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기계 시공능력 산정

반응형

토공사는 투입하는 장비의 성능과 대수에 따라 일정이 달라집니다. 그래서 흙을 파내거나 운반하는 장비가 하루에 어느 정도 흙을 처리할 수 있는지 알아야합니다. 

건설기계 시공능력 산정

건설기계의 시공능력은 다음 식을 적용해서 산출합니다. 식이 복잡해 보이는데 내용을 보면 별 것 아닙니다.

 

 

우선 구하고자 하는 값(Q)는 시간당 작업량입니다. 건설기계는 주로 임대해서 사용하고 보통 일당으로 비용을 지불하기 때문에 각 기계가 시간당 얼마나 처리할 수 있는지 계산하게 됩니다. 즉 시간당 어느 정도의 흙을 파낼 수 있는지 계산한다고 보면 됩니다.

 

시간당 작업량은 시간당 어느 정도의 토량을 처리하는지로 나타내며 주로 m³/hr로 표시합니다. 예를 들어 백호우라고 하면 버킷에 용량이 있기 때문에 한 번에 작업할 수 있는 토량이 정해져 있고, 여기에 시간당 작업을 반복하는 회수 즉 작업사이클 수를 곱해서 산출하는 방식입니다. 만일 작업조건이 열악하다면 작업능력이 떨어질 것이 분명하므로 작업효율을 고려한다.

 

1회 작업 사이클당 표준작업량(q) : 기계는 일련의 동작을 되풀이 하는 작업을 하게 되고 이때의 1회 사이클의 동작으로 이루어지는 표준적인 작업조건과 작업관리 상태에 있어서의 작업량을 1회 작업사이클당 표준작업량이라고 합니다. 파워쇼벨, 백호우, 크렘쉘, 드래그라인은 립퍼 또는 버킷(기계 팔 맨 앞에 달린 바께스?)을 사용하므로 립퍼 또는 버킷의 종류에 따른 계수(k)를 추가로 계산합니다.


시간당 작업사이클 수(n) : 만일 1회 사이클의 동작을 수행하는데 걸린 시간을 cm(Cycle minute)이라고 하면 1시간을 cm으로 나눈 값을 말합니다. 예를 들어 cm을 분(min)으로 측정했다면  n = 60(분)/cm(분)이 되고, cm을 초(sec)로 측정했다면 n = 3,600(초)/cm(초)가 된다.


작업효율(E; Efficiency) : 기계의 시간당 작업량은 작업 조건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비탈진 언덕에서 작업한다면 당연히 작업효율이 떨어질 수 밖에 없겠죠. 따라서 작업효율은 그 기계 고유의 일정한 값이 아니고 작업현장의 제반조건에 따라 변화는 값입니다. 따라서 표준적인 작업 능력에 작업현장의 여러 가지 여건에 알맞은 효율을 고려하여 산정할 필요가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