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교량가설공법의 점검항목 및 중점사항에 대해 알고 계시나요?
교량가설공법 중 FCM, ILM, PSM, MSS 공법에 따라 적용되는 설치기준과 점검기준, 확인사항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오늘 글을 읽으신다면 각 공법에 따른 설치 기준 및 중점사항에 대해 배우실 수 있습니다!
1. 교량가설공법 설치 기준
교량가설공법의 설치기준을 설명드리기 위해 대표적인 교량가설공법의 FCM, ILM, PSM, MSS 공법에 따른 설치기준을 설명드리겠습니다. 교량가설공법별 설치기준을 활용하여 교량가설이 제대로 설치될 수 있도록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FCM 공법(Free Cantilever Method) 설치기준
주두부 시공
- 작업차를 조립하기 위해 교각 위에 설치하는 주두부의 시공은 현장여건, 지반의 특성, 교각높이, 주두부의 크기 및 구조를 고려하여 동바리 형식을 결 정하여야 한다.
- 거푸집 및 동바리는 반복사용에 의한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충분한 강성과 정밀도를 확보하여야 한다.
- 교각을 관통하거나 또는 요철 부위에 H형강 등을 매립하여 동바리 받침으로 사용할 경우, 주두부 시공 완료 후 H형강을 빼내고 콘크리트로 충전시켜야 한다. 교각에 앵커 또는 강봉을 매립한 뒤 브래킷을 설치하여 동바리 받침으로 사용하는 경우 앵커의 매입길이, 직경, 개수에 대한 구조 검토 후에 설치 하여야 한다.
- 콘크리트 타설 시에는 편심하중이 발생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하며, 동바리는 이러한 편심하중 및 주두부 경사에 의해 발생되는 수평하중에 대해 안 전하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 주두부 분할시공에 따른 단계별 솟음의 변화와 최초 설치 시의 표고를 표시하여 정밀하게 시공하여야 한다.
- 주두부 콘크리트에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할 경우 거푸집 및 동바리는 콘크리트의 탄성변형을 구속하지 않도록 시공하여야 한다.
세그먼트 시공
- 세그먼트 시공 시 풍하중에 의한 진동 검토를 수행하고 진동방지시설을 설치하여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한다.
- 작업차는 장기간 사용되므로 풍하중 등의 수평하중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 작업차의 메인프레임은 세그먼트 시공하중을 기타설된 세그먼트에 부착된 앵커 잭등의고정장치에안전하게전달할수있는강도와강성을확보하여야한다.
- 작업차는 수시 점검하고 안전을 확인하여야 하며, 주요 점검항목은 다음과 같다.
– 잭(jack)의 작동부
– 앵커 장치
– 접속부의 볼트
– 거푸집의 행거장치
– 프레임의 변형유무 - 거푸집 및 작업대는 작업차 메인프레임에 연결된 수직의 현수재에 견고하게 부착되어야 한다.
- 작업차용 레일은 세그먼트에 레일 앵커를 이용하여 견고하게 고정시켜야 하며, 교량면의 고저차가 있는 경우에는 레일의 높이를 조정하여 작업차의 수 평을 유지하여야 한다. 또한, 교량면에 편구배가 설정되어 있는 경우 높이 조정에 주의하여야 한다.
- 작업차는 유압펌프 등의 주행 장치에 의해 이동하며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면 즉시 앵커용 강봉으로 작업차를 세그먼트에 고정시켜야 한다.
- 앵커용 강봉의 위치는 포스트텐셔닝을 위한 강선들을 피할 수 있는 위치에 설치하여야하며, 설계된 프리스트레스를 도입하여 긴장시켜 고정하여야 하 며, 모든 시공하중에 대한 반력에 대해 충분한 안전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 작업차의 이동 및 재설치 시에는 다음 사항에 유의하여야 한다.
– 매설 정착부를 정확하게 배치하여야 한다.
– 레일을 정확하게 배치하여야 한다.
– 레일의 정착부를 수시로 점검하여 이동 시 인발이 생기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 모든 거푸집의 해체여부를 확인하여야 한다.
– 작업차를 궤도 위에 내릴 때 또는 궤도에 올릴 때 작업차가 기울지 않도록 좌우의 잭을 균등하게 조작하여야 한다.
– 작업차의 이동시에는 작업차가 기울지 않도록 작업차 좌·우 프레임을 균등 하게 이동하여야 한다.
– 시공구간에 돌출되어 있는 프리스트레싱 강재 및 철근이 손상되지 않도록 주의하여야 한다.
– 작업차는 수평이 되게 설치하여야 하며, 앵커에는 설계계산에 기준한 프리 스트레스를 도입하여야 한다.
– 작업차의 이동 전 새로 타설된 콘크리트의 강도를 비파괴 검사 및 공시체에 의한 방법으로 확인 후 필요 설계 강도의 확보 후 이동한다.
– 작업차의 이동 중 위의사항을 매번 점검하고 기록하여 안전성을 확보하도록 한다. - 작업차가 다음 시공위치로 이동되면 모든 거푸집을 청소하고, 다음 시공될 세그먼트의 수직 및 수평레벨을 측정하여 거푸집을 설치하여야 한다.
- 세그먼트의 수직 및 수평 레벨을 측정하여 처짐 검토 시에는 다음 사항에 유의하여야 한다.
– 세그먼트의 처짐
– 교각 기초의 침하, 교각의 크리프와 건조수축에 의한 영향
– 작업차 각 부재의 변형
– 주거더의 횡방향 변형 - 세그먼트 사이의 시공이음부는 표면처리를 철저히 하여 접착강도가 충분히 발휘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필요에 따라 전단키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 키 세그먼트 접합부 시공 전 단차의 수정 시공방법 등을 포함한 시공계획 및 다음 사항에 대하여 공사감독자에게 계획서를 제출하고 승인을 받은 후 시공하여야 한다.
– 교축방향의 일치 및 수직방향의 상대변위 방지대책
– 교축 직각방향의 상대변위 방지 대책
– 콘크리트 타설시 콘크리트 자중에 의한 회전방지 및 시공완료 후의 처짐 방지 대책
– 키 세그먼트 콘크리트 타설 후 기 완성된 FCM 구간의 건조수축 및 온도변화 응력에 의한 균열 방지 대책
– 키 세그먼트 긴장 시 거동의 변화로 인한 간섭 방지 대책
– 키 세그먼트 접합 종료 후 빔(beam) 해체를 위한 작업구 설치 계획 - 키 세그먼트의 시공은 다음의 순서와 같이 한다.
– 이동식 거푸집차에 의하여 캔틸레버 단부의 상대변위 및 단차를 조정한다.
– 수평버팀대(H형강)를 복부헌치에 설치 고정한다.
– 외측 바닥판과 거푸집을 설치한다.
– 철근 및 쉬스관을 조립하고 내측 거푸집을 설치한다.
–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후 중앙 연결 강선을 설계서 순서대로 긴장한다.
2) 제품의 반입
- 제품의 반입 시에는 제작 제품의 입고계획을 확인하고, 제품의 수량 및 변형, 손상의 유무 등을 확인한다.
- 제품의 취급 시에는 부재를 적절한 받침대 위에 올려놓아 변형, 손상을 방지한다. 부재가 변형, 손상이 생긴 경우는 설치 전에 수정한다.
- 현장 제품반입 시에는 현장 주변의 차량 정차등의 교통문제가 발생되지 않도록 현장 담당자와 사전 반입시기를 결정하고 신속한 하역 작업이 이뤄지게 조치한다.
- 제품의 현장 반입은 제작도면 승인 후 제작기간은 35여일 소요되며, 현장 운반 및 설치 완료는 12~15일 소요되므로 마감공정의 투입 일정 이전에 설치 완료되도록 관리되어야 한다.
참고자료 : 「KCS 24 20 10」FCM공법
ILM 공법(Incremental Launching Method) 설치기준
세그먼트 제작장
- 세그먼트 제작장은 세그먼트 제작을 위해 필요한 적합한 공간을 확보하여야 하며, 압출노즈(launching nose)를 설치할 경우 압출노즈를 조립할 공간 및 세그먼트의 전도에 대한 안정성 등을 고려한 여유공간을 확보하여 야 한다.
- 세그먼트 제작장은 일반적으로 교대의 후방에 설치하며, 특수한 경우 교각과 교각 사이 또는 가설구조물 위에 설치할 수도 있다.
- 세그먼트 제작대의 설치구조는 성토형식, 절토형식 및 동바리 형식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교량의 종단선형 및 평면선형을 고려하여 결정하여야 한다.
- 세그먼트 제작장의 기초는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 중에 부등침하가 발생되지 않도록, 요구되는 지반 반력을 확보할 수 있는 기초공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 세그먼트 제작대 및 강재 조립대 주변에는 콘크리트 타설 및 양생을 위한 지붕설비 및 하역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 동일 장소에서 세그먼트를 반복하여 제작하고 압출하므로 제작장의 위치오차는 주거더가 제작될수록 누적되어 전체 교량의 선형에 영향을 미치므로 슬라이딩 레일(sliding rail) 설치 시 오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 제작장 내의 근로자 이동통로에는 가설통로를 설치하고 양측단부에는 안전 난간을 설치하는 등 추락위험 장소에는 추락방지조치를 하여야 한다.
- 제작장 내의 가설전기시설에 대해 감전재해를 예방하기 위하여 가설전기 용량의 적정성, 분·배전반 등 시설배치의 적정성, 누전차단기 설치 및 접지상 태 등을 점검하여야 한다.
- 압출노즈와 본체 구조물 연결부는 충분한 전단력을 발휘할 수 있는 체결방식이어야 한다.
- 압출노즈 제작 조립 거치 시 압출노즈의 하단과 본체 구조물의 하단이 정확히 동일평면에 있어야 하고, 거더의 추진에 지장이 없도록 하여야 한다.
- 압출노즈의 전도방지를 위한 지주 설치 등 전도방지 조치를 실시하여야 한다.
- 압출노즈 상부 작업 시 추락방지를 위한 안전시설을 설치하여야 한다.
세그먼트 시공
- 거푸집 및 동바리는 압출공정에 지장이 없어야 하므로 반복사용에 의한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충분한 강성과 정밀도를 확보하여야 한다.
- 거푸집의 조립 및 해체는 공기에 지장이 없도록 하여야 하므로 유압으로 작동하는 유압식 또는 간단히 조립 및 해체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 외부거푸집은 콘크리트 타설 시 주거더의 축선이 압출축선과 일치하도록 높이 및 압출방향을 조정할 수 있어야 한다.
- 세그먼트의 압출공정 시 수평반력이 동바리에 전달되는 경우 동바리는 이러한 수평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이어야 한다.
- 거푸집은 평면선형, 종단선형을 고려하여 세그먼트 접합부 위치에서의 처짐 및 단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 거푸집은 매회 교축 직각방향의 좌우 주거더수압면의 고저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정밀한 수준측량 후에 설치하여야 한다.
- 거푸집의 이음부는 콘크리트 타설 시 모르타르가 새어나오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 시공 이음부 및 거푸집 이음부의 선형이 정확히 유지될 수 있도록 그 주변에 는 충분한 동바리를 설치하여야 한다.
- 세그먼트는 기존의 세그먼트에 맞대어 시공되어야 하고 충분한 강도에 도달 했을 때 포스트텐셔닝을 하여야 하며, 압출공정 뒤에는 후속 세그먼트가 제 작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확보하여야 한다.
- 압출 및 거치 시 세그먼트의 휨응력을 줄이기 위하여 구조적으로 적절한 길이의 압출노즈를 선두 세그먼트에 설치할 수 있다.
- 세그먼트의 종방향 압출에는 유압잭이 쓰이며, 슬라이딩 패드 및 적합한 가이드를 교각 또는 가설교각에 설치하여야 한다.
- 경간이 긴 경우에는 중간에 가설교각을 설치하거나 노즈(nose)를 지지하는 임시 케이블을 설치하는 등의 필요성을 검토하여 안전한 시공이 되도록 하여야 한다.
- 거푸집 제작 시 거푸집 단부 측에 안전난간을 일체형으로 제작 설치하여야 한다.
- 바닥판과 단부 측, 지상에서 거푸집 상부 측으로 이동할 수 있는 이동용 승강설비를 설치하여야 한다.
- 내부 거푸집의 윈치 회전부에 덮개를 설치하여 작업자의 부상을 방지하여야 한다.
가설받침 및 슬라이딩 패드
- 압출 시공 중에 사용되는 가설받침의 표면은 매끄럽고 평탄하여야 하며, 압출 완료 후 영구받침으로 교체하여야 한다.
- 가설받침 표면의 스테인리스 강판은 압출공정 시 작용하는 마찰력에 대해 충분한 표면조도와 두께를 유지하여야 한다.
- 슬라이딩 패드는 압출공정 시 주거더 하부면과 가설받침의 스테인리스 강판 사이에 삽입하여야 하며, 슬라이딩 패드의 교체작업은 상·하가 바뀌지 않도 록 하여야 한다.
참고자료 : 「KCS 24 20 05」 ILM공법
PSM 공법(Precast Segmental Method) 설치기준
런칭거더
- 런칭거더(launching girder)와 교각 브래킷은 제작 전에 제작설계도면, 구조 검토서 및 조립·설치계획서를 작성하여 공사감독자의 승인을 받아야 한다.
- 런칭거더와 교각 등과의 고정부는 정하중에 의한 안정성뿐만 아니라 동적하중에 대해서도 충분한 안정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 런칭거더 설치 후 본 작업 이전에 시험운영을 통하여 다음 사항을 점검하여야 한다.
– 각종 유압시스템의 작동확인
– 순 방향 및 역 방향 추진 실시
– 처짐량 확인
– 전ᆞ후방지점 등 부속자재 성능확인 - 겐츄리크레인(gantry crane) 설치 후 본 작업 이전에 안전인증을 받고 시험 운영을 통해 다음사항을 점검하여야 한다.
– 리모컨 조작반에 의한 작동 상태 확인
– 인양 능력 및 인양속도 점검을 위한 세그먼트 시험인양 실시
– 겐츄리크레인 레일 주행 성능 점검
– 스토퍼 및 근접 접근금지 시스템 확인
– 브레이크 시스템 설정
– 미세조정 성능 확인 - 지상 조립장은 평탄성을 유지하여야 하며 부등침하가 발생하지 않도록 다짐 또는 가포장을 실시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 런칭거더 지상조립 시 부재의 전도방지를 위하여 버팀목 또는 로프를 이용하여 고정하여야 한다.
- 런칭거더 위에 설치되는 겐츄리크레인은 세그먼트 등 인양부재의 중량뿐만 아니라 지진, 풍하중 등을 고려하여 선정하여야 한다.
- 런칭거더는 주기적으로 점검을 실시하여 주요부의 접합상태, 손상유무, 성능유지 상태등에 대하여 기록하여야 한다.
세그먼트 제작장
- 세그먼트 제작장 설치 계획을 공사감독자와 충분히 협의하여 확정하고 제작장 설치 계획서를 공사감독자에게 제출하여 사전 승인을 받아야 한다.
- 제작장의 위치는 프리캐스트 거더 운반방법과 운반로를 고려하여 결정되어야 한다.
- 제작장은 지반의 안정성 및 배수를 충분히 고려하여 설치하며 작업 절차에 따른 동선을 고려하여 배치한다.
- 제작장은 설치계획에 따라 배치플랜트, 골재적치장, 철근적치 및 가공장, 증기양생장, 크레인 및 작업 시설, 운반장비 및 거치장비 적치장, 창고 및 시험 실 등 제작장 운용에 필요한 적정한 설비를 갖추어야 한다.
- 제작장의 설치계획은 세그먼트 시공계획, 장비형태 및 장비종류, 투입장비를 충분히 검토하여 효율적인 배치가 되도록 하여야 한다.
- 세그먼트에 소요되는 모든 자재는 바닥이 포장된 견고한 면에 적치 보관하여야 한다. 특히, 프리스트레싱 강재(prestressing steel) 는 지붕이 설치된 창고에 보관하여 부식방지에 유의하여야 한다.
- 프리텐션의 경우 강선의 방향변환(Deviation) 방법에 대한 고려가 되어야 한다.
- 증기 양생 시 노즐 방향은 구조체를 향하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거푸집
- 거푸집은 장기간의 반복사용과 증기양생에 따른 영향을 고려하여 강도 및 내구성이 있는 재료를 선택하여야 한다.
- 거푸집은 개구부, 돌출부에 적용할 수 있고 조정이 가능하여야 하며 거푸집 제거 시 콘크리트의 손상 없이 거푸집을 떼어낼 수 있어야 한다.
- 거푸집 설계는 선행된 세그먼트와의 이음에 있어 조밀하고 방수가 되어야하며, 측대(bulkhead)는 덕트의 위치가 유지되고 그라우트의 침입을 방지하 는 방법으로 덕트의 연결이 가능하여야 한다.
- 세그먼트 제작대는 경사와 선형을 조정하고, 유지할 수 있는 장치이어야 한다.
- 거푸집은 충분한 두께를 가져야 하며, 적당한 외부 브레이싱과 보강재로 지지되어야 하고, 콘크리트 타설과 진동다짐에 의한 힘을 충분히 견딜수 있도 록 하여야 한다.
- 거푸집 내부 브레이싱과 간격의 유지장치는 복부 지지볼트에 의하여 지지되어야 하며, 거푸집 제거 후 표면처리작업이 가능하여야 한다.
- 세그먼트 제작대와 거푸집은 침하나 찌그러짐이 없이 세그먼트를 지지하는데 구조적으로 안정하여야 한다.
- 거푸집의 이음부는 모르타르가 새지 않도록 하여야 한다.
- 거푸집의 품질과 선형은 매 설치 때마다 검사하여야 하며, 콘크리트 타설 중에도 계속 관찰하여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세그먼트 운반, 가설
- 세그먼트 운반은 운반경로의 등판각도, 회전반경, 회전각도, 적재하중 등을 고려하여 트레일러, 트랜스포터 등의 운반기계를 선정하여야 한다.
- 가설도로를 통한 운반 작업 시에는 지반 침하로 인한 세그먼트 전도방지를 위해 체인블럭 등을 이용하여 고정하고 가설도로는 평탄성을 유지하여야 하 며 가설도로의 다짐도는 95% 이상이어야 한다.
- 겐츄리크레인으로 세그먼트를 인양하기 전에 로프 및 훅, 연결도구를 점검하고 스프레더빔(spreader beam) 또는 행잉빔(hanging beam) 등에 견 고하게 연결하여야 한다.
- 겐츄리크레인으로 인양작업 외에 런칭거더에 고정 연결된 지주 등을 수평으로 이동하는 등 회전모멘트를 발생할 수 있는 작업을 하지 않도록 한다.
- 세그먼트 이음부는 전단 및 인장강도가 각 세그먼트 간에 확실히 전달될 수 있도록 접착제로 조인트 접착을 하여야 한다.
- 세그먼트의 연속조립이 가능하도록 세그먼트 이음부의 접착강도는 조기 발현되도록 하여야 한다.
- 세그먼트 이음부는 조인트 전체를 습기로부터 차단하여야 하며, 프리스트레 싱텐던이 부식되지 않도록 그라우팅 작업 시 그라우팅 재료의 누출을 방지 하여야 한다.
참고자료 : 「KCS 24 20 25」 PSM공법
MSS 공법(Movable Scaffolding System) 설치기준
교각 브래킷 및 이동대차
- 교각 브래킷(pier bracket)은 교량 상부의 시공하중 및 콘크리트 타설하중에 대한 구조검토와 교각의 형상 및 주 거더의 개수에 따른 충분한 지지력과 안전 성을 검토하여야 하며, 설치 높이에 대한 정밀한 측량 후에 시공하여야 한다.
- 교각에 개구부 또는 요철을 설치하여 교각 브래킷을 설치하는 경우 압축력 이 작용하는 부위의 압괴에 대한 검토 및 전체 교각의 안전성을 검토한 후에 시공하여야 하며, 공사완료 후에는 개구부 및 요철 부위는 원상복구를 하여 야 한다.
- 교각의 높이가 낮고 지반 조건이 적합한 경우 H형강 또는 트러스 부재의 동 바리를 설치하여 브래킷을 지지할 수 있으며, 이 때 동바리는 충분한 강도와 강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 교각 브래킷은 주 거더의 플랜지 하부에 설치된 레일을 타고 이동하는 전동 식과 주 거더와 무관하게 별도로 해체되어 이동할 수 있다.
- 교각 브래킷에는 주 거더의 종ᆞ횡방향 위치를 조정하고 이송할 수 있는 적 합한 용량의 유압잭을 필요한 개수만큼 설치하여야 한다.
- 브래킷을 크레인 등으로 인양하여 교각에 설치할 때에는 고강도 강봉 등의 인장재로 교각에 견고하게 고정하여야 한다.
- 지주형 교각 브래킷을 설치할 때에는 이동식 비계의 하중을 검토하여 안전하게 지지될 수 있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 지주형 브래킷은 교각의 양쪽에 설치하고 교각을 감싸는 형태로 보강재 또 는 고강도 강봉 등의 인장재로 교각에 견고하게 고정하여야 한다.
- 브래킷의 측면 작업발판과 연결통로는 제작장에서 제작·설치하여야 한다.
- 이동대차(riding wagon)는 인양하여 교각 브래킷 상부의 레일 위에 차륜이 놓이도록 설치하고 이동 대차가 불시에 이동하지 않도록 구름방지쐐기를 설치하는 등 안전조치를 하여야 한다.
- 이동식 비계의 본체 및 유압시스템의 전동기 외함에는 접지를 하여야 한다.
- 이동식 비계의 각 부재를 크레인으로 인양하여 공중에서 연결할 때에는 작업이 종료될 때까지 크레인으로 부재를 확실하게 매달고 있어야 한다.
- 이동식 비계가 선행 구간에 지지될 때 다이아프램이 없는 경우를 고려하여 응력집중이 일어나지 않도록 시스템의 안정성이 확보되어야 한다.
주거더
- 주 거더(main girder)는 교량의 경간, 횡단면의 변화, 선형의 변화 등에 대처할 수 있는 가변성이 큰 시스템이 바람직하며 안전성, 시공성 및 경제성을 고려하여야 한다.
- 주 거더는 교량 상부의 수직하중에 대한 충분한 강도 및 강성을 확보하여야 하며, 시공중에 풍하중 등의 횡방향 하중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하여야 한다.
- 주 거더는 지상에서 전체 또는 일부를 조립하여 크레인 또는 롤러 등으로 교 각 브래킷 위에 가설하거나, 동바리 위에서 조립하여 교각 브래킷 위에 가설 할 수 있다.
- 교축 직각 방향의 가로보는 주 거더와 일체화된 구조이거나, 강봉 등의 수직 현수재로 주 거더에 견고하게 결합되어야 한다.
- 시공자는 주 거더의 변형을 검측하여야 하며 변형이 탄성회복되지 않을 경 우 거푸집의 솟음 관리에 주 거더의 변형량을 포함하여야 한다.
- 시공자는 주 거더의 변형이 시공상에 문제가 있다고 판단될 경우 즉시 공사를 중지하고 그에 대한 대책을 마련하여 보정한 후에 시공을 실시하여야 한다.
- 곡선구간에 설치되는 주 거더는 전진 이동 시 선형에 따라 이동이 가능하도록 각별히 주의하여야 한다.
- 주 거더의 전진 이동 시 불균형 모멘트에 의한 전도가 발생하지 않도록 세심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 주 거더의 전진 이동은 후방 교각 브래킷의 해체, 가로보의 현수재 해체 및 거푸집의 탈형을 확인한 후에 이동한다.
- 주 거더를 설치하기 위하여 전ᆞ후방 교각 사이에 가 벤트(bent)를 설치할 때는 가 벤트에 작용하는 주 거더 하중과 지반 지지력을 검토하여 안전한 구 조로 설치하여야 한다.
- 주 거더 분절을 크레인으로 인양하여 공중에서 연결할 때에는 작업대 (cage)를 설치하여 추락재해 예방조치를 하여야 한다.
- 교대 후방의 지상에서 주 거더 전체길이를 조립하여 이동ᆞ설치할 때에는 노즈 등 모든 부재를 조립하여 이동시킬 수 있도록 이동용 레일의 길이를 충 분하게 설치하여야 한다.
- 주 거더를 조립할 때는 이동용 레일 위에 롤러를 설치한 다음 그 위에서 주 거더를 조립하도록 하고, 이동에 장애가 되지 않는 다른 부재도 함께 설치하 도록 한다.
- 주 거더 조립 중에 롤러가 불시에 이동하지 않도록 각 롤러 앞·뒤에 구름방지 조치를 하여야 한다.
거푸집
- 거푸집은 반복사용에 의한 변형이 발생되지 않도록 충분한 강성과 정밀도를 확보하여야 한다.
- 거푸집은 교량의 평면선형 및 종단선형에 맞추어 적당한 크기로 정밀하게 제작하여야 하며 설치 및 해체 시 주 거더 및 각 부재의 변형 및 손상이 없도 록 하여야 한다.
- 거푸집은 주 거더에 견고히 부착되어 콘크리트 타설 및 이동 시 일체화되어 야 한다.
- 내부 거푸집은 바닥 슬래브의 높이조정, 정착구 설치 등의 처리에 세심한 주의를 하여야 하며, 콘크리트 타설 순서에 따른 거푸집 설치 순서 등이 고려 되어야 한다.
- 외부 거푸집 조립 시에는 지상에서 측면 거푸집의 작업발판 단부에 표준안 전난간을 설치한 후 인양하여 조립하여야 한다.
- 거푸집 이음부는 선형이 일치하여야 하며, 처짐 및 단차가 발생되지 않도록 설치하여야 한다.
- 거푸집에 부착된 먼지와 녹 등의 불순물은 와이어 브러쉬 등으로 깨끗이 청소하고 콘크리트 타설 전에 박리제를 도포하여야 한다.
- 거푸집은 콘크리트 타설에 따른 솟음과 변형을 감안하여 제작되어야 하고, 시공자는 단면 및 솟음의 변화를 확인하여야 한다.
참고자료 : 「KCS 24 20 20」 MSS공법
교량가설공법에 대해 첨부파일로 다운받으실 수 있도록 글 하단에 업로드 하였으니, 글 하단부에서 다운로드하여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 교량가설공법 중점점검 확인사항
교량가설공법 중 FCM, ILM, PSM, MSS 공법에 대해 중점점검 확인사항에 대해 표로 정리하였으니, 세부 내용을 확인하여 점검해보시기 바랍니다.
FCM 공법(Free Cantilever Method) 중점점검 확인사항
항목 | 중점점검 확인사항 |
공통사항 | – 구조검토서 및 시공상세도의 적정성 여부, 설치도면과 설치상태 일치여부 확인 – 사용자재의 손상 및 결함 유무 확인 |
가설장비 설치상태 | – 가설장비의 접속부 볼트체결 및 수평유지상태등 확인 – 레일 및 가설장비 고정용 강봉 설치상태 확인 – 주행장치 및 차륜상태 확인 – 유압 및 동력장치의 이상 유무 확인 |
거푸집 설치상태 | – 거푸집의 행거 및 강봉장치 연결 확인 – 거푸집의 강봉 및 폼타이 체결 확인 |
가설장비 손상여부 및 전도방지 | – 강연선 및 센터 홀잭 손상 유무 확인 – 메인 프레임 해체시 전도 방지 장치 설치 여부 |
안전시설 | – 안전난간 설치 및 승강설비 설치상태 확인 – 추락위험 및 낙하물방지를 위한 안전관리 확인 |
ILM 공법 (Incremental Launching Method) 중점점검 확인사항
항목 | 중점점검 확인사항 |
공통사항 | – 구조검토서 및 시공상세도의 적정성 여부, 설치도면과 설치상태 일치여부 확인 – 사용자재의 손상 및 결함 유무 확인 |
압출노즈 설치상태 | – 압출노즈와 본체 구조물 연결부 체결상태 확인 – 압출노즈의 전도방지를 위한 조치실시 |
세그먼트 설치상태 | – 세그먼트의 손상 및 결함 상태 확인 – 세그먼트 접합부의 처짐 및 단차 발생 유무 확인 |
가설받침 및 슬라이딩 패드 | – 가설받침의 표면상태 확인 – 가설받침 표면 스테인리스 강판의 충분한 표면조도와 두께 유지 – 슬라이딩패드의 손상 및 이상유무 확인 |
안전시설 | – 안전난간 설치 및 승강설비 설치상태 확인-추락재해 방지시설 설치상태 (안전난간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13조, 제42조 참고 – 수직보호망 및 낙하물방지망의 설치상태 확인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14조 참고 |
PSM 공법 (Precast Segmental Method) 중점점검 확인사항
항목 | 중점점검 확인사항 |
공통사항 | – 구조검토서 및 시공상세도의 적정성 여부, 설치도면과 설치상태 일치여부 확인 – 사용자재의 손상 및 결함 유무 확인 |
런칭거더 설치상태 | – 각종 유압시스템 및 추진장치등의 작동확인 – 런칭거더 주요부의 접합상태, 손상유무, 성능유지 상태 등 확인 |
세그먼트 설치상태 | 세그먼트이음부상태확인 (에폭시, 임시강봉 시공상태 등) |
런칭거더 해체 시 각 부 체결상태 | – 해체 전 서포트 고정강봉의 체결상태 확인 – 전방노즈 및 후방노즈 해체시 전도에 대한 사전 검토 진행여부 |
안전시설 | – 추락재해 방지시설 설치상태 (안전난간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13조, 제42조 참고 – 수직보호망 및 낙하물방지망의 설치 상태 확인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14조 참고 |
MSS공법 (Movable Scaffolding System) 중점점검 확인사항
항목 | 중점점검 확인사항 |
공통사항 | – 구조검토서 및 시공상세도의 적정성 여부, 설치도면과 설치상태 일치여부 확인 – 사용자재의 손상 및 결함 유무 확인 |
교각 브라켓 및 이동대차 | – 지주형 브라켓 설치 시 보강재 또는 고강도 강봉 설치상태 확인 – 레일의 손상 및 고정상태 등 확인 – 브라켓 및 이동대차 설치시 수평레벨 적정유무 확인 |
유압 및 각종 장치 | 각종 유압시스템 및 브레이크장치 등의 이상유무 및 작동상태 확인 |
접합부 설치상태 | 볼트 접합 등 연결 및 이음부 접합상태 이상유무 확인 |
안전시설 | – 추락재해 방지시설 설치상태 (안전난간 등)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13조, 제42조 참고 – 수직보호망 및 낙하물방지망의 설치 상태 확인 ※ 산업안전보건기준에 관한 규칙 제14조 참고 |
3. 교량가설공법 체크리스트
교량가설공법에 따른 체크리스트로, 체크리스트의 점검사항과 점검결과를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FCM 공법(Free Cantilever Method) 체크리스트


ILM 공법 (Incremental Launching Method) 체크리스트

PSM 공법 (Precast Segmental Method) 체크리스트

MSS공법 (Movable Scaffolding System) 체크리스트


반응형
'건설업무 > 표준품셈 및 표준시장단가' 카테고리의 다른 글
비계 작업발판 추락 안전수칙,기준,점검표 5분 해결! (0) | 2025.03.14 |
---|---|
수경성 시멘트 종류 - 포틀랜드 시멘트 (0) | 2023.10.05 |
테라조에 대하여 (0) | 2023.10.05 |
2023년 상반기 노임단가 (23년 하반기 적용 시중노임단가) (0) | 2023.09.19 |
건설적산기준 표준시장단가 배수공사 (0) | 2023.09.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