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강구조는 주로 H형강을 공장에서 가공한 후 현장에 반입하여 용접이나 볼트 등으로 조립하는 식으로 진행됩니다. 절단위로 가공한 기둥을 현장에 반입하고 있다. 사진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기둥이나 보 등 주요 구조체는 H형강을 사용하기 때문에, H형강을 위주로 한 형강재가 가장 많은 물량을 차지합니다. 대부분의 H형강은 KS규격에 맞게 압연방식으로 제조되지만, 규격품이 아닌 전용접부재(조립형강; Built-Up)의 경우에는 강판을 이용하여 직접 제작하기 때문에 구분해서 산출해야 합니다. KS 규격품 KS 규격품이 아닌 경우 강판을 용접해서 별도로 제작(Built-up부재)한다. 강구조에서 형강을 볼트로 조립하거나 부재를 결합하려면 다양한 강판이 사용됩니다. 강판의 종류는 베이스 플레이트(Base plate)..
슬래브의 일람표는 대표적인 배근 유형을 먼저 제시한 후 세부 철근 상세를 제시합니다. 슬래브는 단변방향으로 힘이 많이 전달되기 때문에 단변방향 철근이 주근이 되고, 제일 먼저 배치합니다. 단변방향은 관례적으로 X로 표기하고, 장변방향은 Y로 표기합니다. 아래 일람표에서 제일 중요한 철근은 단변방향으로 중간대를 가로지르는 X3 철근입니다. 콘크리트와 거푸집 수량 산출 콘크리트의 수량은 슬래브의 체적(m³)으로, 거푸집은 거푸집을 설치하는 표면의 면적(m²)으로 산출합니다. 슬래브 거푸집은 밑판과 옆판을 산출합니다. 위 그림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밑판의 수량을 산출하기 위해 한 층 바닥판 전체의 면적을 산출하면 보 밑판을 한꺼번에 산출하게 됩니다. 따라서 보 거푸집을 산출할 때는 보 밑판을 산출하지 않고 ..
다음 사례를 보면서 보의 철근콘크리트 수량을 어떻게 산출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우선 보 철근의 수량을 산출하는 방법은 따로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보 일람표를 보면 단부와 중앙부의 배근형태만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내외단부의 배근이 같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거푸집 수량 산출 콘크리트와 거푸집의 수량을 산출할 때는 기둥과 마찬가지로 슬래브 부분을 제외한 부분만 산출합니다. 슬래브에서 일괄해서 산출하는 편이 훨씬 간편합니다. 보에서의 거푸집은 옆 판 두 개와 하부 판으로 구성됩니다. 그러나 하부 판을 거푸집에서 산출하지 않습니다. 슬래브에서 하부 판 전체를 산출하는 편이 훨씬 수월합니다. 그래서 옆 판만 산출하는데 헌치보의 형태로 되어 있다면 헌치부분을 포함해서 산출합니다. 콘크리트 수량 산출 콘크리트는..
보 철근의 수량을 산출하려면 배근 방법을 먼저 숙지해야 합니다. 단순히 공식을 암기하기에는 너무 복잡합니다. 공식을 생각하지 말고 배근 방법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다음 사례를 보고 철근 수량을 어떻게 산출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철근 수량은 기본적으로 단위 철근의 길이에 개수를 곱해서 산출합니다. 경간(Span)은 6000과 5000으로 둘로 되어 있다고 가정하겠습니다. 보 철근을 배치하는 방법은 세 가지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위 사례처럼 외단부, 중앙부, 내단부의 배근 형태가 모두 다른 경우가 있고, 중앙부와 양단부만 다른 경우가 있고(내단부와 외단부가 동일), 전단면이 동일한 경우가 있습니다. 보가 놓이는 경간의 양단부와 중앙부의 모멘트 크기에 따라 철근을 배치하는 방법이 달라집니다. 철근의 ..
철근콘크리트 수량 산출은 부재별 리스트를 보고 콘크리트와 거푸집, 철근을 모두 일괄해서 산출한다고 했습니다. 벽체의 철근콘크리트 수량을 산출해보겠습니다. 콘크리트(m³)와 거푸집(m²) 콘크리트 수량은 콘크리트의 체적을 산출하므로 벽체의 안목치수(안목 길이 × 안목 높이)에 두께를 곱해서 체적을 계산합니다. 라멘구조일 경우 벽체 측면에 기둥이, 벽체 위쪽에 보가 있다면, 기둥과 보의 폭을 뺀 안목 치수로 계산해야 합니다. 또 벽체에는 대부분 개구부가 만들어지는데, 개구부의 면적이 1m² 이상이라면 개구부의 면적을 공제하고 산출합니다. 따라서 벽체 콘크리트 체적은 다음과 같이 산출합니다. 벽체 거푸집은 콘크리트 표면의 면적을 계산하므로 벽체의 경우 양쪽판을 산출해야 합니다. 콘크리트와 마찬가지로 개구부의 ..
철근콘크리트 수량 산출은 부재별 리스트를 보고 콘크리트와 거푸집, 철근을 모두 일괄해서 산출한다고 했습니다. 다음 예제를 보고 기둥 수량을 산출해 보겠습니다. 콘크리트(m³)와 거푸집(m²) 기둥의 콘크리트와 거푸집은 비교적 수월하게 산출할 수 있습니다. 다만 기둥을 산출할 때 슬래브 부분을 제외하고 산출한다는 점만 주의하면 될 것 같습니다. 기둥의 콘크리트 수량은 슬래브 두께를 제외한 부분의 체적으로 산출합니다. 그래서 일반층 기둥은 바닥 콘크리트의 상부면에서 상층 슬래브 하부면까지의 체적을 산출합니다. 거푸집 면적은 층고에서 슬래브 두께를 제외한 기둥 콘크리트의 표면적으로 산출하면 됩니다. 기둥은 보나 벽체와 만나는 부분이 있지만 접합부 면적이 1m² 이하로 작을 때는 공제하지 않습니다. 거푸집 면적..
간단한 독립기초 예제 파일로 독립기초에서 콘크리트 및 거푸집, 철근의 수량을 산출해 보겠습니다. 독립기초 산출 예제 콘크리트(m³) 콘크리트의 수량은 체적으로 산출합니다. 다만 독립기초에 경사진 부분이 있으면 한꺼번에 계산할 수 없기 때문에 면적을 나누어서 계산해야 합니다. 위 식처럼 맨 아래쪽의 직사각형 부위와 경사진 부위를 나누어 산출할 수 있습니다. 경사진 부위의 체적을 산출하는 공식은 터파기량을 산정할 때도 적용했던 공식입니다. 거푸집(m²) 거푸집은 콘크리트 표면의 면적으로 산출합니다. 기초 하부는 거푸집을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기초의 옆면만 산출하면 됩니다. 단 경사진 부분은 거푸집을 설치할 때만 산출합니다. 경사면이 완만하면 거푸집을 설치하지 않아도 콘크리트가 흘러내리지 않기 때문에 산..
콘크리트의 배합비가 주어졌을 때 콘크리트의 수량을 어떻게 산출하는지 살펴보겠습니다. 콘크리트의 배합비와 부피 콘크리트는 기본적으로 4가지 재료를 섞어서 제조합니다. 따라서 1: 3: 6으로 배합한다는 것은 시멘트, 잔골재, 굵은 골재의 부피를 1: 3: 6이 되도록 섞는다는 뜻입니다. 물-시멘트비나 물-결합재비는 중량비로 나타내기 때문에 차이가 있습니다. 따라서 이 4가지 재료의 부피(체적)을 모두 더하면 되는데, 문제에서 주어진 조건은 시멘트의 포대, 즉 중량이 주어져있습니다. 따라서 이 중량을 부피로 환산해야만 합니다. 이때 필요한 것이 비중입니다. 모든 물질은 고유한 비중값을 갖습니다. 같은 부피라도 물질에 따라 무게가 다르죠. 콘크리트를 구성하는 각각의 재료의 비중도 모두 다릅니다. 부피는 각 재..
지정공사는 기초를 보강하거나 지반의 내력을 보강하기 위해 기초 하부에 말뚝박기나 잡석다짐을 한 부분을 말합니다. 지정은 건축물의 규모가 작고 지반의 상태가 양호하면 모래, 자갈, 잡석 등으로 간단히 처리하고, 지내력이 충분하지 않으면 기초판 하중을 단단한 지반으로 전달하기 위해 기둥형태의 말뚝을 설치합니다. 잡석지정[m³] 잡석지정은 기초를 설치하기 전에 다듬지 않은 돌을 바닥에 까는 것을 말합니다. 잡석지정의 수량은 도면에 명기된 체적[m³]으로 산출합니다. 설계도면에 잡석에 대해 내용이 없으면 개략적으로 기초의 폭보다 약간 큰 면적에 잡석을 까는 것으로 적용합니다. 보통 목조 및 조적조 기초측면은 100mm, 철근콘크리트 기초측면은 150mm를 가산하여 잡석지정의 폭을 산출한다. 잡석지정 위에는 먹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