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즘 창문만 열면 작은 벌레들이 우르르 몰려든다구요?”
기온이 오르면서 서울 곳곳에 낯선 곤충들이 출몰하고 있습니다.
일명 ‘팅커벨’이라 불리는 동양하루살이,
그리고 이름만큼 귀엽지만 시민들의 민원을 몰고 다니는 ‘러브버그’,
정식 명칭은 붉은등우단털파리입니다.
서울시는 이 곤충들이 자연 생태계에 도움을 주는 익충이라며
무분별한 살충제 사용을 자제해달라고 당부하고 있지만,
시민들은 이들을 실생활에 불편을 주는 해충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 곤충? 해충? 시민의 반응은 엇갈려…
서울시와 서울연구원이 만 20세 이상 시민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설문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86%**가 “러브버그는 이로운 곤충일 수 있지만, 대량으로 발생해 피해를 주면 해충처럼 느껴진다”고 답했습니다.
반면, “피해가 있더라도 이로운 곤충이라는 인식에 변함 없다”는 시민은 **14%**에 불과했습니다.
📈 민원 폭증, 특히 ‘은평구’ 집중
민원 접수 현황을 보면 서울 서북권 지역을 중심으로 곤충 발생이 두드러집니다.
연도은평구서대문구마포구종로구
2022년 | 3,501건 | 725건 | 152건 | 55건 |
2023년 | 3,340건 | 1,165건 | 301건 | 402건 |
특히 은평구 백련산 일대는 러브버그의 대표적인 발생지로 꼽히며, 대책 마련이 시급한 상황입니다.
💡 서울시의 대응은?
서울시는 친환경적이고 과학적인 방제 대책을 적극 도입하고 있습니다.
🟦 동양하루살이(팅커벨) 대응
- 성동구 뚝도시장: 청색광 제거 조명등 설치
- 한강 영동대교 수면: 부유식 트랩(바지선) 운영
- 국립생물자원관 실험 결과: 청색광 제거 시 하루살이 유인 약 80% 감소
🔴 붉은등우단털파리(러브버그) 대응
- 은평구 백련산 일대: 광원·유인제 포집기 시범 설치
- 자치구 보건소 연계: 실시간 민원 모니터링
- 시민 대상 교육 영상 콘텐츠 제작 및 배포
서울시는 시민의 불편을 최소화하면서도 곤충 생태를 해치지 않는 방식으로
지속가능한 관리 방안을 마련 중입니다.
🐝 이 곤충들은 왜 생기나요?
‘팅커벨’과 ‘러브버그’는 여름철 기온 상승과 강우량 증가에 따라 출몰이 늘어나는 곤충입니다.
- 하루살이류는 물가 주변에서 번식, 인공 조명에 잘 유인됩니다.
- 러브버그는 식물 부식물에서 번식, 대량 번식 후 수명이 짧아 곳곳에 사체가 떨어지기도 하죠.
그 자체로는 사람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생물이며, 오히려 환경 청정도를 나타내는 지표로 쓰이기도 합니다.
📢 시민이 할 수 있는 자율 대응 팁
- 집 주변 조명 조절
- – 청색광이 강한 조명 대신 따뜻한 색온도의 전구 사용
- 모기장·방충망 점검
- – 틈새를 막아 실내 유입 방지
- 물웅덩이 제거
- – 곤충 번식지 제거로 개체수 조절
- 살충제 대신 친환경 트랩 활용
- – LED 유인등 + 끈끈이 트랩 사용
🧾 마무리
자연은 도시 안에서도 살아 숨쉬고 있습니다.
불편은 있지만, 곤충들도 생태계에서 제 역할을 하고 있는 존재죠.
서울시의 대응처럼 무조건 제거보다는 지속가능한 공존 방법을 고민해보는 건 어떨까요?
익충과 해충의 경계, 어쩌면 우리 인식 속에 있는지도 모릅니다.
'백과사전 > 이슈 사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국, 이란 핵시설 정밀폭격… 중동 위기, 전면전 가나? (0) | 2025.06.22 |
---|---|
미국-이란 충돌, 호르무즈 해협 봉쇄 우려… 한국 산업계는 어떻게 영향을 받을까? (0) | 2025.06.22 |
“중동에서 벌어진 일이 왜 우리나라까지 영향을 줄까?” (0) | 2025.06.22 |
대법원의 이재명 파기환송, ‘대선 개입’인가? 사법부 판단인가? (0) | 2025.05.01 |
대법원, 이재명 공직선거법 위반 유죄 취지로 파기환송…대선 가도에 중대한 변수 (0) | 2025.05.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