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반응형
1. 강관비계 설치 안전작업 작업개요 비계공사는 강관파이프와 부자재를 조립해서 본 공사를 위한 가설작업발판, 안전통로, 분진망 등을 설치하는 공사를 말한다. 비계조립 및 설치기준 미준수로 인한 붕괴 및 사용 중 과적으로 인한 붕괴사고와 추락, 낙하 등의 사고가 발생한다. 작업순서 1) 자재반입/준비작업 2) 기초하부 작업 3) 비계 설치 작업 4) 가새, 벽연결 및 보강작업 5) 작업발판 및 통로설치 작업 6) 점검 및 보수작업 7) 해체작업 강관비계 조립 순서 ① 깔판 → ② Base철물 → ③ 기둥 → ④ 띠장 → ⑤ 수평확인 → ⑥ 밑둥잡이 설치 → ⑦ 장선 → ⑧ 비계발판 → ⑨ 기둥(반복) → ⑩ 띠장(반복) → ⑪ 장선(반복) → ⑫ 가새, 벽이음 → ⑬ 안전난간 2. 안전조치사항 ① 비계용 ..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및 사용기준 개정] - 2022.06 ㆍ 왜 개정되었을까요? 1) 건설업 산업안전보건관리비 계상 시 예정가격을 적용함에 따라 사용가능한 산재예방비용이 증가되었고 2) 최근 급격한 기후변화 등에 따라 혹한·혹서에 대비하여 근로자 건강보호조치가 강화될 필요가 있고, 3) 산업안전보건법 개정에 따른 규제 신설에 따라 이를 이행하는데 소요되는 비용이 필요한 상황이기 때문에 개정되었다고 합니다. ㆍ주요내용은 무엇일까요? ▶ 사용가능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증액 및 환경적 요인 변화, 규제신설에 따라 산업안전보건관리비 사용 가능 항목 확대입니다. 1. 공사종류 및 규모별 안전관리비 계상기준표 구분 대상액 5억원 미만인 경우 적용 비율 (%) 대상액 5억원 이상 50억원 미만인 경우 대상액..
1. 거푸집 조립 거푸집 조립 순서 : 기둥 → 보받이내력벽 → 큰보 → 작은보 → 바닥 → 내벽 → 외벽 1) 안전지침 (1) 기초 및 벽체 거푸집 기초밑창 콘크리트 윗면의 먹메김을 따라 기초판 옆에 패널을 사용하고 외부에는 이동이 없이 버팀대 등으로 고정 기초판 윗면의 경사가 35°이상인 경우 옆판과 위 경사면에 거푸집을 대어 콘크리트를 채울 때 부상하는 것을 방지하고 철선으로 고정 기둥에 벽이 붙을 때 기둥과 벽을 일체로하여 거푸집을 조립하고 벽 거푸집의 외벽의 안쪽면 먼저 거푸집을 대고 철근배근 후 바깥면 거푸집을 조립 벽에 요철이 없고 넓은 벽일 때는 패널을 크게 짜 거푸집을 조립하고, 벽 거푸집 밑에도 청소구멍을 내어줌 창 등의 개구부는 벽의 한쪽 거푸집을 짠 후 소요치수로 가설문틀 또는 두꺼..
1. 자재 반입·가공 및 운반 작업 1) 안전지침 줄걸이 인양용 훅에 해지장치 설치 인양용 로프는 견고한 것 사용 와이어로프는 손상되거나 변형이 없는 것 사용 카고크레인 붐대는 물체를 안전하게 인양하기에 충분히 견고한지 사전점검 및 인양하중 조견표 확인 카고크레인의 기계장치 및 유압장치의 이상 유무 점검 카고크레인의 운전원 자격유무 작업 전 확인 인양 자재는 2줄걸이 결속하고 수평유지 자재 운반 시 구획 후 표지판 설치, 신호 수 배치 및 신호에 따라 작업진행 목재 가공용 둥근톱에는 톱날접총방지용덮개 설치 목재 가공용 둥근톱에 누전차단기와 접지선 연결사용 근로자는 안전모 등 개인보호구 착용 관리감독자 배치하여 안전하게 작업 지시 거푸집 자재 적재는 무너짐 위험이 없도록 균형유지 2) 관계법령 ( 안전보건..
1. 비계공사 비계공사는 강관파이프와 부자재를 조립해서 본 공사를 위한 가설작업발판, 안전통로, 분진망 등을 설치하는 공사 2. 비계의 설치 안전 지침 (1) 비계 설치 안전지침 1 비계용 강관 및 부속철물은 안전인증을 받은 제품 사용 지반은 비계기둥이 침하하지 않도록 충분히 다짐 후 깔판(받침널)을 평탄하게 설치 성토구간 또는 연약지반에는 자갈 또는 콘크리트 등으로 보강 비계기둥 하부에는 밑받침철물과 밑둥잡이를 설치 비계기둥은 띠장방향 1.5m -1.8m이하, 장선방향 1.5m 이하로 설치 수직도를 유지하여 설치, 필요시 임시 가새 설치 비계기둥 연결은 전용철물 사용, 연결 부 동일 축에 집중하중 발생하지 않도록 길이가 다른 강관비계 사용 비계 기둥 간 적재 하중 400kgf 이하 비계 기둥은 최고 높..
- 구분 위험요인 대책 인적 요인 ① 지게차 운전원의 조작미숙으로 충돌, 협착 (무자격운전 위험) ② 작업중 안전모, 안전화 등 개인보호구 미착용 및 작업 중 파일 등에 신체부위 접촉 ① 지게차 운전원 자격여부 확인 및 교육(유자격자 채용) ② 파일 하역 작업시 안전모, 안전화 착용 철저 및 작업반경내 접근금지 물적 요인 ③ 연약지반 등 지반이 불량하여 파일이 굴러 넘어짐 ④ 파일 적재용 받침목이 부러지면서 파일리 굴러 협착 ③ 파일 적재시 견고하고 평탄한 지반에 적재 (연약지반 적재금지) ④ 파일 적재용 받침목은 하중에 풀분히 견딜 수 있는 자재 사용 작업 방법 ⑤ 적재파일의 구름방지용 쐐기 미설치로 파일이 굴러넘어져 협착 ⑥ 파일 과적재로 인한 붕괴 및 파일이 굴러 넘어져 협착 ⑤ 적재된 파일을 구르..
우리가 레미콘이라고 부르는 콘크리트는 레디 믹스트 콘크리트(Ready-Mixed Concrete)를 줄여서 부르는 말입니다.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타설하려면 공장에 주문을 해야 합니다. 당연히 공장에서 생산하는 표준규격이 있고, 현장에 레미콘차가 도착하면 내가 주문한 콘크리트가 맞는지 시험을 해야 합니다. 레미콘의 규격을 살펴보겠습니다. 레미콘의 규격 레미콘의 규격은 예를 들어 '보통콘크리트-25-24-120'처럼 숫자로 표시합니다. 순서대로 콘크리트의 종류,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 호칭강도, 슬럼프를 나타냅니다. 아래 그림에서 볼 수 있는 것처럼 KS에 규정된 종류는 매우 다양합니다 레미콘 규격 슬럼프가 크거나 강도가 높은 콘크리트는 시멘트가 많이 들어가서 가격이 올라가게 됩니다. 굵은 골재의 최대치수가..
콘크리트 표준시방서에서는 '콘크리트는 타설한 후 습윤 상태로 노출면이 마르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수분의 증발에 따라 살수를 하여 습윤 상태로 보호하여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즉 콘크리트가 굳는 과정에서 수분을 계속 공급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표준시방서에서는 최소한 어느 정도의 시간까지는 젖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규정하고 있습니다. 습윤양생기간의 표준 일평균온도 보통 포틀랜드 시멘트 고로 슬래그 시멘트 플라이애시 시멘트 B종 조강 포트랜드 시멘트 15℃ 이상 5일 7일 3일 10℃ 이상 7일 9일 4일 5℃ 이상 9일 12일 5일 콘크리트가 굳는 과정에서 수분은 왜 중요한 걸까요? 시멘트의 강도 발현 시멘트는 순간접착제가 아닙니다. 콘크리트를 타설하고 하루 정도 지나면 딱딱해지니까 완전히 굳었다..
콘크리트의 시공 성능을 가장 포괄적으로 나타내는 용어가 워커빌리티(Workability)입니다. 그 외에도 반죽질기, 성형성, 펌퍼빌리티 등이 있는데 여기서는 반죽질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반죽질기(Consistency)는 굳지 않은 콘크리트에서 주로 단위수량의 다소에 따라 유동성(Fluidity)의 정도를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반죽질기를 수치를 나타낼 때는 슬럼프 시험 값을 사용합니다. 정의에서 볼 수 있듯이 반죽질기는 수량에 의하여 크게 좌우됩니다. 그 외에 단위시멘트량, 시멘트의 성질, 골재, 공기량 등이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단위수량 단위수량은 아직 굳지 않는 콘크리트 1m³ 중에 포함된 물의 양으로 골재 중의 수량을 제외한 것입니다. 단위수량이 많이지면 당연히 반죽이 묽..