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부 개구부 추락 안전조치를 위한 사고예방 자율점검표에 대해 알고 계시나요?
단부 개구부 공사를 진행하며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점검해봐야하는 단부 개구부 추락 안전조치 자율점검표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오늘 글을 읽으신다면 단부 개구부 추락 안전조치를 위해 작업 전, 중, 후 및 안전시설에 대해 확인해야하는 사고예방 자율점검표에 대해 배우실 수 있습니다!
오늘 글의 목차 및 순서는 아래와 같습니다.

1. 단부 개구부 추락 안전조치 자율 점검표 – 사전확인
단부 개구부 추락 사고예방을 위한 자율점검표 중 사전확인 내용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단부와 개구부 공사를 수행하기 위해 가장 먼저 해야할게 무엇일까요? 안전한 작업을 위해 작업 현장을 확인하는 것이 먼저 수행되어야 합니다. 안전시설 설치 여부와 안전대, 안전난간 등을 확인하여 사전에 단부와 개구부 공사를 위한 안전조치 내용을 점검합니다.이를 위해 아래 2가지 내용에 대해 점검항목이 있습니다.
– 매일 작업종료 후 현장의 단부‧개구부 위치를 확인하고 안전시설 설치 여부를 확인하고 보완한다.
– 다음날 단부‧개구부의 안전난간‧덮개를 임시로 해체하여야 하는 작업이 있는지 확인하고, 안전대 착용 등 다른 조치를 실시한다.
단부 개구부 추락 안전조치 자율 점검표 – 사전확인
구분 | 자율점검 항목 | 책임자 | 관리 감독자 | 작업자 |
사전확인 | 1. 매일 작업종료 후 현장의 단부‧개구부 위치를 확인하고 안전시설 설치 여부를 확인하고 보완한다. | |||
2. 다음날 단부‧개구부의 안전난간‧덮개를 임시로 해체하여야 하는 작업이 있는지 확인하고, 안전대 착용 등 다른 조치를 실시한다. |

단부 개구부 추락 안전조치 자율점검표에 대해 첨부파일로 다운받으실 수 있도록 글 하단에 업로드 하였으니, 글 하단부에서 다운로드하여 활용하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을 활용하여 단부와 개구부 공사 안전메뉴얼과 자율점검표를 꼭 한번씩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2. 단부 개구부 추락 안전조치 자율 점검표 – 안전시설
단부와 개구부 공사를 안전하게 진행하기 위해 사고예방을 담당하는 안전시설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작업자의 안전한 작업을 위한 안전시설 중 안전난간 및 추락방호망, 안전대 등에 대한 점검항목입니다. 단부 및 개구부 공사를 위한 안전시설은 작업자의 안전사고와 직접적으로 연관되는 내용으로, 꼭 점검이 필요한 내용입니다. 아래 점검항목을 확인하여, 안전한 작업 현장을 만들도록 합시다.
– 슬라브 끝, 계단 등 단부에는안전난간 또는 추락방호망을 설치한다.
– 상부 안전난간의 높이는 90cm 이상으로 하며, 상부 안전난간과 바닥면 중앙에 중간 안전난간을 설치한다.
– 자재인양구 등 개구부에는 덮개를 설치하거나, 추락방호망 또는 안전난간을 설치한다.
– 개구부 덮개의 재료는 철판 등 견고한 것으로 하고, 각 면의 길이가 개구부 크기보다 10cm 이상 길어야 하며, 고정볼트 등을 통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 단부‧개구부 근처에서 자재인양, 비계 설치 등 작업이 필요한 경우 안전대 부착설비를 설치한다.
– 단부‧개구부 주위에는 ‘추락 주의’, ‘임의제거 금지’ 등 안전표지를 설치한다.
– 야간에 작업이나 순찰을 하는 현장의 경우에는 단부‧개구부 주위에 적절한 조명을 설치한다.
– 안전시설 보완 필요 단부‧개구부 장소(필요 시 작성)
단부 개구부 추락 안전조치 자율 점검표 – 안전시설
구분 | 자율점검 항목 | 책임자 | 관리 감독자 | 작업자 |
안전시설 | 1. 슬라브 끝, 계단 등 단부에는안전난간 또는 추락방호망을 설치한다. | |||
1-1. 상부 안전난간의 높이는 90cm 이상으로 하며, 상부 안전난간과 바닥면 중앙에 중간 안전난간을 설치한다. | ||||
2. 자재인양구 등 개구부에는 덮개를 설치하거나, 추락방호망 또는 안전난간을 설치한다. | ||||
2-1. 개구부 덮개의 재료는 철판 등 견고한 것으로 하고, 각 면의 길이가 개구부 크기보다 10cm 이상 길어야 하며, 고정볼트 등을 통해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한다. | ||||
3. 단부‧개구부 근처에서 자재인양, 비계 설치 등 작업이 필요한 경우 안전대 부착설비를 설치한다. | ||||
4. 단부‧개구부 주위에는 ‘추락 주의’, ‘임의제거 금지’ 등 안전표지를 설치한다. | ||||
5. 야간에 작업이나 순찰을 하는 현장의 경우에는 단부‧개구부 주위에 적절한 조명을 설치한다. | ||||
※ 안전시설 보완 필요 단부‧개구부 장소(필요 시 작성) |

3. 단부 개구부 추락 안전조치 자율 점검표 – 작업안전
단부 및 개구부 공사의 사고예방을 위한 자율점검표 내용 중 작업안전에 대해 설명드리겠습니다. 작업자가 안전하게 작업을 진행하기 위해 점검을 하는 항목으로, 안전한 작업환경이 구성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입니다. 안전한 환경에서 작업이 될 수 있도록 아래 점검 항목을 확인하도록 합시다.
– 모든 작업자는 안전모·안전화·안전대를 착용한다.
– 다른 장소를 이동하기 위해 개구부 또는 단부를 넘어가지 않는다.
– 자재인양, 비계 설치 등의 사유로 안전난간‧덮개를 임시로 해체하는 경우에는 관리감독자의 지휘 아래 안전대를 착용하고, 작업종료 직후 재설치한다.
단부 개구부 추락 안전조치 자율 점검표 – 작업안전
구분 | 자율점검 항목 | 책임자 | 관리 감독자 | 작업자 |
작업안전 | 1. 모든 작업자는 안전모·안전화·안전대를 착용한다. | |||
2. 다른 장소를 이동하기 위해 개구부 또는 단부를 넘어가지 않는다. | ||||
3. 자재인양, 비계 설치 등의 사유로 안전난간‧덮개를 임시로 해체하는 경우에는 관리감독자의 지휘 아래 안전대를 착용하고, 작업종료 직후 재설치한다. |

4. 단부 개구부 추락 안전조치 자율점검표 – 작업자 주의사항
단부 개구부 공사의 안전한 작업을 위해 자율점검표 중 작업자가 주의해야하는 사항에 대해 말씀드리겠습니다. 당연한 내용으로 넘어가지 마시고, 작업자가 다시 한번 상기할 수 있도록 이야기 바랍니다.
– 매일 작업장소와 이동경로의 단부‧개구부의 위치와 안전시설을 확인합니다.
– 정해진 통로로만 이동하고 안전난간·개구부에 접근하지 않습니다.
– 안전난간‧개구부 인근에서 작업을 할 때는 반드시 안전대를 착용합니다.

'지침 및 시방서 > 설계기준 및 표준시방서' 카테고리의 다른 글
현장 조립 복합가설물 필수 확인사항 3가지 (0) | 2025.03.14 |
---|---|
지붕공사 안전수칙 추락방지 점검표 3분 파악 (0) | 2025.03.14 |
사다리 추락 방지 예방 점검표 핵심 3가지, 기준, 수칙 (0) | 2025.03.14 |
거푸집 동바리 안전작업 매뉴얼 5분 파악 (0) | 2025.03.14 |
시설물안전법 제3종시설물 완벽정리(정의,근거,지정 후 해야할 일 등) (0) | 2025.03.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