² 이하일 때
④ 큰보 또는 작은보와 벽의 접합부 면적이  1m² 이하일 때
⑤ 개구부의 면적이 1m² 이하일 때

 

철근 수량 산출

철근은 재질(SD300, SD400, SD500 등)과 지름(D10, D13, D16 등)에 따라 단가가 다르기 때문에 재질과 직경에 따라 구분해서 산출합니다.

 

철근의 물량 산출은 기본적으로 해당 철근의 길이에 개수를 곱해서 산출(철근물량 = 길이 × 개수)한 후 나중에 중량을 환산합니다. 우선은 지름별로 총 길이를 산출해야 합니다. 그런데 구조도면에 배근 간격(@; at the pitch of)이 지정되어 있는 경우에는 철근의 개수를 산출할 때 주의해야 합니다.

 

 

위 그림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가로 세로의 폭이 1,000 × 1,000인 기초에 철근을 배치한다고 가정해보겠습니다. 일단 기초의 피복두께는 무시하겠습니다.

 

철근의 총길이는 단위 철근의 길이에 개수를 곱해서 산출합니다. 여기서 단위 철근의 길이는 부재의 세로 길이에 해당하므로 1m를 적용하면 됩니다.

 

다음으로 철근의 개수는 배근해야 할 구간을 배근간격으로 나누어 계산합니다. 이 경우 1/0.3= 3.333……으로 산출되는데, 이 계산 결과를 개수로 환산할 때 주의해야 합니다. 계산 결과값인 3.33....에서 정수인 3은 세 가닥의 철근 ②, ③, ④번 철근을 의미합니다. 처음 시작하는 위치(①번 철근 위치)에 철근을 배치하지 않아도 된다면 상관없지만, 기초에서는 처음 시작하는 위치에 철근 한 가닥을 배근하고 나서 배근간격만큼 띄우기 때문에 1개를 추가해야 합니다. 따라서 개수에 +1를 해주어야 합니다.

 

소수점 자리는 0.3333... 1,000 간을 300 만큼 배치했을 때 개수가 맞아 떨어지지 않고 남는 구간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소수점의 경우는 철근을 어떻게 배치해야 할지에 따라 올림을 적용하거나 버림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기초에서는 소수점으로 남는 구간의 끝지점에 반드시 배근을 해야 하기 때문에 올림 처리를 해야 합니다.

 

따라서 기초에서 철근의 개수를 산정할 때는 (배근구간/배근간격)올림+1로 산출해야 한다. 위의 예에서는 1/0.3 = 3.333.. 이므로 올림 처리하면 4가 되고 +1를 가산하면 5개 철근을 배근해야 합니다.


이처럼 철근의 개수를 산정하는 방법은 부재 배근에 따라 달라지는데, 처음 시작 위치에 한 개를 배치하면 +1개, 맨 끝부분에 배근간격보다 작은 간격이 남더라도(소수점 나머지가 있는 경우) 철근을 배치해야 한다면 소수점 이하를 올림하여 계산합니다. 

 

철근을 배치하는 방법은 기초나 기둥, 벽, 보, 슬래브 등 부재별로 다양하기 때문에 각 부재별로 배근하는 방법을 어느 정도 숙지할 필요가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