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알리 공구 실시간 판매 순위보통 시멘트벽돌 쌓기 산출식이 보편적인 벽돌 수량을 산출하는 기본적인 방식입니다.0.5B쌓기 /1.0B쌓기 /1.5B쌓기 /2.0B쌓기 /2.5B쌓기 /3.0B쌓기 방식이 있습니다.보셨듯 B라는 단위가 붙습니다. B는 벽돌쌓기의 단위로 표기를 하고 앞 숫자 0.5부터 3.0까지 벽돌의 겹침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다시말하면 0.5B는 벽돌 한 장으로 쌓아가는 방식이고 1.0B는 벽돌 두 장으로 나란히 쌓아 가는 방식입니다. 그렇다면 1.5B는 생각하시는 데로 벽돌 세 장을 나란히 쌓는 다고 보시면 됩니다. 이렇 듯 벽돌 한 장을 0.5기준으로 3.0은 여섯 장을 나란히 쌓아 올리는 방식입니다. 그렇다면 왜? 벽돌 한 장이 0.5입니까? 라는 질문이 발생합니다.벽돌의 쌓기는시멘트..
냉동능력(R/T, Kcal/h) 냉동장치는 그 능력을 표시할 때 냉동톤(Refrigeration Ton)이란 단위를 쓰고 있으며, 1냉동톤이란 단위시간에 피냉각물로 부터 3,320Kcal의 열량을 빼앗을 수 있는 크기의 냉동기를 말한다.(1 R/T = 3,320 Kcal/h) 열이란 눈으로 볼 수 없으므로 계량화를 위하여 물의 상태변화에 비교하여 그 크기를 결정하였다.(1한국냉동톤이란 0°C물 1ton을 24시간 동안에 0°C얼음으로 변화시킬 만큼의 열량) *1 R/T = 1000 kg x 79.68 kcal/kg 24h = 79680 kcal/24h = 3320 kcal/h ※ 한국냉동톤과 US R/T의 차이점은 단위 환산과정에서 1 kg = 2.2 lb 로서 그 천배인 1 ton = 2,240 lb(..
공기의 성질에 대한 표입니다. 계산으로 하셔도 되고 간단하 필요할 때 쓰실 수 있습니다. 참고로 하세요. 온도 T(℃) 밀도r(㎏/㎥) 비열 CP(Kcal/㎏․℃) 점성계수 μ(㎏/m․sec) 동점성계수 ν(㎡/sec) -100 1.984 0.241 1.21×10-6 0.0598×10-4 -50 1.533 0.240 1.49×10-6 0.0953×10-4 -20 1.348 0.240 1.65×10-6 0.120×10-4 0 1.251 0.240 1.76×10-6 0.138×10-4 20 1.166 0.240 1.86×10-6 0.156×10-4 40 1.091 0.241 1.95×10-6 0.175×10-4 60 1.026 0.241 2.05×10-6 0.196×10-4 80 0.968 0.241 2.1..
독립기초는 비교적 작은 규모의 건축물에 사용된다고 보고 설명하겠습니다. 기초 구조체를 시공하려면 작업자가 작업을 할 수 있는 여유공간이 있어야 하고, 흙이 무서지지 않도록 적절히 경사면(흙의 휴식각)을 만들면서 터파기를 해야 합니다. 독립기초의 터파기량 독립기초를 만들기 위해 흙을 파낸다면 파낸 형상을 다음 그림과 같이 될 것입니다. 이와 같은 모양의 체적은 다음과 같이 계산합니다. 식이 조금 복잡하지만 규칙성이 있기 때문에 충분히 기억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계산이 복잡하기 때문에 실무에서는 다음과 같은 약산식을 적용하기도 합니다. 이 식은 대략적인 직육면체로 약산해서 계산하는 것이기 때문에 계산 결과가 약간 다릅니다. 만약 건축기사시험을 준비중이라면 위에 있는 식을 적용해야 합니다. 독립기초의 터파기..
블록은 두께에 따라 100, 150, 190 세종류로 구분됩니다. 각각 4”, 6”, 8”(인치) 블록이라고 합니다. 블록을 쌓는 방법은 단순조적블록과 보강 블록, 거푸집 블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 단순조적블록공사 건축공사 표준시방서에서 규정하고 있는 단순조적블록공사의 내용 중 중요한 것만 요약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1) 단순조적 블록쌓기의 세로줄눈은 막힌 줄눈을 원칙으로 합니다. (2) 살두께가 큰 편을 위로 하여 쌓아야 합니다. 위 사진처럼 구멍이 있는 모양으로 거푸집을 만들면 콘크리트가 경화한 후 거푸집을 빼내기가 수월하지 않습니다. 그래서 거푸집이 잘 빠지도록 약간 기울어진 상태로 만들기 때문에 위쪽과 아래쪽에 살두께가 달라지는데, 살두께가 두꺼운쪽을 위쪽에 놓고 모르타르를 깐 후 접합하는 ..
콘크리트와 관련 해서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는 자주 언급됩니다. 그런데 이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를 자갈 중에 가장 큰 것의 치수로 오해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조금만 생각해보면 자갈 더미에서 가장 굵은 것을 찾아서 치수를 표시한다는 것은 말이 안 된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그 많은 자갈을 어떻게 다 체로 쳐서 가장 큰 것을 골라내겠습니까?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maximum size of coarse aggregate)는 체가름 실험을 해서 찾는 것은 맞습니다. 그런데 체가름 실험을 했을 때 질량으로 90% 이상이 통과한 체 중 최소의 체 치수를 굵은 골재의 최대 치수로 사용합니다. 체가름 시험을 해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체의 호칭 치수 누가 잔류..
골재의 흡수율은 골재의 강도와 밀접한 관계가 있습니다. 골재는 강도를 직접 측정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밀도와 흡수율을 이용해서 간접적으로 이용하는데, 여기서는 흡수율을 어떻게 측정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골재의 절건상태와 표건상태 골재는 내부에 공극이 있기 때문에 일반적인 환경에서 보관하면 어느 정도의 수분을 항상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렇지만 어느 정도나 수분을 포함하고 있는지는 대기 중의 습도나 환경에 따라 달라지기 때문에 어떻게 보관하는지에 따라 달라지게 됩니다. 이처럼 일반적인 대기환경에서 골재를 보관하는 상태는 기건상태는 표준적인 상태라고 할 수 없고 내부에 포함된 수분도 항상 달라지게 됩니다. 골재의 함수 상태 만일 골재 내부의 빈틈에 포함되어 있는 물을 잘 말려서 완전히 제거한다면 절건상태로 만들..
강구조도면에 표기되는 약어를 정리해 보았습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약어 원문 의미 AB Anchor Bolt 앵커볼트 AB Angle Bending 앵글밴딩 ASSEMBLY DWG ASSEMBLY DRAWING 조립 도면 AW Automatic Welding 자동용접 약어 원문 의미 BC Back Chipping 후변 따내기 BM Bill of Material 부재 리스트 BOS Bottom Of Steel 강재의 하부면 BOT Bottom 아래면 BS Both Side 양면(표면과 이면) 약어 원문 의미 C Champer 모따기 CC Center to Center 중심에서 중심까지 COL Column 기둥 CHIPPING Chipping 홈파기 CTR'D Centered 중심 약어 원문 의미 D D..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