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업의 여유시간 계산 - ADM기법

반응형

네트워크 공정표에서 일정계산한 후에 작업의 여유시간을 계산해보겠습니다.

 

여유시간(Float)의 의미

작업의 여유시간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간단한 PDM 공정표를 살펴보겠습니다. 

 

etc-image-0

 

A-B-D와 A-C-D 두 가지 순서로 진행됩니다. 즉 B작업과 C작업이 동시에 진행되는데 B작업은 5일, C작업은 3일 걸리기 때문에 B작업이 주공정선에 해당됩니다. 

 

etc-image-1

 

주공정선에 해당하는 작업은 여유가 없지만, 주공정선에 해당하지 않는 C작업은 여유가 있습니다. 다른 식으로 표현하면 EFT와 LFT가 같을 때는작업(Activity)의 여유가 없지만, EST와 LST가 다르거나 EFT와 LFT가 다른 경우 작업에 여유가 있습니다.  이 여유 시간을 플로트(Float)라고 합니다.

 

여유시간은 다음 세 가지로 구분됩니다.

  • 총여유(Total Float : TF) : 임의의 작업이 가지는 최대의 여유시간을 총여유(TF)라고 합니다. 전체 공기가 늦어지지 않는 범위에서 작업을 늦출 수 있는 최대 여유시간을 말합니다. 즉 작업을 EST로 시작하고 LFT로 완료 할 때에 생기는 여유입니다.
  • 자유여유(Free Float : FF) : 작업을 EST로 시작하고 후속 작업도 EST로 시작하여도 존재하는 여유시간으로서 후속작업에 전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그 작업의 여유시간을 말합니다. 후속작업을 가장 빨리 시작할 수 있는 시간이 EST이므로 이 EST를 지연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작업을 늦출 수 있는 여유시간을 말합니다.   
  • 간섭여유(Dependant Float : DF) : 총여유에서 자유여유를 뺀 값이 간섭여유입니다. 후속작업이 갖는 총여유에 영향을 주는 여유이기 때문에 간섭여유(Interfering Float)라고도 합니다.

ADM에서 여유시간 계산

ADM 기법으로 여유시간을 계산하기 위해 다음과 같은 공정표로 예를 들겠습니다. 

 

etc-image-2

 

 

이해를 돕기 위해 주공정선이 아닌 E작업에 PDM 방식으로 위쪽에 EST, EFT를, 아래쪽에 LST, LFT를 표현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etc-image-3

 

앞에서 살펴본 것처럼 TF를 구하려면 LF에서 EF를 빼거나, LS에서 ES를 빼야만 합니다. 그런데 절점에 있는 EF나 LS값을 사용해서 계산하면 안 됩니다. 아래 그림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절점에서의 LS값과 그 작업의 LS값은 일치하지 않습니다. 절점의 값은 주공정선에 해당하는 작업의 정보를 나타내는 것이므로 여유가 있는 작업과 차이가 납니다. 

etc-image-4

그래서 PDM에서 했던 것과 동일한 방법으로 다음과 같이 계산할 수 있습니다.

 

etc-image-5

이것을 절점의 정보를 이용해서 계산한다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습니다. 

etc-image-6

즉 그 작업의 EF는 ES에서 작업시간을 더해서(EF = ES + d) 값을 계산해야 하고, 도형으로 나타낸다면 절점의 삼각형 값에서 절점의 네모상자 값과 작업기간을 빼는 식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FF는 다음과 같이 후속작업의 ES에서 그 작업의 EF를 뺀 값으로 계산합니다. 

 

etc-image-7

ADM에서 TF와 FF계산하는 방법을 그림으로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etc-image-8

 

etc-image-9

 

사례적용

PDM기법에서 적용했던 사례를 다시 살펴보겠습니다. 

PDM일정예제표.png

이것을 ADM 방식으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습니다.

etc-image-11

 

표로 정리해서 계산한다면 다음과 같이 먼저 각 작업의 ES와 LF를 기록합니다. 이 값은 절점의 네모와 세모에 있는 값에 해당합니다. 

 

etc-image-12

그 다음 EF 값을 계산합니다.

etc-image-13

같은 방식으로 LS값을 계산합니다. 

etc-image-14

 

작 작업의 TF는 LF에서 EF를 뺀 값으로 계산합니다 

etc-image-15

 

그 다음 FF를 구하는데 이 값은 후속작업의 ES를 필요로 하므로 공정표를 보고 후속작업의 ES에서 그 작업의 EF값을 빼서 구합니다. 

etc-image-16

마지막으로 DF는 TF에서 FF를 뺀 값으로 계산할 수 있습니다.

 

etc-image-1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