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계 작업발판 추락 안전수칙,기준,점검표 5분 해결!

반응형

비계 작업발판 추락 안전수칙을 위한 사고예방 자율점검표에 대해 알고 계시나요?
비계 작업발판을 설치하여 공사를 진행하며,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점검해야하는 비계 작업발판 추락 안전수칙 자율점검표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오늘 글을 읽으신다면 비계 작업발판 추락 안전수칙을 위한 사전준비, 비계설치, 작업안전, 근로자 주의사항에 대해 배우실 수 있습니다!

오늘 글의 목차 및 순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1. 비계 작업발판 추락 안전수칙 자율 점검표 – 사전준비

 

비계 작업발판의 안전한 설치를 위한 자율점검표 중 사전준비 내용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비계와 작업발판의 사고예방을 위해 사전에 준비해야하는 내용은 무엇이 있을까요? 구조검토를 통한 비계 조립도를 확인하며, 시스템 비계에 대해 검토합니다. 비계와 작업발판을 위한 검토내용으로 아래 2가지 점검항목이 있습니다.
– 강관비계보다는 시스템비계를 사용한다.
– 구조 검토를 거쳐 비계 조립도를 작성하며, 조립·해체 방법 및 순서, 재료‧부재의 강도 등에 유의한다.
* 높이 31m 이상 비계 및 브라켓 비계는 건축구조기술사 등의 구조검토 필수

비계 작업발판 추락 안전수칙 자율 점검표 – 사전준비

구분 자율점검 항목 책임자 관리 감독자 작업자
사전준비 1. 강관비계보다는 시스템비계를 사용한다.      
2. 구조 검토를 거쳐 비계 조립도를 작성하며, 조립·해체 방법 및 순서, 재료‧부재의 강도 등에 유의한다.
* 높이 31m 이상 비계 및 브라켓 비계는 건축구조기술사 등의 구조검토 필수
     

비계 작업발판 추락 안전수칙 자율점검표에 대해 첨부파일로 다운받으실 수 있도록 글 하단에 업로드 하였으니, 글 하단부에서 다운로드하여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을 활용하여 비계와 작업발판 활용을 위한 안전메뉴얼과 자율점검표를 꼭 한번씩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2. 비계 작업발판 추락 안전수칙 자율 점검표 – 비계설치

 

비계와 작업발판을 안전하게 설치하기 위해 점검해야하는 비계설치에 대한 점검항목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안전한 작업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비계 설치에 대해 검토가 안전하게 이뤄져야 합니다. 이를 위해 비계 설치기준을 활용하여 비계가 제대로 설치될 수 있는지 점검해야 합니다. 비계는 작업자의 안전과 바로 직결되는 안전시설이므로 꼭 아래 항목에 대해 확인바랍니다.


– 조립·해체 작업구역에는 해당 작업 종사자가 아닌 자의 출입을 금지하고 그 내용을 보기 쉬운 장소에 게시한다.
– 비계 조립도에 따라 비계를 설치한다.
– 기둥에는 밑받침철물을 사용하거나 깔판·깔목 등을 사용하여 비계기둥이 지반에 견고히 지지되도록 한다.
– 기둥은 띠장 방향 1.85m, 장선 방향 1.5m 이하의 간격으로 하며, 띠장의 간격은 2m 이하로 한다. – 단부‧개구부 근처에서 자재인양, 비계 설치 등 작업이 필요한 경우 안전대 부착설비를 설치한다.
– 앵커 등을 활용하여 벽이음*을 견고하게 한다.
* (강관비계) 수직방향 6m, 수평방향 5m 이하,
(강관틀비계) 수직방향 6m, 수평방향 8m 이하,
(시스템비계) 제조사가 정한 기준
– 작업발판은 뒤집히거나 떨어지지 않도록 둘 이상의 지지물에 고정한다.
– 비계의 외측, 내측에 안전난간을 2단으로 설치한다.
– 비계와 건물 외벽사이의 틈으로 낙하물이 떨어질 우려가 있는 경우 낙하물방지망(쪽망)을 설치한다.

 

비계 작업발판 추락 안전수칙 자율 점검표 – 비계설치

구분 자율점검 항목 책임자 관리 감독자 작업자
비계설치 1. 조립·해체 작업구역에는 해당 작업 종사자가 아닌 자의 출입을 금지하고 그 내용을 보기 쉬운 장소에 게시한다.      
2. 비계 조립도에 따라 비계를 설치한다.      
2-1. 기둥에는 밑받침철물을 사용하거나 깔판·깔목 등을 사용하여 비계기둥이 지반에 견고히 지지되도록 한다.      
2-2. 기둥은 띠장 방향 1.85m, 장선 방향 1.5m 이하의 간격으로 하며, 띠장의 간격은 2m 이하로 한다.      
2-3. 단부‧개구부 근처에서 자재인양, 비계 설치 등 작업이 필요한 경우 안전대 부착설비를 설치한다.앵커 등을 활용하여 벽이음*을 견고하게 한다.
* (강관비계) 수직방향 6m, 수평방향 5m 이하,
(강관틀비계) 수직방향 6m, 수평방향 8m 이하,
(시스템비계) 제조사가 정한 기준
     
3. 작업발판은 뒤집히거나 떨어지지 않도록 둘 이상의 지지물에 고정한다.      
4. 비계의 외측, 내측에 안전난간을 2단으로 설치한다.      
5. 비계와 건물 외벽사이의 틈으로 낙하물이 떨어질 우려가 있는 경우 낙하물방지망(쪽망)을 설치한다.      


3. 비계 작업발판 추락 안전수칙 자율 점검표 – 작업안전

 

비계 및 작업발판의 공사의 사고예방을 위한 자율점검표 내용 중 작업안전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작업자가 안전한 환경에서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점검하는 항목으로, 안전한 작업환경이 구성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입니다. 작업안전에 관련된 점검 항목을 확인하도록 합시다.
– 작업자는 안전대, 안전모, 안전화를 착용한다.
– 비계 위 수직면 상의 위·아래 동시 작업을 금지한다.
– 최대 적재하중을 넘는 벽돌 등을 적재하지 않는다.
– 비계 내 정해진 통로로만 이동하며, 비계의 난간을 임의로 해체하거나 난간을 넘어서 이동하지 않는다.
– 외벽 거푸집 해체, 석공사 등으로 비계 난간을 임시로 해체하는 작업자는 안전대를 체결한다.

비계 작업발판 추락 안전수칙 자율 점검표 – 작업안전

구분 자율점검 항목 책임자 관리 감독자 작업자
작업안전 1. 작업자는 안전대, 안전모, 안전화를 착용한다.      
2. 비계 위 수직면 상의 위·아래 동시 작업을 금지한다.      
3. 최대 적재하중을 넘는 벽돌 등을 적재하지 않는다.      
4. 비계 내 정해진 통로로만 이동하며, 비계의 난간을 임의로 해체하거나 난간을 넘어서 이동하지 않는다.      
5. 외벽 거푸집 해체, 석공사 등으로 비계 난간을 임시로 해체하는 작업자는 안전대를 체결한다.      


4. 비계 작업발판 추락 안전수칙 – 근로자 주의사항

 

비계 작업발판과 관련된 근로자의 주의사항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 비계에서 작업 및 이동은 작업발판 위에서 해야 합니다.
– 비계에 설치된 안전난간을 넘어가거나 임의로 해체하지 않습니다.
– 안전난간을 임시 해체할 경우에는 반드시 안전대‧안전모를 착용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