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공사 - 독립기초의 터파기량

반응형

독립기초는 비교적 작은 규모의 건축물에 사용된다고 보고 설명하겠습니다. 기초 구조체를 시공하려면 작업자가 작업을 할 수 있는 여유공간이 있어야 하고, 흙이 무서지지 않도록 적절히 경사면(흙의 휴식각)을 만들면서 터파기를 해야 합니다.

독립기초의터파기량산출-02-02.png

독립기초의 터파기량

독립기초를 만들기 위해 흙을 파낸다면 파낸 형상을 다음 그림과 같이 될 것입니다.

독립기초의터파기량산출-01.png

이와 같은 모양의 체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합니다.

 

독립기초터파기량산출식1-21.png

 

식이 조금 복잡하지만 규칙성이 있기 때문에 충분히 기억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계산이 복잡하기 때문에 실무에서는 다음과 같은 약산식을 적용하기도 합니다. 이 식은 대략적인 직육면체로 약산해서 계산하는 것이기 때문에 계산 결과가 약간 다릅니다. 만약 건축기사시험을 준비중이라면 위에 있는 식을 적용해야 합니다.

 

독립기초터파기량산출식2-22.png

 

독립기초의 터파기량을 산출하려면 각 부분의 치수(a, a', b, b')를 알아야 하는데, 이 값은 도면에서 바로 구할 수 있는 값이 아닙니다. 도면에 있는 기초 구조체의 형상을 보고 작업의 여유폭과 흙의 휴식각을 고려해서 산출합니다.

 

작업의 여유폭

작업의 여유폭을 산정하는 절대적인 기준은 없습니다. 관례적으로 다음과 같이 산정해 왔습니다.

작업의여유폭산출-24.png

흙막이가 없는 경우 흙막이가 있는 경우
1.0m 이하 200mm 5.0m 이하 600∼900mm
2.0m 이하 300mm
3.0m 이하 400mm 5.0m 이상 900∼1,200mm
4.0m 이상 500mm

 

흙의 휴식각

흙의 휴식각은 흙입자간의 부착력, 응집력을 무시하고 마찰력만으로서 중력에 대하여 정지하는 흙의 사면각도를 흙의 휴식각이라 합니다.  흙의 휴식각은 토사의 종류에 따라 달라집니다. 따라서 법면의 폭은 경사면이 무너지지 않도록 흙의 휴식각을 고려해서 결정합니다. 

 

흙의 휴식각계산.PNG

법면의 폭은 특별한 지정이 없으면 보통 0.3H값을 적용해서 계산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