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강구조(철골) - 형강 제원표](http://i1.daumcdn.net/thumb/C120x120/?fname=https://blog.kakaocdn.net/dn/WFOvM/btsv5pCuZQE/Ca3J6DLtuyRkTHcPPX2Be0/img.png)
강구조(철골) - 형강 제원표
형강의 종류별 단위길이당 중량과 도장면적을 정리한 표들입니다. H형강(중형) H형강(경량) I형강 등변ㄱ형강 부등변ㄱ형강 ㄷ형강 T형강 c형강
- 건설업무/건설공사 착공시 업무
- · 2023. 9. 29.
반응형
조적공사나 미장공사에서 필요한 모르타르량을 산출한 다음 시멘트량과 모래량을 산출해야 할 때가 있습니다. 혹은 표준품셈에는 모르타르의 배합방법에 따라 필요한 시멘트량과 모래량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 값이 어떻게 산출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모르타르 배합(용적)비에 따른 부자재량 모르타르의 배합비는 바탕면, 바름위치, 바름횟수 등에 따라 달라집니다. 모르타르 1m³을 기준으로 했을 때 배합비에 따른 시멘트와 모래량은 다음과 같습니다. 배합(용적)비 시멘트(kg) 모래(m³) 사용처 1:1 1,093 0.78 치장줄눈, 방수 및 중요 부위 1:2 680 0.98 미장용 마감 바르기 1:3 510 1.10 미장용 마감 바르기, 쌓기 줄눈 1:4 385 1.10 미장용 초벌 바르기 1:5 320 1.15 중요하지 ..
알리 공구 실시간 판매 순위표준형블록은 길이와 높이가 390 × 190이며 폭은 100, 150, 190 세 종류가 있습니다. 블록쌓기[매]블록쌓기는 블록 규격에 따라 두께별(4”, 6”, 8”), 쌓기종류별(바름벽, 일면치장, 양면치장 등)로 구분해서 산출합니다. 블록벽체의 면적을 산출한 후 단위면적당 매수를 곱해서 쌓기매수를 산출합니다. 블록쌓기의 수량은 줄눈 10mm를 기준으로 할 때 m²당 정미량은 12.5매를 적용합니다. 소요량으로 계산하려면 13매를 적용합니다. 블록 단위면적당 매수는 벽돌의 쌓기 방법별 매수를 계산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식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우선 블록 한 개를 쌓을 때 면적(줄눈 10mm 포함)=(0.39+0.01)×(0.19+0.01) = 0.08(m²)이므로단위면..
유리는 사용목적과 장소에 따라 다양한 종류가 사용됩니다. 유리공사에서는 유리 설치 이외에 유리를 설치하기 위해 필요한 유리 주위 코킹 등을 추가로 산출해야 합니다. 유리[m²] 유리는 종류별, 두께별로 구분해서 정미면적으로 산출하는 것이 원칙입니다. 그런데 편의상 창호 외곽치수로 산출할 때도 있는데 이때는 창호면적의 90%나 95%를 유리면적으로 산출합니다. 창호일람표에서는 창호의 전체 크기를 쉽게 확인할 수 있기 때문에 간편한 방법을 많이 사용합니다. 유리 면적 = 창호 면적 × 0.9(또는 0.95) 강화유리문의 경우는 프레임을 포함하여 규격별 개수로 산출합니다. 유리 주위 코킹[m] 유리를 창틀에 끼운 후에는 유리가 움직이지 않도록 끼움재(누름대)를 고정한 후 실링재를 주입해서 마무리합니다. 유리 ..
창호는 목재, 합성수지, 강철,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등으로 만들어진 창호를 부착하는 공사입니다. 창호공사를 산출할 때는 도면에서 창호일람표를 보고 산출합니다. 평면도에는 창호의 기호만 표기하고 창호일람표(창호리스트)에 따로 모아서 상세한 내용을 표기합니다. 우선은 창호의 종류와 도면에 표기하는 방법을 숙지해야 합니다. 창호공사의 수량을 산출하기 위해서는 창호 및 창호철물, 창호 주위 코킹, 창호 주위 모르타르 충진, 창호 도장 등을 각각 산출해야 합니다. 창호 창호공사는 보통 외주 시공으로 진행하기 때문에 제작 및 운반, 설치, 보양까지 모두 포함한 단가로 산출하게 됩니다. 다라서 전문업체의 견적을 참조해서 반영해야 합니다. 창호철물 창호철물은 단가를 반영할 때 창호를 포함하는 경우가 그렇지 않는 경우..
형강의 종류별 단위길이당 중량과 도장면적을 정리한 표들입니다. H형강(중형) H형강(경량) I형강 등변ㄱ형강 부등변ㄱ형강 ㄷ형강 T형강 c형강
도장[m²] 강재는 대기 중에서 쉽게 부식하기 때문에 방청페인트(도장)를 칠해야 합니다. 물론 콘크리트 속에 묻힌 부분은 녹이 슬지 않기 때문에 도장을 할 필요가 없습니다. 콘크리트에 묻히는 부분을 제외하고 녹막이 도장이 되어 있다. 따라서 강구조 건축물은 콘크리트에 묻히는 부분을 제외하고 도장 수량을 산출해야 합니다. 도장은 표면을 칠하는 것이기 때문에 표면의 면적으로 산출하면 됩니다. 그런데 H형강과 같은 형강은 형태가 복잡하기 때문에 표면의 면적을 산출하기가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각각의 형상별로 단위길이당 표면의 면적을 미리 계산해두고 활용하는 방법을 주로 씁니다. 이것을 도장배수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H-450×200×9×14를 1m 잘라서 표면을 칠하다면 전체 표면의 면적은 얼마일까요? 플랜..
용접[m] 강구조에서는 부재를 접합하기 위해 용접을 하거나 볼트를 사용합니다. 강구조 기둥에서는 용접 접합을 많이 사용합니다. 용접은 홈(Groove)용접(L형, V형, K형, X형)과 필릿(Fillet)용접으로 구분합니다. 용접은 용접방법이나 모재의 두께 등에 따라 종류가 다양합니다. 따라서 용접 단면의 종류별로 구분해서 산출한 후 표준용접 크기로 통일할 필요가 있습니다. 표준품셈에서는 필릿 용접 6mm를 표준으로 환산합니다. 각각의 용접을 필릿 용접 6mm로 환산하기 위해서는 용접 종류별로 환산계수를 적용합니다. 이 환산계수는 각 용접부분의 단면적을 모살용접 6mm의 단면적(21.78m²)으로 나눈 값입니다. 표준품셈에서 제시하는 환산계수는 다음과 같습니다.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조립형강(Built..
볼트[Ton 또는 개수] 강구조 접합에 사용하는 볼트는 일반볼트(C-bolt), 고장력볼트(HTB; High Tension Bolt), 토크전단형 고장력볼트(TSB; Torque-Shear type hig tension Bolt)가 있습니다. 볼트는 볼트의 종류 및 굵기, 길이별로 구분해서 개수를 산출하고, 무게[ton]로 환산해서 집계하기도 합니다. 볼트의 길이는 접합하는 부재의 두께에 따라 달라집니다. 볼트의 길이는 너트를 끼운 후 나사산이 3∼4개 정도가 남는 것이 표준입니다. 볼트의 여장길이(mm)는 다음 표를 기준으로 적용합니다. 일반볼트 HTB TSB M12 16 25 M16 19 30 25 M20 22 35 30 M22 25 40 35 M24 28 45 40 M32 36 앵커 볼트[개수] 기..
형강재[ton] 형강재는 재질과 형상에 따라 종류가 다양합니다. 따라서 형강의 재질별, 규격별로 구분하여 길이[m]를 산출한 후 중량[ton]으로 환산해서 집계합니다. 중량으로 환산하기 위해서는 단위길이당 중량값을 이용해서 계산합니다. 예를 들어 사용된 형강이 H-450×200×9×14라면 형강의 제원표에서 단위길이당 중량이 76.0kg이라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 값은 H-450×200×9×14 부재를 1m가 길이로 잘랐을 때의 무게가 76.0kg이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만일 형강의 제원표가 없다면 단위길이당 무게를 직접 계산해야 합니다. H형강을 구성하는 플랜지와 웨브 부분를 각각 나누어서 산출할 수 있습니다. 플랜지와 웨브의 체적을 구한 후 강재의 비중(7,850kg/m³)을 곱해서 산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