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동식 비계 안전수칙 기준 사고에 대해 알고 계시나요?
이동식 비계 설치를 위해 필수로 점검해야하는 이동식 비계 안전수칙 기준 사고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오늘 글을 읽으신다면 이동식 비계 안전사고 방지를 위한 점검 항목에 대해 배우실 수 있습니다.
오늘 글의 목차 및 순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1. 이동식 비계 안전수칙 기준 – 사전확인
이동식비계의 안전한 작업을 위해 사전에 미리 확인해야하는 내용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이동식 비계는 작업자의 안전과 직결되는 시설로, 안전한 작업환경을 위해 사전 점검항목은 무엇이 있을까요? 이동식 비계의 안전인증 여부, 주변 환경, 작업 높이 등을 미리 점검해주도록 합니다.
1. 사용하는 이동식비계의 안전인증 여부를 확인한다.
2. 이동식 비계는 평탄한 바닥에서만 사용한다.
3. 작업할 높이에 적합한 규격의 이동식비계를 사용한다.
이동식 비계 안전수칙 기준 – 사전확인
구분 | 자율점검 항목 | 책임자 | 관리 감독자 | 작업자 |
사전확인 | 1. 사용하는 이동식비계의 안전인증 여부를 확인한다. | |||
2. 이동식 비계는 평탄한 바닥에서만 사용한다. | ||||
3. 작업할 높이에 적합한 규격의 이동식비계를 사용한다. |
이동식 비계 설치를 위한 안전작업 매뉴얼에 대해 첨부파일로 다운받으실 수 있도록 글 하단에 업로드 하였으니, 글 하단부에서 다운로드하여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2. 이동식 비계 안전수칙 기준 – 구조안전
이동식 비계를 안전하게 작업하기 위한 구조안전 관련된 안전수칙을 설명드리겠습니다. 이동식 비계를 활용한 안전한 작업을 위해 구조안전에 대한 확인이 필요합니다. 이동식 비계의 높이, 무게, 설치현황 등 구조검토를 통해 안전한 작업환경이 조성되어야 합니다.
1. 높이는 밑면(가로‧세로) 중 짧은 길이의 4배 이하로 한다.
2. 2단 이상의 이동식비계 설치 시에는 교차가새를 설치하며,최대 적재하중은 250kg 이하로 한다.
3. 작업발판은 폭 40cm 이상, 재료 간 틈은 3cm 이하로 하며, 목재나 철재 등 견고한 재료를 사용한다.
4. 상부 안전난간의 높이는 90cm 이상으로 하며, 상부 안전난간과 바닥면 중앙에 중간 안전난간을 설치한다.
5. 모든 다리에 바퀴 구름방지장치와전도방지장치(아웃트리거)를 설치한다.
6. 작업대의 최대 적재하중을 표지판에 명시한다.
7. 승강용 사다리를 견고하게 설치하고, 사다리 사용 시 전도위험이 없는지 확인한다.
이동식 비계 안전수칙 기준 – 구조안전
구분 | 자율점검 항목 | 책임자 | 관리 감독자 | 작업자 |
구조안전 | 1. 높이는 밑면(가로‧세로) 중 짧은 길이의 4배 이하로 한다. | |||
2. 2단 이상의 이동식비계 설치 시에는 교차가새를 설치하며,최대 적재하중은 250kg 이하로 한다. | ||||
3. 작업발판은 폭 40cm 이상, 재료 간 틈은 3cm 이하로 하며, 목재나 철재 등 견고한 재료를 사용한다. | ||||
4. 상부 안전난간의 높이는 90cm 이상으로 하며, 상부 안전난간과 바닥면 중앙에 중간 안전난간을 설치한다. | ||||
5. 모든 다리에 바퀴 구름방지장치와전도방지장치(아웃트리거)를 설치한다. | ||||
6. 작업대의 최대 적재하중을 표지판에 명시한다. | ||||
7. 승강용 사다리를 견고하게 설치하고, 사다리 사용 시 전도위험이 없는지 확인한다. |
3. 이동식 비계 안전수칙 기준 – 작업안전
이동식 비계 안전수칙 기준 중 작업안전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이동식 비계 이용 시, 안전하게 작업이 수행될 수 있도록 미리 점검하는 항목입니다. 이동식 비계 작업안전에 관련된 점검 항목 4가지를 확인해보록 합시다.
1. 구름방지장치와 전도방지장치를 사용하고, 비계의 일부를 견고한 시설물‧구조물에 연결하여,이동식비계를 평평한 바닥에 고정한다.
2. 작업자는 안전대를 체결하고, 안전모, 안전화를 착용한다.
3. 재료 등은 달줄을 이용하여 작업대로 올리며, 한번에 최대 적재하중의 1/10을 넘기지 않는다.
4. 작업대의 최대 적재하중을 초과하지 않는다.
이동식 비계 안전수칙 기준 – 작업안전
구분 | 자율점검 항목 | 책임자 | 관리 감독자 | 작업자 |
작업안전 | 1. 구름방지장치와 전도방지장치를 사용하고, 비계의 일부를 견고한 시설물‧구조물에 연결하여,이동식비계를 평평한 바닥에 고정한다. | |||
2. 작업자는 안전대를 체결하고, 안전모, 안전화를 착용한다. | ||||
3. 재료 등은 달줄을 이용하여 작업대로 올리며, 한번에 최대 적재하중의 1/10을 넘기지 않는다. | ||||
4. 작업대의 최대 적재하중을 초과하지 않는다. |
4. 이동식 비계 안전수칙 기준 – 금지사항
이동식 비계 안전수칙 기준에 명시되어 있는 금지사항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이동식비계 안전 작업을 위해 금지되어야 하는 내용으로, 아래 내용이 현장에서 발생하고 있는지 확인해보록 합시다.
1.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비계를 이동하지 않는다.
2. 최상부 작업대에서 사다리를 사용하거나 안전난간에 작업발판을 걸쳐서 사용하지 않는다.
이동식 비계 안전수칙 기준 – 금지사항
구분 | 자율점검 항목 | 책임자 | 관리 감독자 | 작업자 |
금지사항 | 1. 작업자가 탑승한 상태에서 비계를 이동하지 않는다. | |||
2. 최상부 작업대에서 사다리를 사용하거나 안전난간에 작업발판을 걸쳐서 사용하지 않는다. |
5. 이동식 비계 안전수칙 기준 – 근로자 주의사항
이동식 비계 안전 작업을 위해 근로자가 주의해야하는 사항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1. 작업을 할 때는 안전대와 안전모를 착용하며, 안전난간이 없는 이동식비계에서의 작업은 거부합니다.
2. 이동식 비계의 안전난간을 넘어가거나, 해체하지 않습니다.
3. 이동식 비계를 이동할 때에는 작업대에서 지상으로 내려옵니다.
'지침 및 시방서 > 건설기준 용어 정의' 카테고리의 다른 글
바닥면적, 연면적 개념 정리 (0) | 2024.12.17 |
---|---|
건축법에서 규정하는 '가설건축물' 이란? (0) | 2024.12.17 |
목재 각재/합판 단중 및 종류 (0) | 2024.04.14 |
건축용 유리의 종류와 성질 (0) | 2024.04.14 |
열 전도율, 열관류율, 열저항에 대해 (0) | 2024.04.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